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공기업 ESG 2차 평가] 67.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 경영 투명성과 경영 혁신 노력이 부족해 전체 ESG 경영 수준 미흡
경영 비전 및 경영전략 수립했지만 구체적인 성과는 미흡하며 부채 상환에 140년 소요... ESG 교육 내용·실적 공개하지 않아 평가 불가능
민서연 주임기자
2025-09-03
1999년 설립된 산업진흥 전문기관인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은 국내 보건산업 육성과 국제 경쟁력 제고를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한다.

설립 목적은 ‘보건산업의 육성 발전과 보건서비스의 향상을 위한 지원사업을 전문적·체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보건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보건 향상에 이바지함’으라고 밝혔다.

중장기 경영 미션은 ‘보건산업 육성과 글로벌 경쟁력 제고로 국민 삶의 질을 향상한다’로 비전은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과 국민건강 증진을 선도하는 글로벌 리더’로 정했다.

중장기 경영방침은 △자율경영 △혁신경영 △열린경영 △신뢰경영으로 설정했다. 경영방침에 따른 전략 목표는 △바이오헬스 혁신성장 인프라 강화 △바이오헬스 연구성과 창출 △바이오헬스 수출경쟁력 제고 △지속가능 혁신경영 체계 구축으로 수립했다.

KHIDI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

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KHIDI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2022년 ESG 경영 1차 평가... 종합청렴도 4등급까지 곤두박질에도 개선 노력과 의지 불명확

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ESG 전략 및 계획을 수립할 ESG실무추진단, ESG 성과지표 점검을 담당할 ESG사무국, ESG 추진·심의·자문기구인 ESG위원회를 조직했다.

법무감사팀이 윤리경영·청렴도·부패방지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나 윤리헌장·윤리강령·행동규범은 마련하지 않았다. ESG 경영은 고사하고 기초적인 윤리경영 기반조차 없는 셈이다.

2021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KHIDI는 16건의 지적을 받았다. 지적 사항은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R&D)에서 공익성·지역안배·기초연구 부족 △혁신형 제약기업의 ESG 평가 결과 미흡 등이다.

감사원 지적사항은 △2017년 7건 △2018년 3건 △2020년 4건 등으로 집계됐다.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 지적사항은 △2021년 11건 △2022년 2건 등 2년간 13건에 달했다. 지적 건수가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편이다.

종합청렴도 평가결과는 △2018년 3등급 △2019년 4등급 △2020년 3등급 △2021년 4등급 △2021년 4등급을 기록했다. 자체 감사부서는 정원 4명에 현원 4명이 배치됐다.

최근 6년간 징계 건수는 △2017년 2건 △2018년 2건 △2019년 2건 △2020년 1건 △2021년 1건 △2022년 2건 등 10건으로 집계됐다.

징계 사유는 △성실 의무 위반 △품위유지 의무 위반 등이며 징계 종류는 △견책 5명 △정직 3명 △해임 2명으로 조사됐다.

홈페이지에 ESG 교육을 위한 관련 교재는 없다. 전체 교육과정은 △제약 관련 3380건 △의료기기 관련 2690건 △고령친화 관련 85건, 의료서비스 관련 7건, 보건산업총괄 관련 2507건 등으로 많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사업장별 에너지 총사용량은 △2016년 12.86TJ(테라줄) △2017년 13.55TJ △2018년 14.38TJ △2019년 14.02TJ △2020년 14.95TJ로 집계됐다. 2018년까지 사용량이 증가하다 2019년 감소한 이후 2020년 다시 늘어났다.

녹색제품 구매 실적 비율은 △2019년 96.92% △2020년 98.03% △2021년 84.10%를 기록했다. 2021년 비율이 하락한 이유는 녹색제품 구매실적이 총구매액에서 구매이행계획으로 변경됐기 때문이다.

ESG 헌장을 제정하지 않았으며 지난 5년간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3~4등급을 유지해 개선의 여지가 많다. 2021년 청렴체감도가 5등급을 기록했을 정도로 미흡했다.

연평균 징계건수가 1.7건으로 많지 않지만 직원 규모에 비해 봉사활동 실적뿐 아니라 기부금액 역시 너무 적은 편이다. 노조와 공동으로 지속 가능한 ESG 경영을 추진하고 있으나 임직원을 교육시킬 ESG 관련 교재가 없는 점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폐기물 발생량이 2018년 이후 증가하고 있으며 환경보호와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겠다고 밝혔으나 정부의 2050 탄소중립사회 달성 목표에 발맞추기 위한 환경보호 노력은 드러나지 않아 아쉽다. 


