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9
" 6월"으로 검색하여,
78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현대자동차그룹 본사 사옥 전경 [출처=현대자동차그룹]현대자동차(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2025년 7월24일(목)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에서 발표한 2025년 2분기 국제회계기준(IFRS) 연결 기준 실적이 매출액 48조2867억 원(자동차 37조302억 원, 금융 및 기타 11조256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퍼센트(%) 증가했다.또한 △도매 판매 106만5836대 △ 영업이익 3조6016억 원 △경상이익 4조3853억 원 △당기순이익 3조2504억 원(비지배지분 포함)을 기록했다.현대차의 2025년 2분기 매출액은 역대 최대 수준의 하이브리드 판매 및 금융 부문 실적 개선 등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인센티브 증가 및 투자 확대 추세 속에도 우호적인 환율 효과 등으로 인해 7.5%를 기록했다.국내와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 판매량 증대로 외형적 성장이 가능했지만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고 경쟁 심화에 따른 글로벌 인센티브 및 판매 비용 증가 등의 원인으로 손익이 둔화됐다.◇ 2분기 실적(4~6월 기준) 글로벌 시장에서 106만5836대 판매현대차는 2025년 2분기(4~6월) 글로벌 시장에서 106만5836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0.8% 증가한 수치다(※ 도매 판매 기준).국내 시장에서는 팰리세이드 및 아이오닉 9 신차 효과로 SUV 판매가 성장하며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18만8540대가 판매됐다.해외에서는 미국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26만2305대를 기록했다. 대외 환경 악화로 신흥 시장 판매가 감소했지만 해외 판매는 전년 동기보다 0.7% 증가한 87만7296대가 팔렸다.2025년 2분기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대수(상용 포함)는 유럽 지역 중심 전기자동차(EV) 판매 비중 확대,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에 따른 판매 견인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36.4% 증가한 26만2126대가 판매됐다. 이중 EV는 7만8802대, 하이브리드는 16만8703대로 집계됐다
-
▲ 오스트레일리아 인사관리협회(Australian HR Institute, AHRI) 홈페이지오스트레일리아 인사관리위원회(Australian HR Institute, AHRI) 및 인권위원회(the Australian Human Rights Commission, the Commission)에 따르면 인사 전문가의 약 24%인 4분의 1이 51세~55세 사이 근로자를 고령자로 분류하고 있다.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 본사를 두고 있는 철강기업 BHP에 따르면 2025년 회계년도 및 6월 분기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WA) 철광석 판매량은 각각 2억5500만 메트릭스톤(MT), 6800만 MT를 기록했다.뉴질랜드 중앙은행(Reserve Bank New Zealand, RBNZ)에 따르면 연간 인플레이션율이 2.5%에 2.7%로 0.2%포인트 증가해 2024년 6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인사 전문가, 51세~55세 근로자를 고령자로 분류오스트레일리아 인사관리위원회(Australian HR Institute, AHRI) 및 인권위원회(the Australian Human Rights Commission, the Commission)에 따르면 인사 전문가의 약 24%인 4분의 1이 51세~55세 사이 근로자를 고령자로 분류하고 있다. 2023년 10% 대비 14%포인트 증가한 수치로 고용주들이 기술 인력 부족의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도 경력직 전문 인력을 배제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응답자의 55%이상이 부족한 인력을 채우기 어렵다고 답했으나 정작 50~64세 근로자 채용에 상당이 의향이 있다는 답변은 56%에 불과하다. 65세 이상 채용은 28%, 이 연련대 채용은 하지 않겠다 18% 등으로 나타났다.또한 15~24세 구직자에 대한 채용에 대해 상당히 의향이 있다는 답변은 4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 본사를 두고 있는 철강기업 BHP에 따르면 2025년 회계년도 및 6월 분기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철광석 판매량은 각각
-
