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ESG 경영평가] 02. 아모레퍼시픽의 80년 혁신 노력... 책임경영 강화와 지속적인 주주 가치 제고 추진 중
글로벌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 통해 산재 축소 추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생물자원 활용·생물다양성 보전 노력
민진규 대기자
2025-09-05
1945년 9월 5일 창립한 아모레퍼시픽(회장 서경배)은 창립 80주년을 맞이해 '아름다움을 포기하지 않을 때, 우리가 가야할 길이 보였다'는 메시지를 담은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은 집념을 갖고 아름다움에 도전한 역사와 글로벌 뷰티 문화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창업정신인 '아름다움과 건강으로 인류에 공헌하겠다'는 마음과 일맥상통한다

아모레퍼시픽은 지속가능경영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경영 체계를 구축하고 이사회 산하 ESG위원회를 최고 의사결정기구로 운영하고 있다. 지속가능경영위원회, 지속가능경영센터, 지속가능경영 워킹그룹 등도 가동 중이다.

또한 지속가능경영위원회는 2024년 대표이사를 포함한 주요 경영진 협의체로 플라스틱 3R(Reduce, Reuse, Recycle) 성과 및 글로벌 규제 대응 방안에 대해 토론했다.

지속가능경영센터는 그룹 차원의 지속가능경영 전담 조직으로서 전사 전략 수립과 방향 설정, 이행 성과의 취합 및 검토를 수행하고 있다.

지속가능경영 워킹그룹은 지속가능경영 과제의 추진 현황, 주요 어젠다,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 등을 경영진과 ESG위원회에 정기적으로 보고한다. 아모레퍼시픽이 달성한 ESG 경영성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아모레퍼시픽 창업주 서성환 회장 [출처=홈페이지]

◇ 경영진과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사외이사 선임... 책임경영 강화와 지속적인 주주 가치 제고 추진 중

기업의 설립 목표인 미션(Mission)은 '사람을 아름답게, 세상을 아름답게(We make a more beautiful world)'이다. 모든 이해관계자가 공감대를 형성한 비전(Vision)은 '모든 고객들이 New Beauty를 통해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발견하여 건강하고 생복한 삶을 실현할 수있도록 합니다(Live Your New Beauty)'로 정했다.

아모레퍼시픽이 추구하는 가치는 △고객을 중심으로 행동한다 △최초, 최고를 위해 끊임없이 시도한다 △열린 마음으로 협업한다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한다 △스스로 당당하게 일한다 등이다.

아모레퍼시픽은 건전한 지배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이사회를 구성하고 이사회 운영을 통해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이해관계자의 가치 창출을 추구하고 있다.

이사회는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구성해 경영진과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사외이사는 독립성, 다양성, 전문성 등을 고려해 추천되며 주주총회에서 개별적으로 선임된다. 대주주나 경영진의 영향력에서 자유로운 이유다.

이사는 이사회에 최소 50% 이상 참석해야 하는데 2024년 기준 이사회 평균 참석률은 100%로 조사됐다. ‘이사회 다양성 기준 가이드라인’에 따라 이사는 성별, 지역, 학력, 장애, 국적, 인종 등에 따른 차별 없이 실무 경험과 전문 역량을 갖춘 인사를 선임한다.

기업이 ESG 경영을 도입하는 이유 중 하나가 소액 주주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아모레퍼시픽은 모든 주주에게 공평한 의결권을 보장하기 위해 ‘1주 1의결권’ 원칙을 적용하고 있다.

연결 재무제표 기준 당기순이익의 35%(일회성 비경상 손익 제외) 및 연간 잉여현금흐름의 50% 한도 내에서 배당하고 있다. 2023년과 2024년 모두 해당 기준에 부합하는 배당성향을 기록했다.

국내·외 사업 활동으로 창출된 현금을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재투자하고 있다. 2022년 북미 클린뷰티 브랜드 ‘타타하퍼’ , 2024년 스킨케어 브랜드 ‘코스알엑스’를 각각 인수했다.

