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46
"미국"으로 검색하여,
2,45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8-01▲ 美 해군성 장관, 필리조선소 방문⋯김동관 부회장과 협력 방안 논의(한화그룹이 인수한 미 한화필리조선소를 방문한 주요 인사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출처=한화그룹]한화그룹(회장 김승연, 부회장 김동관)에 따르면 2025년 7월30일(현지 시각)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한화 필리조선소(Hanwha Philly Shipyard)에 존 펠란(John C. Phelan) 미 해군성 장관, 러셀 보트(Russell Vought) 백악관 예산관리국장 등 미 정부 고위관계자들이 방문했다.러셀 보트 국장은 트럼프 행정부 1기 시절에도 예산관리국장을 지낸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으로 미국 정부 조선업 재건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백악관 예산관리국은 대통령의 예산안 수립 및 집행과 행정부의 입법 제안, 정책의 우선순위 조정을 담당하는 핵심 부서다.이들이 필리조선소를 방문한 직후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조선 협력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포함한 관세 협상 타결을 발표했다.미 정부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러셀 보트 국장과 존 펠란 장관의 필리조선소 현장 방문 결과를 보고 받고 관세 협상 타결을 최종 결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이들은 필리조선소에서 김동관 부회장과 데이비드 김 필리조선소 대표의 안내를 받아 주요 생산 현장을 함께 둘러보고 한·미 조선업 협력 방안에 대해 심도 깊이 논의했다.이 자리에서 김동관 부회장은 한미 조선 협력 ‘마스가(MASGA) 프로젝트’와 관련해 “세계 최고 수준의 선박 설계·건조 능력을 보유한 한화가 필리조선소를 교두보로 미국 내 신규 조선소 건설, 조선 인력 양성, 조선 관련 공급망 재구축, 선박 건조 유지보수(MRO) 등을 주도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중장기 사업 전략과 투자 계획 등을 설명하며 미국 정부의 지원과 협조를 요청했다.존 펠란 장관, 러셀 보트 국장 등은 필리조선소 트레이닝 아카데
-
2025-07-31▲ 벨로시티 로고 [출처=한화생명]한화생명(대표이사 부회장 여승주)에 따르면 2025년 7월30일(수, 현지시간) 미국 증권사 ‘Velocity Clearing, LLC(이하 벨로시티)’의 지분 75퍼센트(%) 인수 절차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벨로시티 인수는 국내 보험사가 ‘글로벌 자본 시장의 중심부’인 미국 증권 시장에 진출한 최초의 사례다. 이로써 미국 현지 금융사를 통해 수익성을 높이고 우수한 글로벌 금융 상품을 글로벌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마련했다.한화생명은 보험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넘어 북미 자본 시장으로의 전략적 확장을 본격화한다. 뉴욕을 거점으로 한 벨로시티는 금융 거래 체결 이후 자금과 자산이 실제로 오가는 과정을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역량(청산·결제)을 갖춘 전문 증권사다.2024년 말 기준 벨로시티는 총자산 약 US$ 12억 달러(한화 약 1조6700억 원)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2022~2024년) 매출 기준 연평균 성장률(CAGR) 25%를 기록하는 등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당기순이익 또한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인수 이후에도 지속적인 수익성 확대가 예상된다.한화생명은 기존 벨로시티 경영진과의 협업을 통해 조기 사업 안정화를 추진함과 동시에 한화자산운용 미주법인, 한화인공지능(AI)센터(HAC) 등과 협력해 금융과 기술이 결합된 시너지를 키워 나갈 방침이다.한편 한화생명은 각 지역의 금융 환경에 맞춘 차별화 전략을 통해 글로벌 금융 생태계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동남아에서는 리테일 금융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주에서는 플랫폼 기반의 투자 기능을 고도화하며 전략적 거점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앞으로는 디지털 기술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결합해, 글로벌 고객에게 종합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는 브랜드로 도약할 계획이다.한화생명은 "자사가 금융의 핵심지인 미국 시장에서 한국 금융사로서 역량을 펼칠 수 있는 계기를 확보