▲ 오스트레일리아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 건물 [출처=위키피디아(wikipedia)]오스트레일리아 니체 연금 펀드(Niche superannuation fund) Legal Super에 따르면 지난 회계년도 연금 수익률이 12.9퍼센트(%)로 모든 연금 성장 옵션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오스트레일리아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에 따르면 2025년 6월 실업률이 4.3%로 5월 4.1% 대비 0.2%포인트 늘어났다.Pacific Edge Limited는 2025 회계연도에 NZ$ 2100만 달러의 자금을 조달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재정적 기반 강화를 목적으로 유상증자, 소매 판매를 통해 조달할 계획이다.◇ 오스트레일리아 통계청, 2025년 6월 실업률 5월 대비 0.2%p 증가한 4.3% 기록오스트레일리아 니체 연금 펀드(Niche superannuation fund) Legal Super에 따르면 지난 회계년도 연금 수익률이 12.9퍼센트(%)로 모든 연금 성장 옵션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미국 시장에서 강력한 성과뿐 아니라 오스트레일리아 아시아 등에서 인프라 및 사모펀드를 포함한 상장 및 비상장 자산 전반에 걸쳐 수익이 발생했다.2위 Vanguard Super SaveSmart Growth 펀드는 11.8%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공동 3위는 11.2%를 기록한 Colonial First State FirstChoice Growth 펀드, Australian Retirement Trust Balanced 펀드, NGS Super Diversified (MySuper) 펀드 등이다.6위는 11.1% 수익률을 나타낸 smartMonday Balanced Growth 펀드가 차지했으며 7위는 11.0%를 기록한 AMP Future Directions Balanced
-
2025-07-15▲ 팔로스호가 영광낙월 프로젝트 외부망 포설을 진행하고 있다 [출처=대한전선]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에 따르면 해저케이블 포설선 ‘팔로스(PALOS)’호가 전남 영광낙월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외부망(Export Cable) 전 구간 포설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영광낙월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전라남도 영광군 낙월면 송이도 인근 해역에 약 364.8메가와트(MW) 규모 발전 단지를 조성하는 대규모 사업이다.총 사업비는 2조3000억 원으로 완공 시 약 25만 가구가 일년 내내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한다. 현재 전체 공정률은 50퍼센트(%)를 넘어섰다.이번 프로젝트는 대한전선이 팔로스호를 확보한 이후 투입된 첫 프로젝트로 외부망 포설은 총 2차례에 걸쳐 이뤄졌다. 1차 포설은 5월 중순 약 2주간 진행됐으며 2차 포설은 6월 말 시작돼 지난주 마무리됐다.대한전선의 팔로스호가 외부망 포설을 완료하며 우수한 성능을 입증했다. 대한전선이 생산하는 내부망(Inter Array Cable) 포설은 7월 이후 진행할 예정이다.팔로스호는 대한전선이 해저케이블 생산부터 운송, 시공, 유지보수까지 수행하는 턴키(Turn-key)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2023년 11월 도입한 해저케이블 전용 포설선이다.국내 유일의 CLV(Cable Laying Vessel)로 설계 단계에서부터 해저케이블 포설을 위해 건조된 특수 선박이다. 자체 동력으로 최대 9노트(knot)까지 운항이 가능해 예인선을 동력으로 활용하는 CLB(Cable Laying Barge) 대비 시공 속도가 5~6배 이상 빠르며 기상 변화 및 조류에도 안정적이다.또한 선박 위치를 자동으로 정밀 제어하는 DP2(Dynamic Positioning Class 2) 모드와 닻(Anchor)을 이용해 선박을 고정하는 앵커링(Anchoring) 모드를 상황에 따라 선택 운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선박이다.수심이 깊고 고정밀 시공이 필요한 해역에서는 DP2 모드, 조류의 영향이 적고 수심이 얕은 해역에서는 연료
-
2025-07-09▲ 상쾌환 제로 라인업 [출처=삼양사]삼양사(대표 최낙현)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숙취 해소 브랜드 상쾌환은 제로(ZERO) 라인업 3종의 누적 판매량이 1200만 개를 돌파했다.제로 칼로리 숙취해소음료 ‘상쾌환 부스터 제로’는 2025년 6월까지 누적 777만여 개가 판매됐고 스틱 모양의 제로 숙취 해소 젤리 ‘상쾌환 스틱 제로’ 2종(청사과맛, 납작복숭아맛)은 누적 판매량 500만 개를 넘어섰다. 제품별로 보면 음료형이 전체 판매량의 약 60퍼센트(%)를 차지했다.상쾌환은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에 따라 무설탕 및 제로 칼로리 콘셉트의 제품이 다양한 식품 카테고리로 확산되는 것에 주목하고 업계에서 선도적으로 제로 숙취해소 제품을 개발했다.지금까지도 편의점에 입점한 숙취 해소 브랜드 중에서 제로 콘셉트의 숙취해소음료와 숙취 해소 젤리를 모두 보유한 곳은 상쾌환이 유일하다.2024년 1월 출시된 상쾌환 부스터 제로는 설탕 대신 대체 감미료인 알룰로스를 사용해 열량 부담을 낮추고 식용색소와 보존료도 첨가하지 않은 제로 칼로리 숙취해소음료다. 허브차에 자주 쓰이는 히비스커스와 자몽을 조합해 상큼하고 깔끔한 맛이 특징이다.2025년 1월 선보인 상쾌환 스틱 제로는 마찬가지로 알룰로스를 사용한 무설탕의 제로 슈거 숙취해소제품이다. 