◇ 2024년 ESG 2차 평가... 경영 비전 및 경영전략 수립했지만 구체적인 성과는 미흡하며 부채 상환에 140년 소요

ESG 경영 비전은 ‘KHIDI形 선도 ESG 경영으로 보건산업 육성’으로 밝혔다. ESG 경영 전략목표는 △친환경 보건산업 △함께하는 사회 △건강한 투명경영으로 각 전략목표에 따른 전략과제를 정했다.

2022년 8월 ESG 경영을 위한 노·사 선언문을 수립해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2022년 평가 당시와 마찬가지로 ESG 경영 헌장은 부재했다.

ESG 경영 거버넌스 부문의 전략목표는 ‘건강한 투명경영’으로 정했다. 전략과제는 △ESG 위원회 운영 △투명한 ESG 정보공시 △산업별 ESG 경영 지원 △소통형 윤리경영 △감사기구 전문성 강화로 수립했다.

2024년 이사회 구성원은 총 10명으로 기관장 1명, 상임이사 1명, 비상임이사 8명으로 구성됐다. 2021년과 비교해 구성원 수는 변동이 없었다. 2024년 여성 임원 수는 4명으로 2021년 4명과 대비해 변함이 없었다.

ESG 경영 조직으로는 △ESG 위원회 △ESG 사무국 △ESG 실무추진단을 수립해 운영한다. 이사회 내 위원회로는 △ESG 위원회 △임원추천위원회를 운영한다.

ESG 위원회는 ESG 경영추진 관련 정책을 결정하고 ESG 경영 추진과제의 성과점검 및 개선·보완 사항 등을 점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윤리비전은 ‘소통과 공감 기반의 국민이 신뢰하는 보건산업 전문진흥기관’으로 수립했다. 추진목표는 ‘시스템으로 부패를 예방하고 청렴리더십을 통한 청렴윤리의식 확립’으로 정했다.

추진전략은 △Track 1: 시스템 – 부패방지경영시스템을 통한 선제적 위험관리 △Track 2: 청렴윤리리더십 – 윤리경영을 위한 리더십 기반의 소통 활성화로 설정했다.

종합청렴도 평가결과(등급)은 △2020년 3등급 △2021년 4등급 △2022년 4등급 △2023년 3등급 △2024년 해당없음으로 집계됐다.

징계처분 건수는 △2020년 1건 △2021년 1건 △2022년 2건 △2023년 2건 △2024년 0건 △2025년 6월30일 기준 3건으로 집계됐다. 징계사유는 △품위유지의무 위반 △성실의무 위반 등으로 조사됐다.

2024년 자본총계는 135억 원으로 2021년 110억 원과 비교해 22.31% 증가했다. 2024년 부채총계는 127억 원으로 2021년 173억 원과 대비해 26.81% 감소했다. 2024년 부채율은 93.98%로 2021년 157.05%와 비교해 하락했다.

2024년 매출은 9447억 원으로 2021년 8913억 원과 대비해 5.99% 증가했다. 2024년 당기순이익은 9100만 원으로 2021년 3억 원과 비교해 76.36% 대폭 감소했다. 2024년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부채 상환에 약 140년이 소요된다.

◇ 2024년 무기계약직 평균 보수액 일반정규직의 93.01%... 2024년 육아휴직 사용자 수 39명으로 평균 유지

ESG 경영 사회 부문의 전략목표는 ‘함께하는 사회’로 정했다. 전략과제는 △소외없는 인권 강화 △일자리 및 근로 개선 △상생협력 및 동반성장 △진흥원 고유 ESG 사업 강화 △정보보호로 수립했다.

국민과 근로자의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재난안전통합경영시스템 운영을 통해 안전보건경영을 추진한다. 전사적 안전보건관리를 위한 안전문화 정착을 통해 자발적이고 자율적인 안전보건 관리를 운영한다. 유관기관 및 지역사회와 교류를 통해 안전문화 확산을 선도하고자 한다.

안전보건 경영방침을 수립하며 안전보건 책임경영 전략모델을 구축했다. 안전보건 경영 비전은 ‘안전보건·재해경감 통합 경영으로 국민·근로자 안전·건강 및 주요기능 연속성 확보’로 밝혔다. 목표는 ‘안전·재난 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보건경영 체계 확립 및 근로손실·산업재해 ZERO 실현’으로 정했다.

2024년 일반정규직 1인당 평균 보수액은 7166만 원으로 2021년 6526만원과 비교해 9.81% 인상했다. 2024년 여성 일반정규직의 1인당 평균 보수액은 6667만 원으로 남성 일반정규직 연봉인 7694만 원의 86.66% 수준이었다.

