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인터내셔널, 인도네시아 삼푸르나 아그로의 지분을 인수해 경영권 확보
서울특별시 면적의 2배가 넘는 12만8000헥타르의 농장을 추가 확보
백진호 기자
2025-11-20

▲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인수한 인도네시아 삼푸르나 아그로 팜 농장 전경 [출처=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대표이사 이계인)에 따르면 2025년 11월19일(수) 인도네시아 상장사 삼푸르나 아그로의 지분을 인수해 경영권과 최대 주주 지위를 확보했다.

이번 인수 건 관련 글로벌 팜 사업 밸류체인 확장을 위한 투자 규모는 공시일 기준 환율 적용 시 한화 약 1조3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서울특별시 면적의 2배가 넘는 12만8000헥타르(ha)의 농장을 추가 확보했다. 기존 인니 파푸아 농장을 포함해 총 15만ha의 글로벌 영농 기반을 갖추게 됐다.

또한 같은 날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인도네시아 동(東)칼리만탄 발릭파판에 GS칼텍스와 공동 설립한 팜유 정제법인 PT.ARC(PT. AGPA Refinery Complex) 준공식도 개최했다.

PT.ARC의 지분은 포스코인터내셔널 60%, GS칼텍스 40%로 구성되며 총투자금은 US$ 2억1000만 달러다. 이번에 준공한 공장의 정제 능력은 연 50만 톤(t)으로 이는 연간 국내로 수입되는 팜 정제유의 80%에 해당하는 양이다.

이날 행사에는 이계인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 허세홍 GS칼텍스 사장, 율리엇 탄중(Yuliot Tanjung) 인도네시아 에너지 광물자원부 차관, 라마드 마스우드(Rahmad Mas'ud) 발릭파판 시장, 박수덕 주인도네시아 한국대사 등 주요 인사 약 100명이 참석했다. 2024년 5월 착공한 이 정제 공장은 준공 후 시운전을 거쳐 연내 생산을 개시할 예정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인도네시아 대형 팜 기업 삼푸르나 아그로를 인수하고 같은 날 현지 팜유 정제공장을 준공함으로써 팜 종자 개발부터 바이오연료의 원료가 되는 팜유 생산까지 풀밸류체인을 완성했다.

삼푸르나 아그로는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과 칼리만탄섬 전역에서 팜 농장을 운영하는 현지 대표 상장 기업이다. 자국 시장 점유율 2위의 팜 종자 전문 자회사와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에 확보한 팜 농장은 이미 팜 열매가 성숙 단계에 접어들어 인수 초기부터 안정적인 이익 창출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팜 농장 사업은 나무를 심은 후 3~4년 뒤부터 수확이 가능하고 20년 이상 생산이 이어지는 장기 고수익 구조의 사업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11년 파푸아에서 처음 팜 농장 개발을 시작해 2016년 상업 생산에 들어갔다. 현재 연간 21만t의 팜유를 생산하는 착유 공장 3기를 운영하고 있다.

기존 팜 농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며 2024년까지 연평균 영업이익률 36%를 기록하는 등 그룹 수익 창출에 크게 기여해 왔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농장에서 생산된 팜 원유를 PT.ARC에 공급하고 여기서 생산된 정제유는 인도네시아 내수는 물론 한국·중국 등으로 판매한다.

GS칼텍스는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정제 시설의 운영 효율을 높이고 한국 시장에 바이오디젤용 정제유를 공급할 예정이다.

향후 포스코그룹은 글로벌 팜 시장에서 선도적 경쟁력을 확보해 국내 식용 유지의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팜유의 안정적 생산·공급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국가 식량 안보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코그룹은 장인화 회장 취임 이후 그룹의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위한 미래 먹거리 사업을 적극 발굴하고 있다. 이번 인니 팜유 사업 강화도 포스코인터내셔널의 해외 식량 사업의 풍부한 경험을 토대로 추진되는 그룹의 주요 인프라 사업 중 하나이다.

한편 포스코그룹은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해 ‘2 Core(철강·이차전지 소재) + New Engine(신사업)’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했다. 인도와 북미 등 고성장·고수익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적 투자를 실행에 옮기고 있다.

인도에서는 JSW그룹과 현지 제철소 설립을 추진 중이며 2025년 9월에는 통상 무역 장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북미 시장에 신속 진입하기 위해 미국 클리블랜드클리프스(Cleveland-Cliffs)와 철강 사업 협력에 관한 MOU를 체결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산업 ·건설 분류 내의 이전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