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LPWAN"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19-03-25영국 통신업체인 브리티시텔레콤(BT)에 따르면 노섬브리안 워터(Northumbrian Water)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스마트 상수도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이다.브리티시텔레콤은 사물인터넷(IoT)을 사용해 상수도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운영자는 선더랜드(Sunderland)에 배치된 150개의 센서를 보고 물, 흐름, 압력 및 품질과 같은 데이터를 추적할 수 있다.이를 통해 누수를 찾거나 예측 유지보수도 가능하며, 비용을 절감하고 운영속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센서의 데이터는 브리티시텔레콤의 저전력 장거리 광역통신망(LoRaWAN)을 통해 수집된다.노섬브리안 워터는 정보를 분석하고 네트워크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스마트 상수도 네트워크는 저전력 광역통신망의 이상적인 사용 사례로 간주된다.장거리를 다루고 상대적으로 낮은 데이터 요구사항을 갖기 때문이다. 특히 저전력 광역통신망은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향후 그 활용도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적은 전력소비량으로 인해 센서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GSMA는 2025년까지 저전력 광역통신망에 18억개의 사물인터넷을 포함해 31억개의 셀룰러 사물인터넷 연결이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UK-Northumwater-IoT▲ 노섬브리안 워터(Northumbrian Water) 연구소의 전경(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통신대기업 스파크(Spark)에 따르면 사물인터넷(IoT) 네트워크를 전국적으로 론칭할 계획이다. 급성장하는 IoT시장을 겨냥해 새로운 전국적 저전력 광역대네트워크(LPWAN)를 가동하고 있다.현재 새로운 네트워크는 도시 및 지방 등 60%가 적용받고 있다. 2018년 7월까지 70%로 확대할 계획이다. 네트워크는 LoRaWAN기술을 이용할 예정이다.지역, 국가, 글로벌 네트워크 등에서 무선 배터리로 작동되는 장치로 설계된 저전력 광역대네트워크(LPWAN)가 표준사양이기 때문이다. 농업, 해양, 스마트빌딩 등을 포함해 다양한 산업 분야의 파트너와 함께 1년 이상 LoRaWAN기술을 시험을 진행했다.새로운 네트워크는 더 많은 IoT기술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국내 개발자들에게 IoT기술을 제공해 현지에서 다양한 제품을 출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스파크(Spark)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