2024년 무기계약직 연봉은 6665만 원으로 2021년 5748만 원과 대비해 15.96% 인상했다. 2024년 여성 무기계약직의 연봉은 6381만 원으로 남성 무기계약직 연봉인 7115만 원의 89.69% 수준이었다. 2024년 무기계약직 연봉은 일반정규직 연봉의 93.01%로 2021년 88.08%와 비교해 증가했다.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2020년 40명 △2021년 40명 △2022년 38명 △2023년 35명 △2024년 39명으로 2022년 감소 후 2024년 증가했다.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2020년 6명 △2021년 5명 △2022년 7명 △2023년 8명 △2024년 9명으로 2022년 이후 근소하게 증가세를 보였다. 2023년 이후 남성 육아휴직 사용률은 20% 이상을 기록했다.

사회공헌 전략목표는 ‘상생협력을 통한 공공기관 사회적 책임 강화’로 수립했다. 추진전략은 △KHIDI와 함께 성장하는 지역 경제 활성화 △KHIDI와 함께 만드는 지역 사회공헌 확대로 각 추진전략에 따른 추진과제를 설정했다.

사회공헌 활동으로는 △명절 위문활동(설·추석 명절) △지역 취약계층 대상 정보화 환경개선 활동 및 사랑의 쌀 나눔 △사랑의 김장나누기 △수해지역 현장 복구지원 봉사활동 △디지털 도우미 봉사활동 △지역사회 소외계층 독거노인 도시락 반찬 배달 봉사활동 등을 진행했다.

봉사활동 횟수는 △2020년 32회 △2021년 43회 △2022년 38회 △2023년 37회 △2024년 37회로 2021년 증가 후 감소세를 보였다.

기부 금액은 △2020년 434만 원 △2021년 165만 원 △2022년 179만 원 △2023년 161만 원 △2024년 351만 원으로 감소와 증가를 반복했다.

2022년과 2023년 ESG 경영 결과보고서를 발간해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ESG 경영전략체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소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산업계 ESG 경영 확산에 따른 ESG 인식제고 교육 및 글로벌 진출을 위한 유관기관과의 협력 등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헬스케어 산업 분야의 국내외 ESG 현황 분석과 현지 기업 및 전문가들과 네트워킹을 통해 기술 및 시장 정보를 교류하고 있다.

보건산업 관련 중소벤처기업 ESG 관련 지원 건 수는 △2021년 9건 △2022년 35건 △2023년 7건으로 집계됐다.

◇ 환경 경영 비전 및 전략 방향 수립해 실천 중... 2023년 녹색제품 구매 비율 68.4%로 감소세

ESG 경영 환경 부문의 전략목표는 ‘친환경 보건산업’으로 정했다. 전략과제는 △친환경 경영체계 구축 △산업체 클린 환경 조성 △친환경 시설관리 및 에너지 녹색 전환으로 수립했다.

기관 실정에 맞는 ‘Green KHIDI 문화’ 조성으로 친환경 및 탄소중립을 실현하고자 한다. 환경비전은 ‘적극적인 탄소중립 활동을 통한 지속가능한 환경경영 구현’으로 밝혔다. 환경 전략방향은 △지속가능 ESG 경영체계 확립 △친환경·탄소중립 실현 △대내·외 친환경 문화 확산으로 설정했다.

환경경영시스템은 환경경영관리 PDCA로 △PLAN 목표 및 계획 수립 △DO 환경경영 활동 이행 △CHECK 모니터링 및 성과 점검 △ACT 성과 공유 및 환류로 수립했다. 관리역량을 결집해 전략과제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환경경영문화 인식을 확산하고자 한다.

온실가스 배출량 합계(Scope 1+2)는 △2021년 722.152tCO₂eq △2022년 732tCO₂eq △2023년 704tCO₂eq으로 증가 후 감소했다.

총 온실가스 배출 절감량은 △2021년 474tCO₂eq △2022년 464tCO₂eq △2023년 492tCO₂eq으로 감소 후 증가했다. 총 온실가스 배출 절감률은 △2021년 39.632% △2022년 38.796% △2023년 42.137%로 감소 후 증가했다.

녹색제품 구매액은 △2021년 2억2600만 원 △2022년 2억5100만 원 △2023년 2억5200만 원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녹색제품 구매 비율은 △2021년 81.5% △2022년 79.4% △2023년 68.4%로 감소세를 보였다.

