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ISO 14001"으로 검색하여,
1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롯데물산, 한국경영인증원으로부터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1) 인증 획득(왼쪽부터 황은주 한국경영인증원 대표이사, 경민호 롯데물산 기술안전부문장) [출처=롯데물산]롯데물산(대표이사 장재훈)에 따르면 한국경영인증원(KMR)으로부터 환경경영시스템 인증(ISO 14001)을 획득했다.ISO 14001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환경경영시스템 국제 표준으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환경경영 방침과 관리 체계를 갖춘 기업에 부여된다.롯데물산은 환경 법규 준수, 오염물질 발생 최소화, 환경 목표 수립 및 실천, 이해관계자 소통 등 환경방침을 설정해 운영하고 있다.또한 롯데월드타워·몰의 온실가스·폐기물 배출량, 에너지·용수 사용량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환경경영시스템 ISO 14001 인증서 [출처=롯데물산]롯데물산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청과 함께 2021년부터 5년째 석촌호수 수질 개선 사업을 진행하는 등 지역사회와 협력해 환경 보호에 앞장서고 있다.2021년 국립기상과학원,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등과 서울시 온실가스 관측 및 연구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롯데월드타워 최상층 랜턴에 관측설비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온실가스를 측정 중이다.이 밖에도 롯데물산은 롯데월드타워·몰 폐핸드타월 재활용, 사내 다회용컵 사용 등 환경 보호를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앞으로도 롯데물산은 온실가스, 에너지, 자원, 대기 등 다양한 환경 영향을 고려해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천할 계획이다.한편 롯데물산은 2019년 획득한 에너지경영시스템 인증(ISO 50001)도 3년마다 갱신해 유지하고 있다. ISO 50001은 효율적인 에너지 절감 및 관리 시스템을 운영하는 기업에 부여되는 인증이다.▲ 롯데월드타워 전경 [출처=롯데물산]롯데물산은 롯데월드타워에 설치된 수열, 지열, 태양열, 풍력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통해 총 에너지 사용량의 약 18퍼센트(%)를 신재생에너지로 자체 생산하고 있다.경민호 롯데
-
▲ 동아쏘시오홀딩스 로고[출처=동아쏘시오홀딩스]동아쏘시오홀딩스(대표이사 사장 김민영)에 따르면 2024년 11월21일(목요일) 한국경영인증원이 주관하는 2024글로벌스탠더드경영대상 시상식에서 ‘탄소중립경영대상’을 수상했다.탄소중립경영대상은 기업 및 조직이 체계적인 에너지관리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및 환경영향을 줄이고 친환경 기술 개발 및 외부 탄소 감축활동으로 탄소중립 활동을 실천한 기업 및 단체에게 부여하는 상이다.한국경영인증원은 2002년부터 매년 탄소중립경영, 안전경영, 투명경영 등 경영테마 영역에서 기업들의 경영전략과 미래가치,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객관적 수준을 측정해 시상하고 있다.동아쏘시오그룹 지주사인 동아쏘시오홀딩스는 그룹 의약품 사업회사 동아제약, 동아ST와 함께 2023년 환경경영시스템 국제표준인 ISO 14001 통합 인증을 획득했다.ISO 14001을 기반으로 기후변화, 온실가스 등 경영활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환경 이슈에 대한 대응 체계를 마련했다.2024년 동아쏘시오홀딩스는 그룹 핵심 가치 중 하나인 ‘함께 성장’을 실현하고 지역사회 탄소중립실천과 녹색성장에 기여하고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탄소중립 나무심기 행사에 동참했다.이보다 앞서 2023년 동대문구와 중랑천 정화를 위한 ‘EM 흙공 던지기’를 함께하며 미래 세대를 위한 환경 보호 활동을 실천했다.EM흙공은 유용한 미생물이 들어있는 EM효소와 황토를 배합해 만든 공이다. EM흙공을 강물에 던지면 수질 개선과 토양 복원, 악취 제거 등의 효과가 있다.이외에도 기후 위기, 자연 파괴 심각성 알리는 자연보전 지구촌 전등 끄기 캠페인 ‘어스아워’에 2년 연속 동참했다. 2024년에는 서울 본사에서 경상북도 상주 인재개발원까지 확대해 실시했다.
