[기획-상장기업 ESG 평가] 65. 동화약품... ESG 위원회조차 구성하지 않아 거버넌스 '낙제점' 수준
2024년 폐기물 재활용률 77.13%... 사회공헌 활동은 '우수'해 개선 필요성 낮아
1897년 설립된 제약기업인 동화약품은 1976년 상장했다. 주요 사업 부문은 △의약품 △원료의약품 △의약외품 △의료용구의 제조 및 매매와 △건강기능식품 △건강식품 제조 및 매매를 운영한다.
인간행복 경영을 통하여 고객 및 직원 모두의 행복을 추구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행복이 새로운 100년을 이어가도록 변화혁신 경영을 통해 진정으로 행복한 기업 同和가 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동화약품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
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동화약품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동화약품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 ESG 경영 계획 및 목표 미수립... 2024년 부채총계 2179억 원으로 부채율 54.26%
동화약품은 “좋은 약을 만들어 소비자에게 봉사하고 그 효험을 본 정당한 대가로 경영되는 회사”를 목적으로 한다. 고객의 안전과 건강 최우선의 기업정신 하에 고객의 행복을 추구하고자 한다.
동화인은 “젊어서 정당하게 땀 흘려 일하고 노후에 잘 살아 보려는 동화식구의 회사”라는 직원 개개인의 가치 존중 이념 하에 모두 회사의 주인이라는 신뢰와 믿음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다가서고 있다고 밝혔다.
“민족이 합심하면 잘 살 수 있다”는 정신 아래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한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신뢰할 수 있는 기업을 목적으로 존중과 배려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에너지 전환시대를 맞아 ESG 경영을 강화할 방침이다.
ESG 경영 계획 및 목표는 수립하지 않았다. ESG 경영 헌장도 부재했다. 이사회 내 위원회로는 감사위원회를 운영하며 ESG 경영 위원회는 부재했다.
2025년 3월 기준 이사회 구성원 수는 총 7명으로 사내이사 4명, 사외이사 3명으로 구성됐다. 2022년 이사회 구성원 수는 총 8명으로 사내이사 5명, 사외이사 3명과 비교해 사내이사 수가 감소했다. 2025년 3월 기준 여성 이사 수는 1명으로 2022년 1명과 대비해 변함이 없었다.
2024년 자본총계는 4016억 원으로 2022년 3786억 원과 비교해 6.07% 증가했다. 2024년 부채총계는 2179억 원으로 2022년 824억 원과 대비해 164.31% 급증했다. 2024년 부채율은 54.26%로 2022년 21.77%와 비교해 상승했다.
2024년 매출액은 4648억 원으로 2022년 3404억 원과 대비해 36.56% 증가했다. 2024년 당기순이익은 21억 원으로 2022년 215억 원과 비교해 90.06% 감소했다. 2024년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부채 상환에 약 102년이 소요된다.
◇ 2024년 여성 직원 1인 평균 급여액 남성 직원의 86.11%... 2024년 전체 육아휴직 사용률 27%
2021년 안전보건경영 방침 및 목표를 수립했다. 안전목표는 △근로자 참여를 통한 안전문화 정착 △위험성평가 실시로 중대재해 Zero 구현 △안전 최우선 기업으로 안전한 일터 조성으로 정했다.
동화약품은 사회공헌 캠페인으로 ‘맑은바람 캠페인’을 진행한다. 기업 로고인 ‘부채표’에서 비롯된 ‘종이와 대나무가 서로 합해 맑은 바람을 일으킨다(紙竹相合 生氣靑風, 지죽상합 생기청풍)’의 의미를 담았다.
가정과 사회, 세상에 건강한 바람을 불러 일으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활동으로는 △밥상머리 캠페인 △생명을 살리는 물 △홍명보 축구교실 △어린이 생활 안전 캠페인 △사랑의 테디베어 △생명을 살리는 사랑의 헌혈 캠페인 △남산역사탐방 등을 전개한다.
2025년 4월 동화약품은 2024년 출시한 활명수 127주년 기념판 수익금을 ‘생물을 살리는 물 캠페인’ 기금으로 대한적십자사에 전달했다.