-
▲ 2025년 7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자산 개발기업인 에이비랜드(Abland)는 케이프타운(Cape Town) 더반빌(Durbanville)에 대형 쇼핑 센터인 후룻 페센티크랄 뷰(Groot Phesantekraal View)를 개업했다. [출처=에이비랜드 홈페이지]2025년 7월30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금융과 서비스를 포함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금융 서비스 기업인 퍼스트랜드(FirstRand)에 따르면 2025년 동안 건지(Guernsey)섬의 금융 서비스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자산 개발기업인 에이비랜드(Abland)에 따르면 2025년 7월 대형 쇼핑 센터인 후룻 페센티크랄 뷰(Groot Phesantekraal View)를 개업했다. 투자 규모는 약 R 10억 랜드를 유치했다. ◇ 미국 베인앤컴퍼니, 2025년 7월 남아프리카공화국 내 컨설팅 운영 중단 계획 남아프리카공화국 금융 서비스 기업인 퍼스트랜드(FirstRand)에 따르면 2025년 동안 건지(Guernsey)섬의 금융 서비스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퍼스트랜드의 소매 및 상업 은행 자회사인 퍼스트 내셔널 은행(First National Bank)은 2025년 연말에 신용 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퍼스트 내셔널 은행의 건저섬 지점은 50년 이상 운영됐으며 주로 고액 자산 보유자를 대상으로 운영했다. 기존의 운영 허가 범위를 거래, 투자에서 대출로 확장할 방침이다.라이센스 취득에는 최소 12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취득 후 건지섬 인구의 약 5%를 차지하는 남아공인 3000명을 고객층으로 확보하는 것을 중장기 목표로 정했다.미국 경영컨설팅 기업인 베인앤컴퍼니(Bain & Company)에 따르면 2025년 7월 남아프리카공화국 내의 컨설팅 운영을 중단하기로 발표했다.현지 운영은 중단하나 현지 직원들은 해고되지 않는다. 요하네스버그(Johannesburg) 오피스는 글로벌 클라이언
-
▲ 2025년 7월 아랍에미리트 원자력공사(ENEC)는 미국 종합 원자력 기업인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 Electric Company)와 원자력 솔루션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출처=ENEC 엑스(X) 계정] 2025년 7월28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 튀르키예의 기업 경영과 에너지, 제조업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원자력공사(ENEC)에 따르면 2025년 7월 미국 종합 원자력 기업인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 Electric Company)와 원자력 솔루션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튀르키예 속옷 제조업체 협회(TİGSAD)에 따르면 2024년 속옷 수출 매출은 US$ 6억8300만달러로 집계됐다. 2024년 독일로의 속옷 수출 매출은 8700만달러였다. ◇ 아랍에미리트 원자력공사, 2025년 7월 미국 종합 원자력 기업인 웨스팅하우스와 원자력 솔루션 개발 파트너십 체결아랍에미리트 원자력공사(ENEC)에 따르면 2025년 7월 미국 종합 원자력 기업인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 Electric Company)와 원자력 솔루션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미국 내의 원자력 사용에 대한 논의를 공동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미국 정부는 IT 산업 등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따라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 비중을 4배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이번 협업은 미국 내에 새로운 원자력 프로젝트의 구축과 재시작에 집중할 방침이다. 웨스팅하우스에서 설계한 원자력 발전소인 AP1000의 배치를 가속화하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 사우디아라비아 정부, 2025년 7월 시리아-사우디 투자 포럼 2025에서 SAR 240억 리얄 규모 투자 계획 47개 체결사우디아라비아 정부에 따르면 2025년 7월 시리아-사우디 투자 포럼 2025(Syrian-Saudi Investment Forum 2025)에서