칼로리는 개당 11킬로칼로리(kcal)로 기존 스틱 제품 대비 절반 수준이다.젤리 같은 식감과 청량하고 달달한 청사과맛과 납작복숭아맛을 구현해 음주 전후에 부담 없이 섭취가 가능하다.제로 라인업 제품들은 모두 기존 상쾌환 제품의 핵심 원료인 글루타치온 성분이 함유돼 숙취의 주요 원인이 되는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빠른 체내 분해와 체외 배출에 효과적이다.숙취 해소 효과에 대한 입증도 마쳤다. 상쾌환은 2025년 1월부터 시행된 숙취 해소 기능성 표시제에 대응해 숙취 해소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확보했으며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한 실증자료 검토 단계도 통과했다.상쾌환은 제로 콘셉트
-
▲ 2025년 7월 아랍에미리트 기업 단지인 DIFC 이노베이션 허브(DIFC Innovation Hub)는 두바이 토지청(DLD)과 두바이 프롭테크 허브(Dubai PropTech Hub)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출처=두바이 미디어 오피스(Dubai Media Office) 엑스(X) 계정]2025년 7월4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튀르키예의 부동산과 통계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건설 중인 비즈니스 상업지구인 비즈니스 베이(Business Bay)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오프플랜(off-plan) 부동산 판매는 AED 45억 디르함 이상을 기록했다.튀르키에 통계청(TurkStat)에 따르면 2025년 6월 소비자가격지수(CPI)는 전월 대비 1.37% 상승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35.0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 아랍에미리트 DIFC 이노베이션 허브, 2025년 7월 두바이 토지청과 두바이 프롭테크 허브(Dubai PropTech Hub)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 체결아랍에미리트 기업 단지인 DIFC 이노베이션 허브(DIFC Innovation Hub)에 따르면 2025년 7월 두바이 토지청(DLD)과 두바이 프롭테크 허브(Dubai PropTech Hub)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중동 지역의 첫 번째 프롭테크 이노베이션 허브를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동산 산업의 가치사슬을 통합해 새로운 체계의 구축과 기술 혁신을 목표로 정했다.프롭테크(PropTech)는 부동산과 기술의 합성어로 부동산 산업에 정보 기술과 플랫폼 경제를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프롭테크 이노베이션 허브를 통해 프롭테크 스타트업 200곳 이상을 지원하고 일자리 3000개 이상을 창출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투자금 US$ 3억 달러 이상을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건설 중인 비즈니스 상업지구인 비즈니스 베이(Business Bay)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오프플랜
-
2025년 7월02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전쟁 여파와 가격 상승으로 자동차 판매량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캐나다 국민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캐나다 비하 발언, 관세 부과 등으로 미국산 제품의 구입을 줄였을 뿐 아니라 여행도 자제하고 있다.중국 전기자동차 제조업체는 브라질에서 100% 생산한 제품을 공개했다. 생산량을 늘려 국내 수요 뿐 아니라 라틴 아메리카 시장으로 수출할 방침이다.◇ 미국 JD 파워(JD Power), 2025년 6월 자동차 판매량은 1500만 대로 전월 1760만 대에서 급감미국 자동차산업 시장조사업체인 JD 파워(JD Power)에 따르면 2025년 6월 자동차 판매량은 1500만 대로 전월 1760만 대에서 급감한 것으로 드러났다.2025년 2분기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5%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부 구매자가 관세전쟁으로 가격 인상이 예상됨에 따라 구매를 서두른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2019년 이후 자동차 가격은 약 28% 이상 상승했다. 2020년 2월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공급망 혼란, 인플레이션 등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중국 전기자동차 제조업체인 비야디(BYD)이 판매 중인 돌핀 미니 이미지 [출처=홈페이지]◇ 입소스(Ipsos), 2025년 7월1일 캐나다 국민의 4분의 3이 미국으로 여행을 피해마케팅 리서치의 글로벌 리더인 입소스(Ipsos)는 2025년 7월1일 캐나다 국민의 4분의 3이 미국으로 여행을 피하고 있다고 답변했다고 밝혔다. 2월 이후 10포인트 상승했다.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으로 캐나다 경제가 타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으로 여행도 포기하지만 미국산 제품에 대한 구매의욕도 많이 떨어졌다.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에 따르면 2025년 1~5월 미국에서 캐나다로 여행을 온 사람의 비율도 2자릿수로 하락했다. 특히 5월 수치는 이전에 비해 침