2024년부터 2027년까지 브랜드, 제품, 카테고리, 지역 등 전 사업 영역의 포트폴리오 경쟁력 강화를 통해 연평균 약 10%의 매출 성장과 2027년 영업이익률 12%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9년 주가 안정을 위해 자기주식을 매입했으며 2021년부터 임직원 성과보상 목적의 자사주 취득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책임경영 강화와 지속적인 주주 가치 제고를 함께 추진 중이다.


▲ 아모레퍼시픽 사옥 전경 [출처=홈페이지]

◇ 전사 리스크관리위원회로 잠재 리스크 식별 및 대응... 윤리경영 Hotline으로 제보 접수 및 처리 노력

ESG 경영에서 리스크(risk)는 경영 전반에 걸쳐 발생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리스크 관리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최고경영진으로 구성된 전사 리스크관리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미래혁신팀은 리스크 관리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며 분기별로 운영되는 위기관리위원회와 협력해 사업 운영 리스크를 모니터링해 대응 전략을 수립한다. 해외 법인의 리스크 관리 체계를 고도화해 글로벌 리스크 대응 기반을 마련했다.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에 따라 도출된 리스크를 6개 범주로 분류했다. 기업의 평판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과 윤리 및 법규 관련 사항은 별도로 구분해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잠재 리스크를 사전에 식별하고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 중이다. 2024년 총 3개의 주요 잠재 리스크를 식별해 대응했다.

해외 사업을 영위하며 관할 국가의 세법도 엄격하게 준수하고 있다. 투명하고 정당한 조세 납부를 통해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다국적 기업의 조세 회피 BEPS(Base Erosion and Profit Shifting)를 방지하기 위한 글로벌 기준에 따라 매년 ‘국제거래정보 통합보고서’를 제출한다. 국가 간 세율 차이를 이용한 조세 부담 회피를 지양하기 위함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탐욕적인 기업활동에 대한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글로벌 선도 기업은 윤리경영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아모레퍼시픽은 윤리경영 및 컴플라이언스 가이드를 수립했다.

이해관계자와의 신뢰를 강화하고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부패방지 정책을 수립·운영한다. 2023년 5월 국제표준화기구(ISO) 37001 부패방지경영시스템 인증을 취득했다.

매년 온라인으로 ‘윤리경영 가이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2024년 교육 내용은 △회사 자산의 올바른 사용 △이해관계자 금품·향응·접대·편의 수수 제한 △다크 패턴 규제 강화 △제보사이트 윤리경영 Hotline 안내 △직장 내 성희롱 예방 등이다.

윤리경영을 실질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윤리경영 Hotline’ 웹사이트를 개설했다. 제보할 수 있는 내용은 성희롱·괴롭힘, 사규 및 정책 위반, 하도급 분쟁 조정 신청, 지식재산권 및 영업비밀 침해 등으로 광범위하다.

제보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익명을 허용하고 있다. 제보자의 신분이 드러나지 않도록 보호하고 있을 뿐 아니라 신분상 불이익이나 차별을 금지하기 위해 노력한다.

2024년 직장 내 성희롱·괴롭힘, 회사 자산의 사적 유용, 업무 프로세스 위반 등 총 19건의 비윤리 제보에 대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모두 처리했다.


▲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회장 [출처=홈페이지]

◇ 고충처리 채널로 인권경영 고도화 추진... MZ 세대 포용하기 위한 교육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인권경영은 모든 이해관계자의 인권을 존중하고 보호하는 노력을 말한다. 아모레퍼시픽은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United Nations Global Compact’, ‘세계인권선언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국가인권위원회’ 등에서 제사하는 인권 원칙을 준수하고 있다.

윤리경영을 준수하기 위한 방안과 같이 인권침해를 예방 및 해결하기 위해 고충처리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제보자의 신분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를 구비하고 있으며 익명 신고도 허용한다.

신고된 제보는 투명하게 처리하고 있으며 인권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신속하게 구제하고 있다. 직원 뿐 아니라 협력사나 외부 이해관계자도 고충처리 채널에 접근이 가능하다.

인권경영은 최고경영자(CEO)의 구호가 아니라 교육을 통해 전파되고 정착한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2024년 온라인 과정을 개설해 성희롱 에방과 장애인 인식 개선 관련 교육을 진행했다.