-
▲ 기아 본사 빌딩 [출처=기아]기아(대표이사 사장 송호성)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도매 기준 81만4888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2.5퍼센트(%) 증가했다. 2025년 7월25일(금) 발표한 2025년 2분기 경영실적은 컨퍼런스콜로 기업설명회(IR)를 개최 했으며 매출액은 증가했으나 영업이익, 경상이익, 당기순이익 등은 하락했다.동기간 영업이익은 2조764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1% 감소했으며 경상이익은 3조2억원으로 25.7%, 비지배 지분을 포함한 당기순이익은은 2조2682억 원으로 23.3% 각각 줄어들었다.(IFRS 연결기준).미국 관세가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하이브리드 수요 증가와 신차 출시 등을 통해 전년 동기 대비 판매는 늘었다.반면 미국 관세 발효로 손익 영향이 있었으나 주요 시장 볼륨 성장, 고부가가치 차량 중심 ASP 상승 및 우호적인 환율 효과로 견조한 수익성 펀더멘털을 유지할 수 있었다.◇ 2025년 2분기(4~6월) 실적2025년 2분기 기아의 판매는 △국내에서 전년 대비 3.2% 증가한 14만2535대 △해외에서 전년 대비 2.3% 증가한 67만2353대 등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대비 2.5% 증가한 81만4888대를 기록했다(도매 기준).국내 판매는 2024년 K3 단산 영향에도 불구하고, 올해 2분기부터 본격 판매를 시작한 소형 픽업 타스만, EV4 등의 신차 효과로 인해 전년 대비 판매가 3.2% 증가했다.해외는 EV3의 선전에도 불구하고 모델 노후화 등의 영향으로 판매가 소폭 감소한 서유럽을 제외하면 2024년 출시한 카니발 하이브리드와 K4 등으로 4.1%의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는 미국, 연초 출시한 시로스 신차효과로 9.5%의 성장률을 기록한 인도 등 주요 권역에서의 성장에 힙입어 2.3% 증가한 판매를 기록했다.2분기 매출액은 △국내,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 하이브리드, 전기차 판매 확대 △고부가가치 차량 판매 지속에 따른 대당 판매가격(ASP)
-
▲ 삼성스토어 홍대 ‘갤럭시 스튜디오’에서 25일 국내 출시한 ‘갤럭시 Z 폴드7·Z 플립7’과 ‘갤럭시 워치8 시리즈'를 소개하는 모습 [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7월25일(금)부터 슬림 하드웨어 혁신을 적용한 폴더블 스마트폰 ‘갤럭시 Z 폴드7·Z 플립7’과 슬림 디자인으로 착용감을 개선한 ‘갤럭시 워치8 시리즈’를 국내 출시한다.‘갤럭시 Z 폴드7·Z 플립7’은 7월21일(월)까지 진행한 국내 사전 판매에서 104만대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갤럭시 폴더블 사전 판매 중 최다 판매 신기록이다.한편 ‘갤럭시 Z 폴드7·Z 플립7’은 국내를 포함해 미국, 영국, 인도 등 전 세계 110여 개국에 순차 출시된다.◇ 역대급 디자인에 강력한 사용성 갖춘 ‘갤럭시 Z 폴드7·Z 플립7’‘갤럭시 Z 폴드7’은 역대 갤럭시 Z 폴드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벼운 디자인이 적용됐다. 접었을 때 8.9밀리미터(mm), 펼쳤을 때 4.2mm 두께와 215그램(g)의 가벼운 무게로 하드웨어 혁신을 이룬 제품이다.8.0형 대화면 메인 디스플레이에서는 멀티태스킹과 몰입감 있는 영상 시청이 가능하며 6.5형 커버 디스플레이에는 21:9 비율이 적용돼 바(Bar)형 스마트폰과 유사한 활용성까지 갖췄다.‘갤럭시용 스냅드래곤 8 엘리트(Snapdragon® 8 Elite for Galaxy)’ 칩셋을 탑재해 성능도 강화했다. One UI 8 기반 폴더블 폼팩터에 최적화된 멀티모달 인공지능(AI) 경험으로 대화면에서 더욱 쾌적하게 갤럭시 AI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갤럭시 Z 플립7’은 한 손에 들어오는 콤팩트한 사이즈에 1.25mm 초슬림 베젤을 적용한 4.1형 커버 디스플레이로 휴대성과 활용성을 높였다.플렉스모드에서 5000만 화