-
2024-08-12▲ ISO 14001·45001·50001 통합인증수여식[출처=동국제강]동국제강(대표이사 최삼영)에 따르면 서울특별시 을지로 본사 페럼타워에서 인증기관 ‘BSI KOREA’로부터 ‘ISO 14001·45001·50001 통합인증수여식’ 및 인증서를 받았다.수여식은 변홍열 동국제강 기획실장, 김병현 동국제강 안전환경기획팀장, 임성환 BSI Korea 대표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했다.동국제강은 인천·포항·당진 개별 사업장에서 별도로 관리하던 총 9개의 인증을 전사 기준으로 일원화해 통합 인증을 취득했다.ISO14001은 환경, ISO45001은 안전보건, ISO 50001는 에너지 분야 인증으로 ESG 관점에서 요구되는 △전사적 목표 수립 △통합 관리 등을 실천하며 운영 및 관리 수준을 고도화할 수 있게 됐다.동국제강은 이번 인증 획득을 위해 기획실 안전환경기획부서가 주도해 2024년 1월 통합내부심사 TFT를 구축했으며 약 7개월간 운영 프로세스 최적화 및 내부심사를 거쳐 전사 통합 인증을 진행했다.변홍열 동국제강 기획실장은 “전사 통합 내부 심사 조직을 구성해 평가하다 보니 전 사업장 상향 평준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향후 동국제강 전 사업장은 같은 목표와 방향 아래 환경·안전보건·에너지 관리 역량을 높일 예정이며 우수 사업장을 대상으로 포상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
▲ 안두시아(Andusia) 공장 시설 [출처=홈페이지]영국 재생연료유 공급기업 안두시아(Andusia)는 ISO9001 품질경영시스템 및 ISO14001 환경경영시스템에 대한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안두이사는 이미 엄격한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음에도 지난해 비지니스는 ISO에 맞춰 절차들의 형식을 갖췄다. 공인 인증기관 Alcumus ISOQAR에 의해 광범위한 전사 감사를 받은 후 공식적으로 인정을 받게 됐다.ISO 인증 획득은 자사 고객에 대한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안두시아의 헌신과 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약속의 증거다.지금까지 10년 넘게 업계에 종사하면서 안두시아는 자사 고개에 대한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훌륭히 제공하기 위해 항상 노력해 왔다.ISO 9001은 품질경영시스템(Quality Management System, QMS)에 대한 요구사항을 특정하고 있는 국제 표준이다. 해당 법령과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일관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집중하는 기업에 부여한다.표준은 강력한 고객 중심, 높은 수준의 기업경영 참여, 프로세스 접근 및 지속적인 프로세스 개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품질경영 원칙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ISO 14001은 환경경영시스템(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EMS)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해 놓은 국제표준이다.표준은 조직이 자원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낭비를 줄여 환경 성과를 개선해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받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
▲ 런던퀸메리대(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 전경 [출처=홈페이지]영국 런던에 있는 런던퀸메리대(Queen Mary University of London)는 최근 영국표준기구(BSI)로부터 ISO 14001:2105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ISO 14001:2105은 환경경영시스템에 관한 표준으로 기업이 위기 대응, 고객 기대, 이해관계자, 지방정부와 관계 등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확인하는 표준이다.최근 트렌드를 최대한 반영하도록 설계돼 있어서 다른 경영시스텝표준과 잘 조화를 이루고 있다. 런던퀸메리대는 대학의 환경영영시스템과 프로세스를 잘 인식하고 있어 Eco-Campus Platinum Award를 수상했다.ISO로부터 인증을 받은 것은 대학의 환경적 성과를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해 투입한 명확한 헌신에 대한 중요한 성과물이다. ISO 표준은 지속가능한 사업전략과 일치하는 강력하고 우수한 도구이다.이번 인증은 환경성과의 향상, 제도운영 준수의 충족, 환경목표의 달성 등 3가지 영역을 포함한다. ISO 14001는 17가지 UN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 12가지와 일치한다.한편, 런던퀸메리대학교는 1785년 설립된 영국 런던에 있는 공립 연구대학이다. 런던병원의과대학과 런던대학이 1995년 합병했다. 런던에 5개 캠퍼스가 있고 중국, 프랑스, 그리스, 몰타 등에 분교를 운영 중이다.
