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통상산업부"으로 검색하여,
1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한-필리핀 비즈니스 포럼’(왼쪽부터 크리스티나 알데게르 로케 필리핀 통상산업부 장관, 메랄코 로니 아페로초 수석 부사장, 두산에너빌리티 정연인 부회장, 최상목 경제부총리)[출처=두산에너빌리티]두산에너빌리티(대표이사 회장 박지원, 부회장 정연인)에 따르면 2024년 10월7일(현지시각) ‘한-필리핀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해 필리핀 전력 기업과 포괄적 협력을 위한 2건의 MOU를 체결했다. ‘한-필리핀 비즈니스 포럼’은 윤석열 대통령이 필리핀 국빈 방문 기간 중 필리핀 수도 마닐라에서 개최됐다. 필리핀 최대 전력기업인 메랄코(Meralco)와 원자력, 소형모듈원자로(SMR), 가스터빈을 중심으로 협력할 방침이다.협약서에는 메랄코의 마누엘 베레즈 판길리난(Manuel Velez Pangilinan) 회장, 로니 아페로초(Ronnie L. Aperocho) 수석 부사장과 두산에너빌리티 정연인 부회장, 김정관 부사장이 서명했다.두산에너빌리티는 민자발전사인 퀘존파워(Quezon Power)와 필리핀 복합화력발전소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등 전력 인프라 확충을 위해 필리핀 기업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양사는 퀘존지 역에 향후 수소터빈으로도 전환이 가능한 가스터빈을 포함해 1200메가와트(MW)급 천연가스 복합화력발전소를 추진할 계획이다.퀘존파워는 생산된 전력의 판매, 규제 허가 및 승인 등 프로젝트 개발을 담당하고, 두산에너빌리티는 발전소 주기기 공급을 포함한 EPC 수행을 협력할 계획이다.필리핀은 한국과 동일한 60헤르츠(Hz)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어 한국형 가스터빈 수출이 용이하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필리핀 시장 확대를 위해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2024년 6월 메랄코의 마누엘 베레즈 판길리난 회장과 주요 경영진이 두산에너빌리티 창원 본사를 방문해 생산 역량을 살펴봤다.2023년 마닐라에서 필리핀 환경부 관계자를 비롯해 메랄코, 디벨로퍼인 아보이티즈(Aboitiz) 등 잠재 고객사들을
-
▲ 동남아시아 주요국의 국기 [출처=CIA]2024년 7월15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필리핀 아얄라 그룹의 AC 모빌리티(AC Mobility)는 파라냐케 자사 쇼핑몰에 전기자동차(EV) 충전시설을 설치했다.7월10일 캄보디아 압사라청(ANA)은 앙코르 보타닉 가든이 트립어드바이저의 트레블러스 초이즈 어워즈 2024를 수상했다고 발표했다.7월13일 싱가포르 북부 셈바왕과 서부지구 초아추캉에 종합병원 WHC(Woodlands Health Campus)이 신설됐다.◇ 싱가포르 통상산업부 국내 경제 전년 대비 2.9% 성장7월12일 싱가포르 통상산업부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동안 싱가포르 경제가 전년 대비 2.9% 성장했다. 지난 1분기와 비교했을 때는 3% 성장한 것이다.제조업 부문은 전년 대비 0.5% 성장했으나 1분기 대비 1.7% 하락했다. 메이뱅크(Maybank)는 하반기에는 반도체 클러스터가 제조업 분야의 회복을 이끌 것이라고 예상한다.7월13일 북부 셈바왕과 서부지구 초아추캉에 WHC(Woodlands Health Campus)가 신설됐다. 이로써 서비스 접근성이 높아져 주변 거주민들이 급성 질환에 의해 병원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응텡퐁 종합병원(NTFGH)과 셍캉 종합병원(SKH)에 이은 WHC는 응급실, 지역병원, 요양원을 통합한 형태이다. 싱가포르 북부지역의 환자 수용력을 높이기 위해 WHC가 완전히 개장한 후 응급 및 지역병원 병상 1000개를 설치할 계획이다.◇ 말레이시아 U모바일 국내 2번째 5G 네트워크 모델 구출 위해 네트워크 시설 공급업체 불리쉬 에임 외 3곳과 양해 각서 체결통신서비스업체 U모바일(U Mobile)은 네트워크 시설 공급업체(NFP) 4곳과 양해각서(MoU)를 통해 말레이시아 커뮤니케이션 멀티미디어 위원회(MCMC)와 국내 2번째 5G 네트워크 모델 구축을 가속화할 방침이다.최신 5G 네트워크 공공 기반시설을 효율적으로 설치하며 필요한 정보로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맞춤형 사이트를 개설할 예정이다.
