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밴드"으로 검색하여,
2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7-23▲ KT&G 상상마당, ‘2025 밴드 디스커버리’ 최종 경연 기념 촬영 [출처=KT&G]KT&G(사장 방경만)에 따르면 KT&G상상마당이 인디 뮤지션을 발굴해 지원하는 '2025 밴드 디스커버리' 최종경연을 KT&G 상상마당 홍대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다.'밴드 디스커버리' 프로그램은 2007년 시작돼 2025년 17회를 맞이한 상상마당의 문화공헌 프로그램이다.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지금까지 총 57개 팀이 선발돼 상금과 앨범 제작, 공연 기회 제공 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 받은 바 있다.2025년 3월 공모를 시작한 '2025 밴드 디스커버리'에는 총 343팀이 참가 신청했다. 최종 경연은 사전 심사를 통해 'TOP 6'로 선정된 '토카이(Tokai)', '심아일랜드', '양치기소년단', '삼산', '공원(gongwon)', '김늑' 등 6개팀의 실연 무대와 2022 밴드디스커버리 TOP6 선정팀인 '극동아시아타이거즈'의 축하 공연으로 진행됐다.전문 심사위원들의 평가를 거쳐 '토카이(Tokai)', '심아일랜드' 등 2개팀이 7월18일(금) 우승팀으로 선정됐다. 우승팀에게는 팀당 상금 500만 원과 앨범 제작비 300만 원 등의 혜택이 제공된다.또한 유명 뮤지션과의 컬래버레이션 무대와 KT&G 상상마당이 기획하는 상상실현페스티벌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도 주어진다.한편 KT&G 상상마당은 신진 예술가들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대중들에게 폭넓은 문화 경험을 제공하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이다.2007년 '상상마당 홍대'를 시작으로 논산·춘천·대치·부산까지 총 5곳에서 운영되며 문화예술 저변 확대와 지역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상상마당의 연간 방문객은 약 310만 명이며 매년 3000여 개의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김천범 KT&G 문화공헌부 공연담당 파트장은 "밴드디스커버리는 신인 뮤지션들이 자신의 음악을 널리 알리고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의 장으로
-
1957년 6월 남영염직으로 설립된 여성 내의류 전문 회사인 비비안(VIVIEN CORPORATION)은 1976년 7월 상장했다. 주요 사업 부문은 여성용 내의 제조 및 판매로 주요 매출 품목은 △여성용 파운데이션 △란제리 △스타킹 △마스크 등이다.여성란제리 전문 브랜드인 △비비안(VIVIEN) △바바라(barbara) △BBM △마터니티 △젠토프 △수비비안 △드로르 △로즈버드 △판도라 등을 운영하고 있다.비비안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비비안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주식회사 비비안(VIVIEN CORPORATION)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 ESG 경영 계획 및 목표 미수립... 2024년 부채총계 1370억 원으로 부채율 114.16%기업이념은 ‘Global Lifestyle Brand’로 고객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새로운 경험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혁신적인 디지털 솔루션을 통해 고객의 기대를 뛰어넘는 가치를 제공하고자 한다.