기부금은 2024년과 동일하게 네팔 산쿠와사바아 지역의 △수도·위생 시설 개선 및 보급 △지역 주민 대상 보건위생 교육 △캠페인 활동 지원에 활용될 계획이다.
생명을 살리는 물 캠페인은 최장수 브랜드인 활명수의 뜻의 가치와 철학을 담았다. 2013년부터 시작해 2025년 12회차로 매년 활명수 기념판 판매 수익금 전액을 기부했다.
동화약품은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고 봉사하는 기업이 되어야 한다는 취지 아래 ‘또 하나의 마을 만들기’ 협약식을 진행했다. 지역사회와 소통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1년부터 충북 충주시 재오개마을과 자매결연, 2016년에는 충북 충주시 수룡2리 마을과 협약을 맺었다. △일손 돕기 △농산물 직거래 등 다양한 교류 활동을 통해 지역농가와의 상생을 도모하고자 한다.
2024년 의약품 사업 부문 직원 수는 총 824명으로 2022년 776명과 비교해 증가했다. 2024년 직원 중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수는 806명, 기간제 근로자 수는 12명으로 조사됐다. 2024년 직원 중 여성 직원 수는 219명, 남성 직원 수는 605명으로 집계됐다.
2024년 평균 근속연수는 12년 7개월로 여성 직원은 11년 8개월, 남성 직원은 12년 11개월이었다. 2024년 연간급여 총액은 574억 원으로 1인 평균 급여액은 7000만원으로 조사됐다. 2024년 1인 평균 급여액은 7000만원으로 2022년 6900만원과 비교해 1.45% 증가했다.
2024년 여성 직원의 1인 평균 급여액은 6200만원으로 2022년 5500만원과 대비해 12.73% 인상했다. 2024년 남성 직원의 1인 평균 급여액은 7200만원으로 2022년 7400만원과 비교해 2.7% 감소했다.
2024년 여성 직원의 1인 평균 급여액은 남성 직원의 86.11% 수준으로 2022년 74.32%와 대비해 증가했다.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2022년 25명 △2023년 27명 △2024년 22명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2022년 2명 △2023년 3명 △2024년 6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나 사용률은 낮은 편이었다.
전체 육아휴직 사용률은 △2022년 21% △2023년 27% △2024년 27%로 조사됐다. 여성 직원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2022년 74% △2023년 84% △2024년 100%로 높은 수준이었다. 반면 남성 직원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2022년 0% △2023년 2% △2024년 10%로 저조한 수준이었다.
전체 육아휴직 복귀 후 12개월 이상 근속자 수는 △2022년 17명 △2023년 25명 △2024년 41명으로 조사됐다.
별도의 ESG 경영 보고서 및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부재했다. 경영 공시와 ESG 경영 관련 실적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ESG 경영 관련 교육으로는 환경교육을 진행했다. 2022년부터 환경교육 현황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 2024년 온실가스 총 배출량 1만260tCO₂eq으로 증가세... 2024년 폐기물 재활용률 77.13%
동화약품은 환경기본방침을 수립하여 환경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환경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을 획득하여 환경에 관한 법률과 규범을 선도적으로 준수하고 환경보호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환경경영 조직은 대표이사를 중심으로 △본사 경영관리실 △생산본부 환경안전부 △연구개발본부 연구지원팀의 환경경영 담당자로 구성됐다. 환경경영 추진 조직을 구축해 환경경영시스템 운영과 환경보전활동을 수행한다.
전체 온실가스 총 배출량 합계(Scope 1+2)는 △2022년 9320.23tCO₂eq △2023년 9341.32 tCO₂eq △2024년 1만260.32tCO₂eq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전체 온실가스 직접배출(Scope 1)은 △2022년 2633.20tCO₂eq △2023년 2701.74tCO₂eq △2024년 3178.95tCO₂eq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온실가스 간접배출(Scope 2)은 △2022년 6687.03tCO₂eq △2023년 6639.58tCO₂eq △2024년 7081.37tCO₂eq으로 감소 후 증가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집약도는 △2022년 16.24tCO₂eq/생산량(백만개) △2023년 15.49tCO₂eq/생산량(백만개) △2024년 17.09tCO₂eq/생산량(백만개)으로 집계됐다. 집약도는 tCO₂eq/생산량(백만개)으로 충주공장 연간 자사생산 실적(제제기준)을 기준으로 산정했다.