-
▲ 하이존 모터스(Hyzon Motors Australia & New Zealand) [출처=홈페이지]오스트레일리아 전기자동차 제조업체인 하이존 모터스(Hyzon Motors Australia & New Zealand)는 ISO 45001 안전, 14001 환경, 9001 품질을 포함한 통합 관리에 대한 ISO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ISO 안전/환경/품질 등 통합관리 인증을 획득한 최초 연료전지 전기 중형차량 공급업체로 인증을 받았다. 중형차량은 무게가 8~11t에 이르는 대형 차량을 말한다.하이존 모터스의 ISO 인증은 감사 준수를 보장하기 위해 문서 및 내부 프로세스를 준비해온 수개월 동안 노력의 결과물이다.하이존 모터스는 수소 연료 전지 드라이브 체인을 대형 차량과 통합하기 위한 국내 최초 기업 중 하나일 뿐 아니라 통합 관리에 대한 ISO 인증 달성을 목표로 노력해 왔다.따라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 현지 차량 생산 및 입지 확대에 집중하면서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게 됐다.이번 인증을 위해 국내 및 글로벌 시장을 위한 팀, 프로세스, 제품을 구축했으며 고도로 숙련된 현지 오스트레일리아 엔지니어링 및 기술을 활용했다.국제표준화기구(ISO)는 제품, 서비스, 시스템의 품질, 안전, 효율성 등을 보장하기 위한 표준을 개발하는 독립적이고 비정부적이며 국제적인 조직이다.ISO 인증은 관리 시스템, 제조 프로세스, 서비스 또는 문서화 절차가 표준화 및 품질 보증을 위한 모든 요구 사항을 갖고 있음을 인증한다.
-
▲ 하마드 국제공항(HIA)의 홍보자료 [출처=홈페이지]카타르 공항 운영 회사 마타르(MATAR)는 최근 하마드 국제공항(HIA)이 환경 관리 시스템 국제 표준 ISO14001:2015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이를 위해 물 사용, 에너지, 배출 및 폐기물 관리를 포함해 하마드 국제공항의 일상적인 운영 활동의 모든 요소에 대한 감사가 이뤄졌다.하마드 국제공항은 2014년 창립한 이후 자산 관리, 비즈니스 연속성 관리 및 IT 서비스 관리를 비롯한 다수 ISO 인증을 획득했다.이번 ISO14001:2015 인증은 마타르의 장기 환경 목표를 구현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에너지와 물 수요를 줄이고 폐기물을 재활용하고 줄이도록 노력했기 때문이다.마타르는 상업적 성공과 지속 가능한 환경 의제를 추진하는 환경 리더로서의 역할을 더욱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된다.참고로 마타르는 국제공항협의회(Airports Council International)로부터 레벨 3 환경 관리 인증을 받았다. 2022년 하마드 국제공항은 스카이트랙스 어워드(Skytrax awards)에서 2년 연속 세계 최고 공항으로 선정됐다.