국가정보전략연구소는 기업문화(corporate culture)를 변화시키는 핵심 요인이 사람(people) 즉 직원(employee)이라고 인식한다. 아모레퍼시픽은 직장 내 신뢰와 존중의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채용 과정에서 국내·외 다양한 배경의 인재를 차별하지 않는다. 임직원의 직무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직무 관련 지식과 노하우를 학습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MZ(밀레니얼 + Z) 세대가 중시하는 일과 삶의 균형(work & life balance)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복지 제도를 구비했을 뿐 아니라 성과에 따른 공정한 평가 및 보상을 실천한다.

급여보다는 성장잠재력에 관심을 갖고 있는 MZ 세대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일에 대한 열정을 높이는 방안으로 교육을 중시하고 있다.

전문 교육 프로그램은 세부 직무의 현황과 구성원의 성장 니즈를 분석하고 미래 성장을 촉진하는 새로운 기술 도입과 성과 저해 요인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교육 내용은 실제 사례 중심의 경험과 노하우를 통해 실무에 적용 가능한 인사이트를 얻고 각 카테고리 및 조직에 특화된 콘텐츠로 학습의 효과를 높였다.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학습하고 성장하는 플랫폼을 구축했다. 직원 스스로 ‘기버(Giver)’가 되어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사내 학습 플랫폼 ‘노크(Knowledge for Coworkers, KNOCK)’에 ‘노크앤토크(Knock&Talk)’ 프로그램을 새로 도입했다.

영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에 능통한 직원들이 동료에게 비즈니스와 관련된 외국어 실습 기회를 제공하는 성과를 거뒀다.

아모레퍼시픽은 '인공지능전환(AXAI, AI Transformation)' 시대에 맞춰 전 구성원의 AI 역량 강화와 활용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사내 AI 전문가로 구성된 AI Teaching Crew를 발굴하고 효과적인 AI 활용 노하우를 전파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Z세대의 AI 활용 트렌드, AI 시대 마케팅의 미래, 생성형 AI를 활용한 기업 사례 등 다양한 주제를 다뤘다.


▲ 2008년 AP Way 선포 자료 [출처=홈페이지]

◇ 사회적 가치 실현 위해 다양성 및 포용성 강조... 글로벌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 통해 산재 축소 추진

2030 지속가능경영 목표 중 하나로 다양성과 포용성을 핵심 가치로 선정했다. 2024년 신규 입사자들이 다양성과 포용성의 가치를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맞춤형 교안을 제작했다.

2023년부터 ‘유니버설 자문단’을 운영하고 있는데 장애,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모두가 아름다움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유니버설 자문단은 위드림 소속의 다양한 신체적 특성을 지닌 임직원들로 구성됐다.

자문단은 프로젝트 기획부터 샘플 검수까지 개발 과정 전반에 참여한다. 구성원들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제품 및 서비스에 고객 중심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반영할 뿐 아니라 제품 패키지의 점자 표기 개선, 용기 사용 편의성 향상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사 사내식당인 ‘AP TABLE’은 2025년 1월부터 다양성과 포용성을 반영한 중식 메뉴를 상시 제공하고 있다. 개인의 취향과 선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준-채식(Semi-vegetarian)부터 비건(Vegan)까지 운영하고 있다.

마몽드, 에스쁘아 등의 제품에도 다양성 정신을 포용했다. 우선 마몽드는 경계 없는 아름다움을 지향하며 신제품 단상자에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표기 방식을 고도화했다.

에스쁘아는 시각 장애인이 메이크업 제품을 사용할 때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제품과 단상자에 점자 표기를 적용했다. 특히 컬러 제품 용기에는 호수 명칭 대신 컬러 계열을 점자로 표기해 색상 자체로 제품을 구분할 수 있다.

2025년 6월4일 출범한 이재명정부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근로자의 안전보건을 중시하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관리·감독 하에 있는 임직원뿐만 아니라 고객, 협력사, 지역사회 등 모든 이해관계자의 안전과 건강을 강조한다.