GMP 공장의 온실가스 총 배출량 합계는 △2022년 8465.23tCO₂eq △2023년 8443.32tCO₂eq △2024년 9318.32tCO₂eq으로 감소 후 증가했다.
연구소의 온실가스 총 배출량 합계는 △2022년 855tCO₂eq △2023년 898tCO₂eq △2024년 942tCO₂eq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전체 폐기물 발생량 합계는 △2022년 828.307톤(Ton) △2023년 993.979t △2024년 869.9t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 폐기물은 △일반 폐기물 △지정 폐기물 △의료 폐기물로 구분됐다.
사업장 폐기물 배출목표는 △2023년 100t △2024년 101.5t △2025년 102.5t으로 설정했다. 사업장 폐기물 배출목표는 생산활동에서 발생되는 일반쓰레기 및 폐의약품 집계다. 분리수거 및 공정개선을 통한 배출량 감소를 목표로 정했다.
폐기물 발생량 집약도는 △2022년 1.44t/생산량(백만개) △2023년 1.65t/생산량(백만개) △2024년 1.45t/생산량(백만개)로 집계됐다. 집약도는 배출량(톤)/생산량(백만개)으로 충주공장 연간 자사생산 실적(제제기준)을 기준으로 산정했다.
폐기물 재활용률(폐기물 발생량 합계 대비 재활용량)은 △2022년 75.0% △2023년 64.49% △2024년 77.13%로 감소 후 증가했다.
GMP 공장의 폐기물 발생량 합계는 △2022년 800.32t △2023년 952.35t △2024년 836.88t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 연구소의 폐기물 발생량 합계는 △2022년 27.987t △2023년 41.629t △2024년 33.02t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
전체 용수 취수량 합계는 △2022년 14만7170t △2023년 14만7967t △2024년 17만6130t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용수는 △상수 △공업용수 △지하수로 구분됐다.
용수 재이용량은 △2022년 1만2632.40t △2023년 1만3326.60t △2024년 1만6489.3t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용수 재이용률(재이용량/사용량)은 △2022년 8.58% △2023년 9.01% △2024년 9.36%로 근소하게 증가세를 보였다.
GMP 공장의 용수 취수량 합계는 △2022년 14만1510t △2023년 14만2932t △2024년 17만0791t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연구소의 용수 취수량 합계는 △2022년 5660t △2023년 5035t △2024년 5339t으로 감소 후 증가했다.
◇ ESG 위원회조차 구성하지 않아 거버넌스 '낙제점' 수준... 사회공헌 활동은 '우수'해 개선 필요성 낮아
△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거버넌스는 다른 제약업체와 마찬가지로 ESG 경영 헌장을 제정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ESG 위원회도 수립하지 않았을 정도로 개선이 시급하다고 평가된다.
ESG 위원회에 대한 고민조차 하지 않았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ESG 경영 자체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의미다. 사외이사의 구성이나 여성 이사의 임명은 '보통' 수준을 유지했다.
2024년 기준 부채가 2179억 원으로 2022년 대비 대폭 증가해 경영 혁신이 요구된다. 부채의 증가 원인을 파악하고 경영 개선을 노력하지 않는다면 지속가능 성장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사회(Social)=사회는 이재명정부 들어 강조하는 산업재해에 대비하기 위해 2021년 안전보건경영방침을 수립해 실천해 관리 가능한 위험에 속한다고 판단했다.
사회공헌 캠페인인 '맑음바람 캠페인'도 추진 목적과 내용이 광범위해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일과 삶의 균형 측면에서 보면 육아휴직 사용자와 사용비율은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ESG 교육의 일환으로 환경교육을 진행했지만 구체적인 목표 의식은 부재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나 교육교재 등은 정리하지 않아 개선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
△환경(Environment)=환경은 환경영조직을 운영하고 다양한 환경보호 활동을 전개해 관리 가능하거나 무시할 수 있는 위험에 속한다고 평가했다.