경영 미션은 여성의 삶에 가장 가까운 파트너로서 고객에게 신뢰받는 브랜드로서 유지하기 위해 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신뢰를 쌓아가는 것으로 밝혔다. 고객의 폭넓은 니즈를 이해하고 존중해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렴해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ESG 경영 목표 및 계획은 부재했으며 ESG 경영 헌장도 수립하지 않았다. ESG 경영위원회도 미수립했으며 ESG 경영 실적을 보고하는 ESG 경영 보고서도 부재했다. 홈페이지에 윤리경영과 사회공헌 실적은 공개했다.윤리준법경
-
2025-04-08▲ 그랜데이터 참여사들이 신규 참여사 이마트와 업무 협약식을 맺고 기념 촬영하는 모습(왼쪽부터 박준 SKT AI Intelligence사업본부장(부사장), 박창석 신한카드 전략사업그룹장(부사장), 고현덕 KCB CB사업부문장,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사업실장(부사장), 정우진 이마트 마케팅 담당, 이철행 SK브로드밴드 AT/DT개발실장) [출처=SK텔레콤]신한카드(사장 박창훈)에 따르면 2025년 4월3일(목) 서울 중구에 위치한 SKT타워에서 그랜데이터 회원사 확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또한 글로벌 인공지능(AI) 데이터 클라우드 기업 스노우플레이크(Snowflake)와 함께 ‘그랜데이터 X 스노우플레이크 세미나’를 개최하고 국내외 데이터 비즈니스 확장에 나섰다.그랜데이터(GranData)란 국내 최초의 민간데이터댐 사업으로 이날 협약식과 함께 개최된 세미나는 신한카드, SK텔레콤, 코리아크레딧뷰로(이하 KCB), SK브로드밴드, 카카오모빌리티, 이마트 등 그랜데이터 회원사와 각종 기업 및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신한카드, SK텔레콤, KCB 3사를 중심으로 2021년 출범한 그랜데이터는 개방형 얼라이언스 형태로 참여 기업을 지속 확대해왔다.2023년 SK브로드밴드의 참여로 방송 분야의 데이터가 더해졌고 이외에도 공공 민간 데이터를 보유, 활용하는 여러 기업 및 기관들과 데이터 파트너십을 구축했다.이를 토대로 카드, 통신, 신용 정보 등 다양한 이종 산업 데이터를 결합해 공공정책 분석 및 수립, 마케팅 성과 분석, AI 학습 데이터 생성 등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며 국내 데이터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이번 업무협약으로 카카오모빌리티, 이마트가 새롭게 합류하며 모빌리티 및 유통 품목 데이터 등 신규 이종 데이터 활용이 가능해져 그랜데이터 사업에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이와 함께 그랜데이터는 스노우플레이크와 협력해 공동 세미나를 개최했다. 스노우플레이크는 1만1000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이 사용
-
2025-03-28▲ KT&G 상상마당, 인디 뮤지션 발굴 위한 '2025 밴드 디스커버리' 공모[출처=KT&G]KT&G(사장 방경만)에 따르면 2025년 4월18일(금)까지 KT&G 상상마당이 인디 뮤지션 발굴 및 육성을 위해 '2025 밴드 디스커버리' 공모를 진행한다.'밴드 디스커버리' 프로그램은 2007년 시작돼 올해로 17회를 맞이한 상상마당의 문화공헌 프로그램이다. 신진 뮤지션을 꾸준히 지원해온 해당 프로그램은 2024년 최종 4개팀이 선발돼 상금과 앨범 제작, 공연 기획 등의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받은 바 있다.'2025 밴드 디스커버리'의 지원 자격은 등록된 자작곡이 3곡 이상인 2019년 이후 데뷔한 뮤지션으로 장르에 제한 없이 참여할 수 있다.