전사 안전보건경영위원회를 통해 전체 사업장의 안전관리 실적과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법규 및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전 사업장의 잠재적 위험을 발굴해 개선하는 중이다.

글로벌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인 ISO 45001을 유지하고 있다.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안전성을 강화하고 주기적인 성과 평가를 실시해 개선 기회를 식별하기 위해 노력한다.

사업장 자체 점검, 안전점검단 중심의 소방·전기·기계 설비 정기 점검, 외부 전문가를 통한 3자 점검 등을 실천하고 있다. 외부 전문가와 합동 진단을 통해 총 10개 사업장을 점검했였으며 265건의 개선 항목을 발굴했다.

2024년부터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이 5인 이상 기업으로 확대됨에 따라 고위험 작업을 수행하는 사내 협력사 10개사의 법규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안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진단 및 기술 지원을 실시했다.


▲ 아모레퍼시픽 미술관 전경 [출처=홈페이지]

◇ 공급망의 ESG 경영 평가해 인센티브 제공... 20년 이상 경력자 선임해 개인정보 보호 강화 추진

유럽연합(EU)의 기업지속가능성 보고지침(CSRD)은 공급망에 대한 ESG 가이드라인 준수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협력사 계약서에 행동규범 준수 조항을 명시해 운영한다.

행동규범은 노동·인권(7개), 안전·보건(8개), 환경(11개), 윤리경영(10개) 등 총 36개의 준수 항목을 포함한다. 세부 실천 사항을 매뉴얼로 제작해 협력사에 배포했다.

2024년 구매 현황 기준으로 383개 1차 협력사 중 핵심 협력사는 총 44개사이며 이 중 포장재 관련 협력사는 21개사, 원료 관련 협력사는 15개사, ODM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협력사는 8개사 등이다.

매년 종합 평가 결과에 따라 우수 협력사에는 동반성장 프로그램 우선 지원, 거래 물량 우선 배정, 시상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주요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 평가를 정기적으로 시행하며 그 결과를 협력사 정기 종합 평가에 10% 비중으로 반영하고 있다. 일정 수준 이하의 평가 등급이 지속되면 거래 축소 및 제한과 같은 사후 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다.

매년 협력사를 대상으로 ESG 이해 및 현장 관리 실무 등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2024년 협력사의 안전 인프라 강화를 위해 안전모, 안전화, 방진 마스크, 청력 보호구 등 주요 안전용품의 구매를 지원했다.

중소 협력사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2015년부터 매년 해외 전시회 참가 비용과 인력을 지원한다. 2024년 홍콩에서 개최된 세계 3대 뷰티 전시회 ‘코스모프로프 아시아’에 5개 협력사, 태국에서 열린 ‘인코스메틱 아시아’에 1개 협력사가 각각 참가했다.

임직원 뿐 아니라 고객 등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도 중요한 이슈에 소한다. 아모레퍼시픽은 정보보호 선언문을 통해 정보보호에 대한 회사의 의지, 목표 및 행동 방침을 임직원과 공유하고 있다.

리스크관리위원회, 정보보호 최고책임자(CISO, Chief Information Security Officer). 개인정보 보호 최고책임자(CPO, Chief Privacy Officer)를 지정했다.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 보호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한 정보보안센터장을 CISO 및 CPO로 선임했다. 종합적인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을 구축했다.

연 1회 필수 교육을 통해 전 구성원의 정보보안 인식 제고한다. 2024년 교육 내용은 ‘사이버 보안 위협 대응 요령’, ‘개인정보 생명 주기별 유의 사항’, ‘시스템 운영 시 고려해야 할 기술적 보안’ 등이다.

고객을 직접 응대하는 매장 및 방문 판매 뷰티 파트너를 대상으로 ‘매장에서 유의해야 할 개인정보 오남용’ 및 ‘고정형 영상정보처리기기 운영·관리’를 주제로 온·오프라인 교육을 진행했다.