폐기물을 종류별로 구분해 관리하거나 높은 폐기물 재활용비율 등은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제약업체 대부분은 환경에 대한 인식은 높은데 동화약품도 이러한 기조를 벗어나지 않았다.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정부·기업·기관·단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팔기는 주역의 기본 8괘를 상징하는 깃발, 생태계는 기업이 살아 숨 쉬는 환경을 의미한다. 주역은 자연의 이치로 화합된 우주의 삼라만상을 해석하므로 기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유용하다.
인간행복 경영을 통하여 고객 및 직원 모두의 행복을 추구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행복이 새로운 100년을 이어가도록 변화혁신 경영을 통해 진정으로 행복한 기업 同和가 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동화약품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
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동화약품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동화약품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 ESG 경영 계획 및 목표 미수립... 2024년 부채총계 2179억 원으로 부채율 54.26%
동화약품은 “좋은 약을 만들어 소비자에게 봉사하고 그 효험을 본 정당한 대가로 경영되는 회사”를 목적으로 한다. 고객의 안전과 건강 최우선의 기업정신 하에 고객의 행복을 추구하고자 한다.
동화인은 “젊어서 정당하게 땀 흘려 일하고 노후에 잘 살아 보려는 동화식구의 회사”라는 직원 개개인의 가치 존중 이념 하에 모두 회사의 주인이라는 신뢰와 믿음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다가서고 있다고 밝혔다.
“민족이 합심하면 잘 살 수 있다”는 정신 아래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한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신뢰할 수 있는 기업을 목적으로 존중과 배려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에너지 전환시대를 맞아 ESG 경영을 강화할 방침이다.
ESG 경영 계획 및 목표는 수립하지 않았다. ESG 경영 헌장도 부재했다. 이사회 내 위원회로는 감사위원회를 운영하며 ESG 경영 위원회는 부재했다.
2025년 3월 기준 이사회 구성원 수는 총 7명으로 사내이사 4명, 사외이사 3명으로 구성됐다. 2022년 이사회 구성원 수는 총 8명으로 사내이사 5명, 사외이사 3명과 비교해 사내이사 수가 감소했다. 2025년 3월 기준 여성 이사 수는 1명으로 2022년 1명과 대비해 변함이 없었다.
2024년 자본총계는 4016억 원으로 2022년 3786억 원과 비교해 6.07% 증가했다. 2024년 부채총계는 2179억 원으로 2022년 824억 원과 대비해 164.31% 급증했다. 2024년 부채율은 54.26%로 2022년 21.77%와 비교해 상승했다.
2024년 매출액은 4648억 원으로 2022년 3404억 원과 대비해 36.56% 증가했다. 2024년 당기순이익은 21억 원으로 2022년 215억 원과 비교해 90.06% 감소했다. 2024년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부채 상환에 약 102년이 소요된다.
◇ 2024년 여성 직원 1인 평균 급여액 남성 직원의 86.11%... 2024년 전체 육아휴직 사용률 27%
2021년 안전보건경영 방침 및 목표를 수립했다. 안전목표는 △근로자 참여를 통한 안전문화 정착 △위험성평가 실시로 중대재해 Zero 구현 △안전 최우선 기업으로 안전한 일터 조성으로 정했다.
동화약품은 사회공헌 캠페인으로 ‘맑은바람 캠페인’을 진행한다. 기업 로고인 ‘부채표’에서 비롯된 ‘종이와 대나무가 서로 합해 맑은 바람을 일으킨다(紙竹相合 生氣靑風, 지죽상합 생기청풍)’의 의미를 담았다.
가정과 사회, 세상에 건강한 바람을 불러 일으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활동으로는 △밥상머리 캠페인 △생명을 살리는 물 △홍명보 축구교실 △어린이 생활 안전 캠페인 △사랑의 테디베어 △생명을 살리는 사랑의 헌혈 캠페인 △남산역사탐방 등을 전개한다.
2025년 4월 동화약품은 2024년 출시한 활명수 127주년 기념판 수익금을 ‘생물을 살리는 물 캠페인’ 기금으로 대한적십자사에 전달했다.
기부금은 2024년과 동일하게 네팔 산쿠와사바아 지역의 △수도·위생 시설 개선 및 보급 △지역 주민 대상 보건위생 교육 △캠페인 활동 지원에 활용될 계획이다.
생명을 살리는 물 캠페인은 최장수 브랜드인 활명수의 뜻의 가치와 철학을 담았다. 2013년부터 시작해 2025년 12회차로 매년 활명수 기념판 판매 수익금 전액을 기부했다.