자세한 정보와 접수 방법은 오는 31일부터 KT&G 상상마당 홈페이지 (www.sangsangmadang.com)와 공식 인스타그램(@ssmadang.official)에서 확인할 수 있다.우승팀에게는 팀당 상금 500만 원과 앨범 제작비 300만 원이 지원된다. 유명 뮤지션과의 컬래버레이션 무대 및 KT&G 상상마당이 기획하는 공연에 참여할 기회가 주어진다.KT&G 상상마당은 신진 예술가들의 창작활동을 지원하고 대중들에게 폭넓은 문화 경험을 제공하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이다.2007년 '상상마당 홍대'를 시작으로 논산·춘천·대치·부산까지 총 5곳에서 운영되며 문화예술 저변 확대와 지역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상상마당의 연간 방문객은 약 310만 명이며 매년 3000여 개의 문화 예술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KT&G 김천범 문화공헌부 공연 담당 파트장은 "'밴드 디스커버리'는 신인 뮤지션들이 자신의 음악을 대중에게 알리고 한 단계 성장할 수 있는 등용문으로 자리 잡았다"며 "KT&G 상상마당은 앞으로도 다양한 공연 프로그램을 통해 신인 아티스트를 발굴·육성하고, 문화예술 저변 확대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
▲ 아일랜드 더블린 공항(Dublin Airport) 전경 [출처=홈페이지]2024년 7월 4주차 아일랜드 경제동향은 초고속 인터넷망의 보급을 위한 국가 차원의 노력, 더불린 공항(Dublin Airport)에서 도입한 첨단 보안시스템의 성능을 포함한다.○ 더블린 공항(Dublin Airport)은 이번 여름 휴가철부터 새로운 보안 스캔 장비를 도입했으므로 승객이 가방 안에 넣은 어떤 용량의 액체 제품도 꺼내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현재 100밀리리터(ml) 이하의 액체 제품을 투명 비닐 백에 넣은 경우에만 허용하던 정책을 수정할 계획이다. 또한 노트북, 태블릿, 기타 전자장비를 소지한 승객도 보안 검색대에서 가방 안에서 꺼내지 않아도 된다.2 터미널에 설치된 신형 스캐너는 여행객이 액체 제품이나 전자제품을 가방에 넣은 채로 통과해도 검색이 가능하다. 하지만 1터미널의 경우에 4개 보안 검색대만 업그레이드되어 불편함은 여전하다.○ 아일랜드 NJB(National Broadband Ireland)는 스네엄 지역의 1000가구에 초고속 브로드밴드 인터넷망을 연결할 계획이다. NIB는 정부를 대신해 초고속 인터넷을 구축하는 기업이며 남서부 케리 지역에서 공사 중이다.케리 지역의 가입자는 1만8000가구 이상이며 현재까지 4500가구가 인터넷망에 연결됐다. 이베라반도에 위치한 스네엄, 캐슬코브, 카헤르다니엘 등은 2024년 10월과 12월 사이에 초고속 통신망에 연결될 예정이다.
-
▲ 일본 라쿠텐그룹 로고일본 라쿠텐그룹(楽天グループ)에 따르면 2023년 12월기 연결 결산은 3394억 엔의 적자를 기록했다. 휴대폰 사업에서 대규모 설비투자를 단행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휴대폰 사업의 영업적자는 3375억 엔에 달했다. 다른 이동통신회사인 KDDI의 통신망을 빌리는 로밍으로 설비투자를 억제했지만 적자 규모를 줄이는데 만족해야 했다.2022년 12월기 휴대폰 사업의 적자는 4792억 엔에 달했다. 기지국 정비 등으로 투자를 줄이고 있지만 여전히 적자를 회복하기에는 어려웠다.하지만 인터넷 서비스사업의 실적은 768억 엔의 흑자를 기록했다. 휴대폰 사업의 적자 축소를 위해서는 이용자의 대폭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2024년 봄부터 운용할 예정인 실내에서 전파 연결이 쉬운 주파수대인 '플래티넘 밴드에 대한 효과가 기대된다. 2024년부터 2025년까지 8000억 엔 규모의 회사채를 상환해야 하므로 적자 축소가 시급한 과제다.