-
▲ 현대자동차그룹 본사 사옥 전경 [출처=현대자동차그룹]현대자동차(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2025년 7월24일(목)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에서 발표한 2025년 2분기 국제회계기준(IFRS) 연결 기준 실적이 매출액 48조2867억 원(자동차 37조302억 원, 금융 및 기타 11조256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퍼센트(%) 증가했다.또한 △도매 판매 106만5836대 △ 영업이익 3조6016억 원 △경상이익 4조3853억 원 △당기순이익 3조2504억 원(비지배지분 포함)을 기록했다.현대차의 2025년 2분기 매출액은 역대 최대 수준의 하이브리드 판매 및 금융 부문 실적 개선 등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인센티브 증가 및 투자 확대 추세 속에도 우호적인 환율 효과 등으로 인해 7.5%를 기록했다.국내와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 판매량 증대로 외형적 성장이 가능했지만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고 경쟁 심화에 따른 글로벌 인센티브 및 판매 비용 증가 등의 원인으로 손익이 둔화됐다.◇ 2분기 실적(4~6월 기준) 글로벌 시장에서 106만5836대 판매현대차는 2025년 2분기(4~6월) 글로벌 시장에서 106만5836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0.8% 증가한 수치다(※ 도매 판매 기준).국내 시장에서는 팰리세이드 및 아이오닉 9 신차 효과로 SUV 판매가 성장하며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18만8540대가 판매됐다.해외에서는 미국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26만2305대를 기록했다. 대외 환경 악화로 신흥 시장 판매가 감소했지만 해외 판매는 전년 동기보다 0.7% 증가한 87만7296대가 팔렸다.2025년 2분기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대수(상용 포함)는 유럽 지역 중심 전기자동차(EV) 판매 비중 확대,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에 따른 판매 견인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36.4% 증가한 26만2126대가 판매됐다. 이중 EV는 7만8802대, 하이브리드는 16만8703대로 집계됐다
-
▲ 미국 다국적 자동차 기업인 포드 모터 컴퍼니 남아프리카공화국 자회사(FMCSA)의 포드 퓨마(Ford Puma) 차량. [출처=FMCSA 홈페이지] 2025년 7월25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케냐의 기업 경영과 통계를 포함한다. 미국 다국적 자동차 기업인 포드 모터 컴퍼니 남아프리카공화국 자회사(FMCSA)에 따르면 2025년 7월 포드 퓨마(Ford Puma) 차량 약 1800대가 리콜됐다. 미국 다국적 IT 기업인 구글(Google)에 따르면 2025년 7월 케냐 인공지능(AI) 교육 및 연구, 이노베이션 부문에 Sh 9억400만 실링을 투자할 계획이다. ◇ 남아공 보건부, 2013년부터 2025년 1월말 동안 국내 인사 및 급료 시스템 내의 의료 전문가 수 12만5123명 감소미국 다국적 자동차 기업인 포드 모터 컴퍼니 남아프리카공화국 자회사(FMCSA)에 따르면 2025년 7월 포드 퓨마(Ford Puma) 차량 약 1800대가 리콜됐다.연료 시스템의 결함으로 엔진에 불이 붙을 수 있는 안전 우려 때문이다. 리콜 대상은 2021년 11월부터 2024년 9월까지 제조된 차량이다.남아프리카 대륙 내에서 1796대가 리콜 대상으로 이중 1775대가 남아공 내에서 리콜이 진행됐다. 나머지 리콜 대상 차량은 △보츠와나 △나미비아 △에스와티니에 분포했다.차량 결함 문제를 대응하기 위해 포드사는 피해 고객에게 직접 연락을 취해 필수적인 수리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할 계획이다.남아프리카공화국 보건부(The Department of Health)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5년 1월말 동안 국내 인사 및 급료 시스템(Persal) 내의 의료 전문가 수는 12만5123명 감소했다.지난 10년간 △의사 1만2745명 △간호사 5만8897명 △약사 1341명 △병원 행정직원 2만3941명이 일을 그만둔 것으로 집계됐다. 이외의 의