최근 사이버 침해 공격은 서버와 같은 핵심 인프라를 직접 겨냥하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PC에 랜섬웨어(Ransomware) 등 악성 프로그램을 주입해 기업 전체로 확산시키는 형태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EDR(Endpoint Detection & Response)을 도입해 PC 보안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알려지지 않은 신규 악성 코드를 탐지하고 PC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행위를 감지한다.

2024년 신규 서비스 81건, 기존 서비스 수정 100건에 대해 서비스 개시 전에 점검 및 개선을 완료했다. 2024년 총 222개 시스템의 소스 코드 일괄 점검과 모의 해킹 테스트를 수행했다.


▲ 아모레퍼시픽, 통합 멤버십 '뷰티포인트'_리뉴얼_론칭 [출처=홈페이지]

◇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고객만족도 향상... 한부모 여성 가장의 자립 돕는 '희망가게' 553호 오픈 및 지원 

기업 경영에 있어서 소비자인 고객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2024년 8월 전사 통합상담센터를 구축해 고객과 소통을 확대하고 있다.

이니스프리, 에뛰드, 에스쁘아, 오설록 등은 상담센터 개설 이전 대비 4개 계열의 월평균 응대량은 2773건으로 59% 증가했다. 월평균 응대율도 82%로 19.7%p 상승했다.

2024년 11월 카카오톡 채널 내 챗봇 및 상담톡 서비스를 제공하는 Gen AI 기반 챗봇 ‘AIBC(Amore AI Beauty Counselor)’를 론칭했다.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해 기존 챗봇보다 광범위하고 정확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고객 VOC(Voice of Customer)분석을 기반으로 e커머스 운영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개선 활동을 추진했다. 제품 품절로 인한 주문 취소 프로세스를 개선해 월평균 강제 취소 건수를 4000건에서 1000건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2019년부터 고객 상담을 완료한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시행하는 등 고객 만족도 관리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24년 접수된 소비자 불만 456건 중 452건을 해결해 해결률이 99.1%를 기록했다.

2023년 6월 개정된 「환경 관련 표시·광고에 관한 심사 지침」 및 동년 3월 발표된 EU 친환경표시지침(Green Claims Directive)에 맞춰 그린워싱(Greenwashing) 예방 교육을 실시했다.

2024년 상반기부터 그린워싱 및 환경성 과장 광고에 대한 임직원 역량 강화를 위해 ‘그린워싱 최소화 가이드북’을 배포하고 유관 부서 임직원을 대상으로 심화 교육을 확대 진행하고 있다.

북미와 서유럽 기업은 1980년대 초부터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다양한 문제점을 정부가 해결하기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기업의 이해관계자인 주주와 임직원 뿐 아니라 고객, 협력업체, 지역 공동체, 지방정부, 중앙정부 등도 공생의 협력기반 구축이 불가피하다고 믿었다.

아모레퍼시픽은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성실히 이행하기 위해 노력한다. 경제적 자립이 필요한 계층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시민의 건강한 삶을 위해 다양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또한 ‘여성에게 받은 사랑을 여성에게 돌려준다’는 기업 철학을 바탕으로 ‘희망가게’ 사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2024년 ‘희망가게’ 26개소(누적 553호점)를 새롭게 오픈했다. 밀착 사후 관리를 총 2226회 실시헸다.

2024년 라네즈, 미쟝센, 이니스프리, 에뛰드 등 11개 브랜드가 참여해 전국 3000여 개 사회복지시설에 화장품 및 생활용품을 전달했다. 2005년부터 현재까지 누적 988억 원 규모의 물품을 전국 43만여 개 사회복지시설에 기부했다.

2024년 매칭기프트(Matching Gift) 캠페인에 아모레퍼시픽 임직원 200여 명이 참여했다.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월드비전, 한국컴패션, 유니세프 등 총 121개 사회복지시설에 1억2291만 원의 기부금을 전달했다.

임직원 자율 봉사단 ‘앞나눔즈APnanums’는 ‘앞장서 나눔nanum 활동을 실천하는 아모레퍼시픽AP 구성원의 모임’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2024년 2기와 3기를 운영했다. 활동 내역은 청년 멘토링, 지역아동센터 봉사, 다문화가정 보호시설 지원, 수중 정화 활동, 등산 플로깅, 플라스틱 캠페인, 시각장애인 도서 제작, 시각장애인 마라톤 가이드 러너 등으로 다양하다.