-
2024-06-10▲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출처: MTI)싱가포르 통상산업부(MTI)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국내 경제 성장률은 0.1%로 집계됐다. 2023년 4분기 성장률 1.2%와 비교해 둔화된 것이다.2024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1%에서 3% 사이로 변동이 없다. 국내 제조업과 무역 관련 산업이 점진적으로 성장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제조업 내에서도 특히 전기제품 클러스터의 성장률이 분기 내로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과 컴퓨터, 인공지능 등에 필요한 세미콘덱터 수요 때문이다.제조업 성장률은 2023년 1분기 5.4%에서 2024년 1분기 1.8%로 수축했다. 반면 서비스 산업 성장률은 2023년 1분기 1.9%에서 2024년 1분기 3.9%로 확장됐다.항공 서비스와 여행 수요가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숙박과 항공 서비스 등 항공업과 관광 관련 사업의 성장률은 계속 성장할 것으로 판단된다.다만 중동 내의 긴장 상태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의한 글로벌 공급체인망 및 상품시장 영향으로 국내 경제 리스크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
▲ 싱가포르 정부 통상산업부(MTI) 로고싱가포르 통상산업부(MTI)에 따르면 2024년 국내총생산(GDP) 성장율은 1~3% 사이로 전망된다. 2023년 경제 성장율이 예상보다 둔화하며 GDP 성장율이 1.1%에 불과했기 때문이다.정부의 2023년 GDP 성장율 전망치인 1.2%와 비교해 근소하게 낮았다. 2023년 국내 경제 성장을 이끈 산업 부문은 정보통신, 운송, 유통 등 서비스 산업이었다.2023년 4분기 GDP 성장율은 1년 전과 비교해 2.2%를 기록했다. 예상보다 낮은 수치였지만 2023년 3분기 1%와 비교해 급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이스라엘-하마스 전쟁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글로벌 공급체인이 무너질 가능성이 높아지며 국제 무역 성장율과 GDP 성장율이 하락할 리스크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전자제품 부품, 통신, 컴퓨터 부문의 해외 수요가 높아지며 싱가포르 국내 제조업 부문의 회복은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관광업 수요도 지속적으로 회복되며 항공, 소매업 등 관련 산업 부문이 GDP를 지지해 줄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에서 벗어난 것도 긍정적으로 분석된다.
-
▲ 인도 통상산업부(MOCI) 로고인도 통상산업부(MOCI)에 따르면 2023년 12월 주요 인프라시설 산업 8개 부문의 생산 성장율은 3.8%로 집계됐다. 14개월 동안 산업 생산 성장율 중 가장 둔화된 것으로 조사됐다.2023년 12월 주요 산업 부문의 생산 성장율은 8.3%를 기록했다. 주요 인프라시설 산업 8개 부문인 △석탄△철강 △천연가스 △석유정제 제품 △시멘트 △비료 △원유 △전력은 국내 산업 생산량의 40%를 차지한다.주요 인프라시설 산업 8개 부문 중 철강, 석탄, 석유 및 가스, 전력 부문의 생산 성장율은 2023년 10월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2023년 12월 석탄 생산 성장율은 10.6%로 2022년 12월 12.3%와 비교해 낮았다. 겨울에 높아질 석탄 수요를 미리 대비하기 위해 생산량이 높아진 것으로 예상된다.2023년 12월 철강 생산 성장율은 5%로 2023년 11월 9.4%에서 하락했다. 2022년 12월 철강 생산 성장율인 12.3%와 비교해 둔화됐다.
