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가격 담합"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9-122025년 9월12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노동부는 2025년 8월 소비자 물가지수가 2025년 1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밝혔다.캐나다 법원은 식품회사가 빵 가격을 담합한 책임을 물어 소비자에게 C$ 5억 달러를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소비자 1인당 25달러 규모이며 증빙 자료를 제시하지 않아도 된다.브라질 정부는 미국과 관세전쟁의 여파로 8월 수출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브라질에 대해 정치적 이유로 관세를 50% 부과했다.▲ 미국 노동부 빌딩 [출처=홈페이지]◇ 미국 노동부, 2025년 8월 소비자 물가지수(CPI)가 0.4% 상승해 2025년 1월 이후 가장 큰 폭 기록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2025년 8월 소비자 물가지수(CPI)가 0.4% 상승해 2025년 1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연간 인플레이션은 2.9%로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식품과 에너지 가격을제외하면 0.3% 상승해 12개월 인플레이션을 3.1%로 밀어올렸다. 중앙은행의 인플레이션 목표는 2%로 낮은 편이다.9월6일 마감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6만3000명으로 이전주 23만5000명보다 많았다. 지난 4년 동안 가장 많은 수치라 경제 둔화 조짐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캐나다 온타리오 고등법원(Ontario Superior Court), 로블로(Loblaw Cos. Ltd)의 빵 가격 담합 배상금 C$ 5억 달러 승인캐나다 온타리오 고등법원(Ontario Superior Court)에 따르면 식품회사인 로블로(Loblaw Cos. Ltd)의 빵 가격 담합 배상금 C$ 5억 달러를 승인했다. 로블로의 모회사인 조오지웨스톤(George Weston Ltd.)도 포함된다.2001년 1월1일부터 동년 12월31일까지 포장빵, 베이글, 머핀 등 빵을 구입한 소비자 중 보상을 받고자 하면 2025년 12월12일까지 등록을 해야 한다.집단소송의 배
-
기름 한방울 나지 않는 우리나라는 산유국이 되겠다는 부푼 꿈을 안고 동해에서 유전 개발을 수차례 시도했다. 하지만 번번히 실패를 맛봐야 했지만 한국석유공사는 포기하지 않고 있다.2024년 6월 윤석열 대통령은 경상북도 포항 영일만 심해 지층에 140억 배럴에 달하는 석유와 천연가스가 매장됐을 것이라며 시추를 추진했다.이른바 '대왕고래' 프로젝트라 부르며 정권의 운명을 걸었다. 2024년 12월3일 비상계엄령을 이유로 대왕고래 탐사 비용 전액 삭감을 제시했다. 하지만 2025년 2월9일 대왕고래는 유령에 불과했다는 것이 밝혀졌다.역대 정권에서 단골처럼 부르짓던 동해 유전 스토리는 이제 다시 듣기 어려울지도 모른다. 잊을만하면 반복적으로 터지는 한국 액화석유가스(LPG) 담합 관련 내부고발을 살펴보자.▲ 군부대 납품 LPG 가격 담합 내부고발 진행 내역 [출처=국가정보전략연구소(iNIS)]◇ 강력한 처벌에도 LPG 공급업체 담합 반복돼... 과징금 59억 원 및 보상금 1억5000만 원액화석유가스(LPG)는 공급업체가 제한적이며 담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2009년 12월 공정거래위원회는 E1을 검찰에 고발했다.LPG를 수입해 들여와 국내 정유사와 충전소에 공급하는 도매상 역할을 담당하는 SK가스와 E1은 매월 1회 결정하는 LPG 판매가격을 사전에 결정했다. 양사에 부과된 벌금액만 4000억 원이 넘었다.2018년 7월16일 공정거래위원회가 ‘강원도 군부대 발주 액화석유가스((LPG) 구매 입찰 담합 건’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2007∼2013년 제1군수지원사령부가 발주한 LPG 구매 입찰에서 입찰 참여사 간 사전에 낙찰사 등을 정하고 낙찰 물량을 배분한 행위를 적발했다.제1군수지원사령부는 강릉, 인제, 원주, 춘천 등 4개 지역에서 입찰을 진행했다. LPG 공급 업체들은 매년 실시된 4개 지역별 모든 입찰에서 합의한 대로 낙찰받거나 수의계약을 진행했다.2006년 실시된 4개 지역별 입찰에서 상호 간 가
-
산업의 쌀이라고 불리는 철강은 건설·자동차·조선산업을 뒷받침하므로 국가의 기간산업에 해당된다. 철광석을 용광로에서 녹여 철강을 생산하려면 이산화탄소(CO₂)를 많이 배출해 이를 줄이기 위한 대안으로 전기로가 떠오르고 있다. 철강을 생산하면서도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목적이다.전기로는 철스크랩이라고 부르는 고철을 녹여 봉형강을 생산한다. 봉형강은 주로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형강·H형강을 말한다. 국내에서 전기로를 가동하는 제강사는 현대제철·동국제강·대한제강·와이케이스틸·한국제강·한국철강·한국특수형강 등이 있다.2021년 1월 공정거래위원회는 7개 제강사가 2010~2018년 동안 철스크랩 구매 가격을 담합했다며 3000억830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한다고 밝혔다.철스크랩은 국내 수요량보다 공급량이 부족해 업체가 경쟁하면 가격이 인상될 여지가 많다. 철스크랩 가격 담합을 드러낸 내부고발을 분석해 보자. ▲ 철스그랩 가격 담합 내부고발 진행 내역 [출처=iNIS]◇ 담당자 수준에서 은밀하게 담합해 적발 애로... 영남권에서 출발해 경인권으로 확대철스크랩은 2009년 KS인증제가 도입돼 두께·길이·너비 등의 치수와 발생원별로 총 25개 등급으로 분류한다. 2021년 기준 국내 철스크랩 시장 규모는 2737만7000톤(t)이며 제강사가 국내에서 구매하는 물량은 1806만4000t에 달한다.전국에 산재한 6000여 개 고물상에서 고철을 수집해 중간 수집상에게 넘기면 이들 업체가 제강사에 공급할 권한을 가진 납품업체에 판매한다.300여 개에 달하는 납품업체가 7개의 제강사에 공급하기 위해 경쟁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제강사가 스크랩을 충분하게 확보하기 위한 유인을 제공해야 하는 처지다.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의 시장 점유율이 50% 수준이며 7개 제강사까지 포함하면 70%대 초반에 달한다. 따라서 7개 제강사
-
2017-03-07필리핀 경쟁위원회(PCC)에 따르면 국내 시멘트산업의 담합여부를 조사할 예정이다. 경쟁법 제14조와 15조를 위반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필리핀시멘트제조업협회(CeMAP)의 소속 업체들이 가격을 담합했다는 증거가 드러나고 있다. 이들 업체는 가격경쟁을 하지 않기로 합의하고 실천했다.특히 특정가격 이하로 소비자에게 시멘트를 팔지 않겠다는 합의했다. 지난 1월 관련 단체와 업체에 사전조사를 위한 서류를 발송했지만 아직 답변을 듣지 못했다.▲경쟁위원회(PCC) 로고
-
방글라데시 치타공 시정부는 이드 휴가기간 중 지역 공무원을 활용해 육류가격의 무단 인상 예방 및 단속 등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쇠고기, 염소고기, 닭고기 등의 가격 담합, 기업인과의 만남 등이 감시대상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