동화약품은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고 봉사하는 기업이 되어야 한다는 취지 아래 ‘또 하나의 마을 만들기’ 협약식을 진행했다. 지역사회와 소통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1년부터 충북 충주시 재오개마을과 자매결연, 2016년에는 충북 충주시 수룡2리 마을과 협약을 맺었다. △일손 돕기 △농산물 직거래 등 다양한 교류 활동을 통해 지역농가와의 상생을 도모하고자 한다.
2024년 의약품 사업 부문 직원 수는 총 824명으로 2022년 776명과 비교해 증가했다. 2024년 직원 중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수는 806명, 기간제 근로자 수는 12명으로 조사됐다. 2024년 직원 중 여성 직원 수는 219명, 남성 직원 수는 605명으로 집계됐다.
2024년 평균 근속연수는 12년 7개월로 여성 직원은 11년 8개월, 남성 직원은 12년 11개월이었다. 2024년 연간급여 총액은 574억 원으로 1인 평균 급여액은 7000만원으로 조사됐다. 2024년 1인 평균 급여액은 7000만원으로 2022년 6900만원과 비교해 1.45% 증가했다.
2024년 여성 직원의 1인 평균 급여액은 6200만원으로 2022년 5500만원과 대비해 12.73% 인상했다. 2024년 남성 직원의 1인 평균 급여액은 7200만원으로 2022년 7400만원과 비교해 2.7% 감소했다.
2024년 여성 직원의 1인 평균 급여액은 남성 직원의 86.11% 수준으로 2022년 74.32%와 대비해 증가했다.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2022년 25명 △2023년 27명 △2024년 22명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2022년 2명 △2023년 3명 △2024년 6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나 사용률은 낮은 편이었다.
전체 육아휴직 사용률은 △2022년 21% △2023년 27% △2024년 27%로 조사됐다. 여성 직원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2022년 74% △2023년 84% △2024년 100%로 높은 수준이었다. 반면 남성 직원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2022년 0% △2023년 2% △2024년 10%로 저조한 수준이었다.
전체 육아휴직 복귀 후 12개월 이상 근속자 수는 △2022년 17명 △2023년 25명 △2024년 41명으로 조사됐다.
별도의 ESG 경영 보고서 및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부재했다. 경영 공시와 ESG 경영 관련 실적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ESG 경영 관련 교육으로는 환경교육을 진행했다. 2022년부터 환경교육 현황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 2024년 온실가스 총 배출량 1만260tCO₂eq으로 증가세... 2024년 폐기물 재활용률 77.13%
동화약품은 환경기본방침을 수립하여 환경경영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환경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을 획득하여 환경에 관한 법률과 규범을 선도적으로 준수하고 환경보호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환경경영 조직은 대표이사를 중심으로 △본사 경영관리실 △생산본부 환경안전부 △연구개발본부 연구지원팀의 환경경영 담당자로 구성됐다. 환경경영 추진 조직을 구축해 환경경영시스템 운영과 환경보전활동을 수행한다.
전체 온실가스 총 배출량 합계(Scope 1+2)는 △2022년 9320.23tCO₂eq △2023년 9341.32 tCO₂eq △2024년 1만260.32tCO₂eq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전체 온실가스 직접배출(Scope 1)은 △2022년 2633.20tCO₂eq △2023년 2701.74tCO₂eq △2024년 3178.95tCO₂eq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온실가스 간접배출(Scope 2)은 △2022년 6687.03tCO₂eq △2023년 6639.58tCO₂eq △2024년 7081.37tCO₂eq으로 감소 후 증가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집약도는 △2022년 16.24tCO₂eq/생산량(백만개) △2023년 15.49tCO₂eq/생산량(백만개) △2024년 17.09tCO₂eq/생산량(백만개)으로 집계됐다. 집약도는 tCO₂eq/생산량(백만개)으로 충주공장 연간 자사생산 실적(제제기준)을 기준으로 산정했다.
GMP 공장의 온실가스 총 배출량 합계는 △2022년 8465.23tCO₂eq △2023년 8443.32tCO₂eq △2024년 9318.32tCO₂eq으로 감소 후 증가했다.