-
키프로스 표준화 기구(Κυπριακός Οργανισμός Τυποποίησης, CYS)에 따르면 2022년 9월 2일 에너지 통상산업부(Υπουργείου Ενέργειας, Εμπορίου και Βιομηχανίας, ΥΕΕΒ)와 '특별 가입자 플랜(Ειδικο? Σχεδ?ου Συνδρομητ?)' 계약을 1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연장 기간은 2022년 9월 1일부터 2023년 8월 31일까지다. 계약을 통해 키프로스 중소기업은 유럽과 국제 표준, 키프로스 표준에 접근할 수 있다.키프로스 공화국에서 사업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중소기업으로 기업 등록부 및 공식 수취인 등록부에 등록돼 있으면 이용이 가능하다.특별 가입자 플랜 혜택을 받고자 하는 기업은 Annex II를 작성해 CYS 정보 및 서비스 센터로 보내야 한다. 이후 심사를 통해 접근이 허용되면 다음과 같은 표준을 활용할 수 있다.CYS EN, CYS EN ISO, CYS EN IEC
-
2022-04-09싱가포르 정부에 따르면 관광업 부문에 S$ 5억달러를 투입할 계획이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에 영향을 받은 관광업 회복을 지원해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목적이다. 싱가포르는 백신 접종 완료자를 대상으로 입국자에 대한 코로나바이러스 테스트와 격리 조치를 해제했다. 국제 회복 캠페인인 'SingapoReimagine'을 강화해 국제 관광업 회복과 성장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글로벌 여행 수요 증가에 따라 고품질에 지속가능한 관광지로서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관광지 지속성 프로그램(TSP)은 지속가능성과 더불어 교육을 통한 혁신에 집중할 방침이다. 지난 2년간 정부는 관광업 부문에 10억달러 이상을 지원해 일자리 유지와 비용 완화에 도움을 제공했다. 관광업 특화 바우처인 'SingapoRediscovers'에는 3억2000만달러가 배정됐다. ▲통상산업부(MTI) 로고
-
2021-02-15싱가포르 통상산업부(MTI)에 따르면 2021 회계연도 경제 성장율 전망치를 4%에서 6% 범위로 유지했다. 2020 회계연도 국내총생산(GDP) 전망치가 예상보다 향상됐기 때문이다.2020 회계연도 국내 경제는 5.4% 수축하며 이전 정부 전망치인 6%에서 6.5% 범위 대비 근소하게 긍정적이었다. 이번 연간 경제 수축은 2001년 이래 최악인 것으로 조사됐다.국내 경제는 2021년 동안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운송, 관광업, 항공업 등의 일부 산업의 회복은 더욱 오래 걸릴 것으로 판단된다.▲통상산업부(MTI) 로고
-
싱가포르 통상산업부(MTI)에 따르면 2020 회계연도 4분기 국내 경제는 2020 회계연도 3분기 대비 5.8% 수축한 것으로 집계됐다.경제 수축이 둔화되며 2020 회계연도 4분기 국내총생산(GDP)은 3.8% 하락했다. 3분기 5.6% 수축과 대비해 향상된 것이다.분기별 기준에서 국내 경제 성장율은 2.1%로 2020 회계연도 3분기 9.5% 경제 확장과 대비해 크게 하락했다. 2020 회계연도 연간 국내총생산 수축은 5.8%로 조사됐다.▲MTI(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 로고
-
필리핀 통상산업부(DTI)에 따르면 2025년까지 연간 자동차 판매를 100만대 달성할 계획이다. 하지만 두테르테 정부의 세금개혁안엔 자동차 소비세를 인상하는 방안이 포함돼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만약 자동차에 대한 소비세가 인상되면 자동차 판매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고용창출과 산업 파급효과가 큰 자동차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자동차산업부활종합전략(CARS)을 추진하고 있다.이와 같은 전략에 따라 2016년 자동차 판매는 40만대로 10년 전에 비해 4배로 늘어났다. 연간 자동차 판매량은 24%씩 증가하고 있다.일본 도요타자동차와 미츠비시가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도요타자동차는 향후 6년 동안 57.41억페소를 투자해 23만대의 자동차를 생산하고 추가로 56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미츠비시는 57.4억페소를 투자해 20만대를 생산하고 70만900개의 일자리를 만들 예정이다. 미츠비시는 부품의 국산화를 위해 30개 부품업체들과 협업할 방침이다.▲필리핀 통상산업부(DTI) 로고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