-
2025-07-23▲ HD현대, ‘美 현지 선박 공동 건조’ 본격 착수 [출처=HD현대]HD현대(대표이사 회장 권오갑, 대표이사 수석부회장 정기선)에 따르면 미국 현지 선박 공동 건조를 위한 활동에 본격 착수했다.미국 내 선박 건조 협력 파트너인 ‘에디슨 슈에스트 오프쇼어(Edison Chouest Offshore, 이하 ECO)’의 대표단이 한국을 방문해 미국 내 컨테이너 운반선 공동 건조를 위한 세부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한 결과다. 디노 슈에스트(Dino Chouest) 대표를 비롯한 주요 경영진 및 엔지니어로 구성된 10여 명의 ECO 대표단 일행은 7월22일(화)부터 23일(수)까지 양일간 HD현대 글로벌R&D센터와 HD현대중공업 및 HD현대미포 야드를 둘러봤다.글로벌 1위 조선사인 HD현대의 기술력과 선박 건조 능력을 직접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다. 앞서 양사는 2025년 6월 ‘전략적·포괄적 파트너십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2028년까지 ECO 조선소에서 중형급 컨테이너 운반선을 공동으로 건조키로 하고 선종 확대는 물론 안보 이슈가 강한 항만 크레인 분야까지 협력 범위를 넓혀 나가기로 한 바 있다.실제로 HD현대는 7월 전문가 10여 명을 ECO 조선소에 파견해 생산공정 체계 및 설비 등을 점검하고 생산성 개선을 위한 컨설팅을 지원하기도 했다.방한 첫째 날인 7월22일(화), ECO 대표단 일행은 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HD현대 글로벌R&D센터를 방문했다. 이들은 HD현대가 보유한 최첨단 기술 및 건조 능력에 대한 브리핑을 들은 후 디지털 관제센터를 찾아 HD현대가 건조해 실제 운항 중인 전 세계 선박들의 운용 실태를 살폈다.이어 자동화 솔루션 개발 현장을 찾아 자동화 솔루션 및 로봇 용접 기술의 현장 적용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미국 내 건조 협력 확대를 위해서는 현지 인프라 확충 및 생산 역량 강화가 필수라는 판단에서다.양사 최고 경영진 간 만남도 진행됐
-
2025년 7월22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음료회사는 2026년 초 건강에 관심이 높은 소비자를 위해 프리바이오틱스 소다를 론칭할 계획이다.캐나다 기업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전쟁이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평가하지만 여전히 경제 전망의 불확실엇이 높다고 판단한다.브라질 국민의 단지 6%만이 결제수단으로 현금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 대다수는 중앙은행이 개발한 즉시 결제시스템을 활용해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미국 식음료 제조업체인 펩시(Pepsi)가 판매하고 있는 음료 이미지 [출처=홈페이지]◇ 미국 펩시(Pepsi), 2026년 초 프리바이오틱스 소다를 론칭할 계획미국 식음료 제조업체인 펩시(Pepsi)는 2026년 초 프리바이오틱스 소다를 론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12온스 1캔에 사탕수수 5그램(g), 30칼로리, 프리바이오틱스 섬유 3g이 들어간다.프리바이오틱스 소다는 최근 포피(Poppi), 올리팝(Olipop), 블룸(Bloom)과 같은 유명한 브랜드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화려하고 형형색색 캔에 팩키징된 소프트 음료는 전통 소다에 비해 건강을 지향하는 소비자에게 도움이 된다.펩시 프리바오틱스 콜라는 2025년 가을부터 오리지널 콜라와 체리 바닐라와 함께 판매된다. 참고로 펩시는 포피를 US$ 19억500만 달러에 인수했다.◇ 캐나다 중앙은행 비즈니스 전망 설문조사(Bank of Canada Business Outlook Survey), 2025년 2분기 관세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유지캐나다 중앙은행 비즈니스 전망 설문조사(Bank of Canada Business Outlook Survey)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관세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2025년 1분기 기업들이 피하고 싶었던 가장 최악의 시나리오는 일어날 가능성이 낮아졌다. 현재 트럼프 정부의 관세에 영향을 받는 기업이 많지 않아서 수출업체의 전망은 오히려 개선됐다.하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