-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보통신기술 정보지인 마이브로드밴드(MyBroadband)에 따르면 2022년 국내 3대 이동통신사가 데이터 가격을 인하하고 신제품을 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3대 이동통신사는 보다콤(Vodacom), MTN, 텔콤(Telkom)이다. 2021년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혼란으로 많은 기대를 모았던 주파수 경매는 진행되지 않았다. 하지만 모바일 네트워크는 코로나-19 사태 관리 규제의 일부로 부여된 임시 비상 주파수에 대한 접근 혜택을 받았다. 모바일 연결 수요가 급증하면서 2022년 데이터 접속 가격을 인하할 것으로 예상된다.보다콤은 최근 부마텔(Vumatel), 다크 파이버(Dark Fibre) 아프리카 파이버 네트워크 등의 주식을 인수했다. 2022년 보다콤은 보다폰 이집트(Vodafone Ebypt)를 인수할 계획이다. MTN은 2021년 기지국 2600곳에 배터리를 설치했다.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고객을 연결시키기 위해 배터리 배치와 보완에 수백만 랜드를 투자했다. 2022년 연말까지이동통신망의 3분의 2 이상을 현대화할 계획이다. 텔콤은 고객들의 고정 및 모바일 서비스, 선불 및 후불 데이터 및 통신 서비스 등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킬 신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이를 위해 용량 추가, 신규 사이트 구축 등을 통해 네트워크를 확대할 계획이다. 텔콤은 데이터 주도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 5G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사이트도 오픈할 예정이다.▲마이브로드밴드(MyBroadband) 홈페이지
-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에 따르면 5G 무선 스펙트럼 주요 대역을 $US 218억달러에 매각했다. 매각은 경매로 진행됐다.경매 주파수 대역은 3.5GHz ~ 3.55GHz 범위 주파수 블록이다. 지난 29일간의 경매에서 4060개의 블록 중 19개를 제외한 모든 블록을 판매했다.2021년 초 3.7GHz 대역 스펙트럼 블록 경매에서는 810억달러 이상의 자금을 모금했다. 통신 사업자들이 Goldilocks Zone으로 불리는 미드레인지 스펙트럼을 구매했다.상당한 거리에 전파되는 전송거리, 높은 데이터 전송률 등의 장점때문이다. 통신사업자 중 어느 업체가 어떤 블록을 구매했는지는 2022년 1월 이후 공개될 예정이다.AT&T의 경우 2023년 사용 가능한 미드레인지 스펙트럼의 라이센스를 확보했다. 2022년 봄에 사용하기 위해 미드레인지 스펙트럼을 구매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방통신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비영리단체인 HEDA 리소스 센터(HEDA Resource Centre)에 따르면 국내에서도 글로벌 석유기업들인 이탈리아의 에니(Eni)와 영국의 쉘(Shell) 등을 기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상기 2개 대기업들은 OPL245와 관련된 부패 혐의를 받고 있다. 나이지리아 국내에서도 오랫동안 사업을 영위해오고 있다.르완다 전기오토바이 스타트업인 앰퍼샌드(Ampersand)에 따르면 EIF(Ecosystem Integrity Fund)로부터 US$ 350만달러의 투자를 확보했다.앰퍼샌드는 아프리카 대륙내에서 최초의 전기오토바이 창업체이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 중에서 EIF의 벤처투자펀드에 의한 사상 최대 규모의 e-모빌리티 투자금을 모금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 기술뉴스웹사이트인 마이브로드밴드(MyBroadband)에 따르면 2021년 1분기 동안 전국의 평균 모바일 다운로드 속도는 33.23Mbps로 조사됐다.또한 평균 업로드 속도는 12.71Mbps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이동통신사들 중 평균 다운로드 속도가 빠른 순서대로 5위까지 선정했다. ▲MTN 홈페이지
-
남아프리카공화국 최대 기술뉴스웹사이트인 마이브로드밴드(MyBroadband)에 따르면 2021년 1분기 동안 전국의 평균 모바일 다운로드 속도는 33.23Mbps로 조사됐다.또한 평균 업로드 속도는 12.71Mbps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이동통신사들 중 평균 다운로드 속도가 빠른 순서대로 5위까지 선정했다. 1위는 MTN으로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64.29Mbps로 가장 빨랐다. 2위는 보다콤(Vodacom)으로 32.76Mbps, 3위는 텔콤(Telkom)으로 27.83Mbp, 4위는 셀C(Cell C)로 20.82Mbps, 5위는 레인(Rain)으로 10.58Mbps 등이다.MTN의 뛰어난 성능은 커버리지 확대, 네트워크 품질 개선, 속도 향상 등을 위해 지난 5년간 R500억랜드를 인프라에 투자한 결과이다. ▲MTN 홈페이지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