▲ 세계면세박람회에 참석한 아모레퍼시픽 [출처=홈페이지]

◇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2024년 전력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

환경경영은 하나 뿐인 지구를 보전하고 후손들에게 살기 좋은 환경을 물려주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사회 산하에 ESG위원회를 설치해 환경경영 목표와 이행 결과를 검토한다.

이사회는 연 1회 환경 관련 실적과 계획을 확인하고 있다. CEO는 지속가능경영위원회을 통해 환경 관련 전략을 수립한다. 환경경영시스템 ISO 14001을 도입해 환경 사고를 예방하고 리스크를 관리한다.

각 사업장은 ‘Plan-Do-Check-Act’의 4단계로 구성된 안전·보건·환경 관리 표준을 엄격히 준수하고 있다. 리스크 중심 감사 체계를 도입해 리스크 점수가 높은 항목을 우선적으로 개선한다.

화장품 제조에 투입되는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했다. 2024년 연구개발 단계에서 도입되는 원료의 정보 정합성을 높이기 위해 원료정보시스템을 오픈했다.

화학물질 통합관리시스템은 규제 검토를 거친 화학물질의 물질안전보건자료, 경고표지, 작업공정별 관리 요령 등을 관리한다.

환경 관련 법률인 대기환경보전법, 물환경보전법, 폐기물관리법, 잔류성오염물질 관리법, 소음·진동관리법, 악취방지법, 토양환경보전법, 화학물질관리법,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등을 준수하고 있다.

제조 환경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줄이고 재생에너지로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투자를 늘리고 있다. 대기 감지 초음파 카메라로 대기오염을 감지하고 폐수처리 공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탈수기를 교체했다.

지구온난화로 기상이변이 가속화되면서 넷제로(Net Zero)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산화탄소가 지구온난화의 주범이기 때문이다. 2024년 주요 생산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했다.

2030년까지 Scope 1 및 Scope 2 온실가스 배출량을 48.9% 감축하고 2050년까지 넷제로를 달성할 계획이다. 2024년 아모레 뷰티 파크, 데일리뷰티 사업장, 상하이 뷰티사업장, 헬스케어 생산 사업장 등 주요 사업장과 전국 물류센터에서 100% 재생전력 전환을 완료했다.


▲ 아모레퍼시픽_한율이 세포라통해 미국시장 공식 진출 [출처=홈페이지]

◇ 원료 사용 규제해 환경 영향을 최소화한 제품 개발... 2008년 자체적인 동물실험 전면 중단

화장품은 다양한 원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안전이 중요한 이슈에 속한다. 정부는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글로벌 화학물질 규제, 화장품 안전, 환경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아모레퍼시픽은 법적으로 허용되는 성분이라도 고객의 관심도와 최신 안전성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자체 기준에 따라 사용을 제한한다. 특히 파라벤, 트리클로산, 벤조페논류, 과불화화합물, 일부 색소, 특정 자외선 차단 성분 등을 철저하게 규제한다.

고객이 화장품 성분의 출처와 채취 방법, 피부에 미치는 효과 등에 대한 정보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기업 홈페이지를 통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일관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품질경영시스템 ISO 9001과 화장품 GMP(ood Manufacturing Practices) 인증인 ISO 22716을 유지하고 있다. 2024년 오산 아모레 뷰티 파크가 미국 FDA로부터 일반의약품 품질관리시스템에 대한 적합 승인을 받았다.

2015년부터는 국내 화장품 업계 최초로 수생 환경 독성을 측정할 수 있는 시험법을 도입했다. 제품과 성분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목적이다.

생분해성이 높고 생물축적성과 생태독성이 낮은 성분을 선별해 환경 영향을 최소화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전 제품의 개발 과정에서 생분해성 성분의 함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1994년부터 화장품 동물실험 금지 법령(EU 2013년, 대한민국 2017년) 시행에 앞서 동물대체시험법 연구를 선제적으로 수행해 왔다. 2008년 자체적인 동물실험을 전면 중단했다.