연구소의 온실가스 총 배출량 합계는 △2022년 855tCO₂eq △2023년 898tCO₂eq △2024년 942tCO₂eq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전체 폐기물 발생량 합계는 △2022년 828.307톤(Ton) △2023년 993.979t △2024년 869.9t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 폐기물은 △일반 폐기물 △지정 폐기물 △의료 폐기물로 구분됐다.
사업장 폐기물 배출목표는 △2023년 100t △2024년 101.5t △2025년 102.5t으로 설정했다. 사업장 폐기물 배출목표는 생산활동에서 발생되는 일반쓰레기 및 폐의약품 집계다. 분리수거 및 공정개선을 통한 배출량 감소를 목표로 정했다.
폐기물 발생량 집약도는 △2022년 1.44t/생산량(백만개) △2023년 1.65t/생산량(백만개) △2024년 1.45t/생산량(백만개)로 집계됐다. 집약도는 배출량(톤)/생산량(백만개)으로 충주공장 연간 자사생산 실적(제제기준)을 기준으로 산정했다.
폐기물 재활용률(폐기물 발생량 합계 대비 재활용량)은 △2022년 75.0% △2023년 64.49% △2024년 77.13%로 감소 후 증가했다.
GMP 공장의 폐기물 발생량 합계는 △2022년 800.32t △2023년 952.35t △2024년 836.88t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 연구소의 폐기물 발생량 합계는 △2022년 27.987t △2023년 41.629t △2024년 33.02t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
전체 용수 취수량 합계는 △2022년 14만7170t △2023년 14만7967t △2024년 17만6130t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용수는 △상수 △공업용수 △지하수로 구분됐다.
용수 재이용량은 △2022년 1만2632.40t △2023년 1만3326.60t △2024년 1만6489.3t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용수 재이용률(재이용량/사용량)은 △2022년 8.58% △2023년 9.01% △2024년 9.36%로 근소하게 증가세를 보였다.
GMP 공장의 용수 취수량 합계는 △2022년 14만1510t △2023년 14만2932t △2024년 17만0791t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연구소의 용수 취수량 합계는 △2022년 5660t △2023년 5035t △2024년 5339t으로 감소 후 증가했다.
◇ ESG 위원회조차 구성하지 않아 거버넌스 '낙제점' 수준... 사회공헌 활동은 '우수'해 개선 필요성 낮아
△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거버넌스는 다른 제약업체와 마찬가지로 ESG 경영 헌장을 제정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ESG 위원회도 수립하지 않았을 정도로 개선이 시급하다고 평가된다.
ESG 위원회에 대한 고민조차 하지 않았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ESG 경영 자체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의미다. 사외이사의 구성이나 여성 이사의 임명은 '보통' 수준을 유지했다.
2024년 기준 부채가 2179억 원으로 2022년 대비 대폭 증가해 경영 혁신이 요구된다. 부채의 증가 원인을 파악하고 경영 개선을 노력하지 않는다면 지속가능 성장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사회(Social)=사회는 이재명정부 들어 강조하는 산업재해에 대비하기 위해 2021년 안전보건경영방침을 수립해 실천해 관리 가능한 위험에 속한다고 판단했다.
사회공헌 캠페인인 '맑음바람 캠페인'도 추진 목적과 내용이 광범위해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일과 삶의 균형 측면에서 보면 육아휴직 사용자와 사용비율은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ESG 교육의 일환으로 환경교육을 진행했지만 구체적인 목표 의식은 부재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나 교육교재 등은 정리하지 않아 개선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
△환경(Environment)=환경은 환경영조직을 운영하고 다양한 환경보호 활동을 전개해 관리 가능하거나 무시할 수 있는 위험에 속한다고 평가했다.
폐기물을 종류별로 구분해 관리하거나 높은 폐기물 재활용비율 등은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제약업체 대부분은 환경에 대한 인식은 높은데 동화약품도 이러한 기조를 벗어나지 않았다.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정부·기업·기관·단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팔기는 주역의 기본 8괘를 상징하는 깃발, 생태계는 기업이 살아 숨 쉬는 환경을 의미한다. 주역은 자연의 이치로 화합된 우주의 삼라만상을 해석하므로 기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유용하다.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