-
▲ 바스프(BASF)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독일 글로벌 화학기업인 바스프(BASF)는 최근 국제 표준 품질(ISO 9001), 환경(ISO 14001) 및 에너지(ISO 50001) 등 3개 인증을 성공적으로 갱신했다고 밝혔다.이 인증을 받기 위해 2명의 심사원으로부터 4일 간의 외부 감사를 받았다. 심사는 퍼스널 케어 사업용 성분 생산을 위한 제조 공장과 행정 본부가 모두 포함됐다.제조 공장은 뒤셀도르프-홀트하우젠(Düsseldorf-Holthausen)에 위치하고, 행정 본부는 몬하임 암 라인(Monheim am Rhein) 사업장에 있다.국제 표준 ISO 9001은 품질 관리 시스템의 표준으로서 전 세계의 모든 BASF 퍼스널 케어 현장에서 구현된 유럽 화장품원료협회(EFfCI) 인증의 기반을 구축한다.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법적규제 요구 사항과 함께 고객의 기대치를 충족시킬 수 있다.ISO 50001:2018 목표는 에너지 효율성, 사용 및 소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데 있다. ISO 14001은 환경 관리 시스템에 대해 가장 널리 인정되는 국제 표준이며 모든 활동, 제품 및 서비스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이와 같은 인증은 2019년 도입된 통합 관리 시스템(IMS)을 기반으로 한다. 통합 관리 시스템은 서로 다른 요구 사항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연결해 최대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한다.바스프는 통합 관리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운영 성과 프로세스의 품질을 보장하고 모든 이해 당사자가 만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
-
이탈리아 유리제조업체인 옴니데코르(OmniDecor)에 따르면 2022년 9월 21일 국제표준화기구(ISO)로부터 ISO 14001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ISO 14001은 환경경영시스템(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EMS) 관련 표준이다.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이나 제공하는 서비스 및 각종 운영활동을 관리하는 시스템의 일부다.인증을 받음으로서 옴니데코르는 기업 활동의 환경 영향을 통제할 수 있는 경영시스템을 구축 및 운여아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어떠한 미래 위험과 법률적 의무도 준수하고 있다는 의미다.옴니데코르가 인증을 받기 위해 가장 많이 투입한 자원은 시간이다. 환경 이슈에 관해 직원들에게 교육과 훈련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했다.유리 가공을 위해 사용하는 물 소비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했다. 지난 5년 동안 기계 설비의 효율성을 개선해 물 소비량을 10% 이상 줄였다. 최근 도입한 생산 설비는 물 소비량을 35%까지 축소시켜 준다.물 이외에도 배출되는 산업용 쓰레기를 재활용 원재료로 활용하고 있다. 용액 쓰레기는 화학 프로세스에서 중간재로 투입된다. 투입하는 원재료량을 줄여 원재료 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하고 있다.참고로 옴니데코르는 인테리어 디자인 용도의 유리를 제조하는 기업이다. 기술적인 미적인 연구활동을 통해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옴니데코르(OmniDecor)의 제품(출처 : 홈페이지)
-
2022-08-03토고 범 아프리카 산업단지인 PIA(Plateform Industrial Adétikopé)에 따르면 2022년 8월 1일 ISO 9001:2015—ISO 14001:2015—ISO 45001:2818 인증을 획득했다.인증서를 제공한 업체는 FrenchCert UK LTD이다. ISO 9001:2015은 품질경영시스템, ISO 14001:2015은 환경경영시스템, ISO 45001:2818은 보건안전경영에 관련된 표준이다.ARISE IIP는 산업 분야의 발전과 지속가능한 고용의 창출을 통해 아프리카가 번영하도록 지원하는 산업단지 운영업체이다. 산업단지를 운영함에 있어 품질 접근을 무시하지 않고 노력한다.또한 인간 상호관계 측면에서 최고의 경영전략, 경영과 사회환경적 영향을 가능케 하는 제품 및 서비스의 보증 등을 통해 특별경제구역을 운영하고 있다.이번 인증을 통해 PIA가 사업을 시작한 이후 좋은 성과를 얻었다는 것이 확인됐을 뿐만 아니라 토고의 산업 및 경제 영역에서 발전을 최적화하기 위해 성과를 개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PIA는 토고정부와 Arise IIP가 민관협력으로 개발한 산업단지이다. 2021년 1월부터 운영을 시작했으며 총 투자금액은 XOF1300억세파프랑에 달한다.Arise IIP는 아프리카 금융공사(Africa Finance Corporation, AFC), 아프리카 전환 및 산업화 펀드(Africa Transformation and Industrialization Fund, ATIF)가 설립한 조인트 벤처다. 가봉의 GSEZ와 SAG, 베냉의 GDIZ, 토고의 PIA, 모리타니아의 TCN의 산업단지를 운영 중이다.PIA 최고경영자는 Jesse Ian Damsky로 아프리카, 중동, 라틴 아메리카 등에서 국제 물류 전문가로 활동했다. 프로젝트 관리, 산업 플랫폼, 특별경제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