사업장별 폐기물 발생 총량은 △2019년 9.5톤(ton) △2020년 11.83t △2021년 13.01t △2022년 12.44t △2023년 12.51t으로 근소한 증가세를 보인 후 2022년 소폭 감소했다.


▲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 종합청렴도 3~4등급에 정체되며 청렴윤리의식 정립에 실패... ESG 교육 내용·실적 공개하지 않아 평가 불가능

△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거버넌스는 ESG 위원회는 운영하고 있지만 ESG 헌장을 제정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성과도 미흡해 개선이 시급하다고 평가했다.

특히 윤리비전을 정립하고 청렴윤리의식 확립을 위해 노력한다고 밝혔지만 종합청렴도는 3~4등급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조직 전체적으로 부패를 청산하지 못하고 있음이 명확하게 드러났다.

△사회(Social)=사회는 안전보건경영을 추진하고 근로손실 및 산업재해 제로를 실현한다는 구상이지만 명확한 실적이 드러나지 않아 보통으로 판단했다.

다만 무기계약직의 연봉이 정규직의 93%에 달할 정도로 우수한 편이다. 육아휴직 사용자는 평균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2023년 이후 남성 육아휴직 사용률이 높아 다행스럽다.

봉사활동은 연간 37.4회로 많은 편이지만 기부금액은 매출액과 비교하면 적은 편이다. ESG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을 진행한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교육 내용이나 실적은 공개하지 않았다.

△환경(Environment)=환경은 서비스형 공기업으로 환경 관련 이슈는 많지 않아 관리 가능한 위험에 속하며 개선의 여지는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온실가스 및 사업장 폐기물 배출량은 미미한 수준이다. 녹색제품 구매액은 크게 변동이 없지만 구매비율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사회·환경 양호하지만 거버넌스 보통... 경영 투명성과 경영 혁신 노력이 부족해 전체 ESG 경영 수준 미흡

보건산업은 의학, 의료기기, 바이오헬스 등 보건에 관련된 기업을 포함한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후 생태안보 측면에서 전염병 대처, 국민보건 등에 대한 관심인 높아지고 있다.

한국 보건산업의 변화와 발전에 큰 책임을 갖고 있는 KHIDI의 ESG 경영 현황을 평가해 비교했다. 2022년 1차 평가와 2024년 2차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한국보건산업진흥원(KHIDI)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비교 [출처=iNIS]

거버넌스(G)는 ESG 위원회 신설, 부채액의 감소 등은 개선됐지만 다른 지표는 변화가 없어 '보통'수준이라고 평가했다. ESG 헌장은 여전히 제정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경영진의 의지 또한 명확하지 않았다.

비상임이사나 여성임원의 숫자는 변화가 없었으며 부채액은 대폭 하락했다. 종합청렴도는 2022년 4등급을 기록했지만 2024년 내역은 해당사항이 없다고 밝혔다.

부채가 크게 감소했지만 2024년 당기순이익이 1억 원도 되지 않아 부채 상환에 140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획기적인 경영개선 조치가 없다면 정상 경영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사회(S)는 무기계약직의 연봉 수준, 육아휴직사용자 수, 기부금액 등이 개선되며 '우수'로 판단했다. 특히 무기계약직의 연봉은 정규직 대비 88%에서 93%로 대폭 개선됐다.

이재명정부는 업무의 난이도 차이가 없다면 '동일노동 동일임금'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 사용자 단체나 경영자가 부정적인 의견을 내비치고 있지만 세계적인 추세라고 봐야 한다.

육아휴직 사용자는 변화가 없지만 대상자 중 사용비율에 대한 정보를 공개해야 정확한 평가가 가능해진다. 기부금액은 약 2배 가량 증가해 양호하다고 판단했다.

환경(E)은 사업장 폐기물 발생량과 녹색제품 구매금액은 모두 동일할 뿐 아니라 규모도 미미해 '우수'로 평가했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기업으로서 환경에 대한 고민은 크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환경경영시스템을 구비하고 한경경영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노력 중이다. 우리나라에서 ESG가 환경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상황에서 나오는 부작용이라고 봐야 한다.

환경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거버넌스에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영 투명성과 혁신 노력이 부족해 전체적인 ESG 경영 평가가 우호적이기 어렵다는 점도 다시 한번 더 강조한다.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정부·기업·기관·단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팔기는 주역의 기본 8괘를 상징하는 깃발, 생태계는 기업이 살아 숨 쉬는 환경을 의미한다. 주역은 자연의 이치로 화합된 우주의 삼라만상을 해석하므로 기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유용하다.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경제·경영 분류 내의 이전기사
주간 HOT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