2013년부터 ‘화장품에 대한 불필요한 동물실험 금지’ 선언에 따라 타국가의 법령에 의해 불가피하게 동물실험이 요구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협력업체를 포함한 모든 단계에서 동물실험을 금지했다.

우리 속담에 '물 쓰듯 한다'는 말이 있다. 어떤 물건이나 시간을 절약하지 않고 낭비한다는 의미인데 과거에는 물이 흔하고 공짜에 가까워 이른 표현을 사용했다.

하지만 현재는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수자원을 절약하기 위해 우수(雨水) 사용 등을 확대하고 있다. 우수를 세탁용수, 소방전, 유틸리티 시설용수, 수봉식 진공펌프 등에 투입한다.

하수종말 처리장으로 보내던 폐수도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한다. 현재 폐수를 정화해 조경용수로 재활용하고 있다. 센서, 수위계, 인버터, 자동밸브 등을 연동한 AI 기반 자동 제어 시스템도 개발했다.

세면기 수전에 절수기를 설치해 상수 사용량을 효과적으로 절감했다. 본사 오피스 구역 내 세면기 수전 468개에 절수기를 설치하고 급수 공급률을 30%에서 최대 85%까지 조절한다. 연간 약 1만5000톤의 상수 사용량을 줄였다.


▲ 아모레퍼시픽이 '화장품의 날 맞아' 시각장애인 대상 점자 생활용품 기부 이미지 [출처=홈페이지]

◇ 2022년 상반기 폐기물 매립 제로(0) 목표 달성해...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생물자원 활용·생물다양성 보전 노력

아모레 뷰티 파크는 2024년 5월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 주관하는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사업의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 정보통신기술(ICT),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 저감, 자원 순환, 환경 보건 등 10개 분야를 개선했다.

2024년 11월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을 완료했다. 인버터 터보 블로어 및 태양광 발전 설비 추가 구축을 통해 연간 279tCO₂eq의 온실가스 저감, 악취 방지시설 개선 등이 대표적 성과다. 대기오염방지시설 및 차세대 폐수 슬러지 탈수기를 도입했다.

폐기물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각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물질별·종류별로 세분화했다. 재활용률이 우수한 업체를 발굴하고 지원해 재활용률을 제고한다.

2022년 상빈기 중장기 목표로 추진하던 글로벌 생산 사업장의 폐기물 매립 제로(0)화를 달성했다. 생산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집진기 분진 등 다양한 폐기물을 재활용하고 있다.

지역 사회에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 법적 허용 기준보다 강화된 내부 기준에 따라 대기 환경을 관리하고 있다.특히 악취의 주요 원인인 황화수소 농도를 줄이고 폐수처리 공정을 밀폐형 구조로 전환했다. 악취가 외부로 나가지 않도록 차단하기 위함이다.

화장품 원료의 상당 부분이 식물자원에서 유래함에 따라 생물다양성 보전이 비즈니스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고 인식한다.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생물자원을 활용하고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한반도 자생 식물자원의 숨은 가치를 발굴하고자 연구 투자를 늘리고 있다. 서식 환경을 위협받는 자생 식물의 보호 필요성도 강조하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 및 국립백두대간수목원과 식물 관련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포장재 구매 프로세스에서 포장재의 중량과 재질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사업업을 영위하는 각 국가의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요구에 따라 연간 포장재 사용량을 보고한다.

2025년 9월 5일 창업 80주년을 맞이한 아모페퍼시픽은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을 개척하는 선두 기업이다. 화장품 산업의 불모지에서 K뷰티를 개척한 일등공신이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이 지난 후 글로벌 화장품 산업의 지형이 급변하고 있다. 또한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전쟁을 벌이면서 자유무역의 기조가 무너지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아모레퍼시픽도 시장 다변화와 신시장 개척이 중요한 시점이다. 이재명정부가 전통적 수출국가인 중국과 미국을 대체할 신시장으로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중남미 등이 후보지로 삼고 있어 참고하면 좋겠다.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금융 분류 내의 이전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