-
2025-07-022025년 7월02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 정부는 국내의 가스와 전력 공급망을 대대적으로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프랑스는 경제불황과 관세전쟁 등의 여파로 6월 자동차 판매가 급감했다. 특히 미국 테슬라의 전기자동차 판매량은 감소세가 확대됐다.아일랜드 정부기관은 제약회사가 의료인에게 지급하는 각종 리베이트가 제약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든 정보를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프랑스 자동차산업연맹(PFA) 로고◇ 영국 오프젬(Ofgem), 국내 핵심 가스 네트워크과 전력망 업그레이드를 위해 초기 자금 £240억 파운드 투자영국 정부 산하 에너지규제기관인 오프젬(Ofgem)은 국내 핵심 가스 네트워크과 전력망 업그레이드를 위해 초기 자금 £240억 파운드를 투자할 계획이다.전체 투자금액 중 150억 파운드는 가스 운송과 배송 네트워크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활용한다. 가정과 기업에 안전하게 가스를공급하기 위한 목적이다.또한 고전압선을 구축하는데 89억 파운드로 투자된다. 1960년대 이후 전력망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진행되며 전체 전력망을 업그레이드하는데 총 800억 파운드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프랑스 자동차산업연맹(PFA), 2025년 6월 신규 자동차 등록대수 16만9504대로 전년 동월 대비 6.7% 하락프랑스 자동차산업연맹(PFA)에 따르면 2025년 6월 신규 자동차 등록대수는 16만9504대로 전년 동월 대비 6.7%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6월 미국 전기자동차 제조업체인 테슬라의 판매량은 3646대로 전년 동월 대비 39.59% 감소했다. 5월과 비교하면 10.04% 줄어들었다.2025년 들어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중동 전쟁 등으로 자동차 판매량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아일랜드 NCPE(National Centre for Pharmacoeconomics), 202
-
2025-07-02▲ KG 모빌리티 무쏘 EV [출처=KG 모빌리티]KG 모빌리티(회장 곽재선, 대표이사 황기영, 박장호, 이하 KGM)에 따르면 2025년 6월 글로벌 총 9231대를 판매했다. 이 중 국내는 3031대, 해외 수출은 6200대를 판매했다.이러한 실적은 신차 대기 수요에 따른 내수 판매 감소에도 수출 물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며 전월 대비 1.4퍼센트(%) 확대된 것이다.특히 수출은 친환경차(토레스 EVX & HEV, 무쏘 EV)가 28%로 튀르키예 및 영국, 스페인, 헝가리 등 유럽 지역으로 판매 물량 증가로 2025년 3월(6275대) 6000대를 넘어선 이후 3개월 만에 6000대 판매를 돌파하며 전년 동월 대비 18% 크게 증가했다.또한 전년 누계 대비로도 10년 만에 최대 실적을 기록했던 2024년보다 7.3% 증가한 상승세를 이으며 2025년 전망을 밝게 했다.KGM은 국가별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마케팅 활동 강화와 함께 신사업 확대, 새로운 시장 개척 활동 등 글로벌 시장 판매 물량 증가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6월13일 무쏘 EV와 토레스 하이브리드 수출 선적 기념식을 갖고 해외 시장 공략에 나섰다. 2개 모델 모두 국가별 딜러 콘퍼런스 등 제품 소개 자리에서 이미 호평을 받은 바 있어 본격적으로 글로벌 시장 론칭이 시작되면 수출 물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내수는 이달 출시 예정인 액티언 하이브리드 신차 대기 수요로 전년 동월 대비 감소했다. 하지만 2025년 6월 주요 사양과 가격을 공개하며 사전 계약을 시작한 액티언 하이브리드가 시장에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어 내수 또한 판매 물량 증가가 예상된다.액티언 하이브리드는 토레스에 이은 KGM의 두 번째 하이브리드 모델로 실용성을 겸비한 도심형 SUV의 세련된 디자인과 고효율 연비, 주행 안정성 등 상품성은 물론 합리적인 가격 경쟁력까지 갖췄다는 평가다.KGM은 "글로벌 시장 공략 강화에 힘입어 수출이 6000대 판매를 돌파하는 등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액티언 하이브
-
2025-07-02▲ 현대자동차그룹 본사 사옥 [출처=현대자동차그룹]현대자동차(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2025년 6월 전 세계 시장에서 총 35만8891대를 판매해 전년 동월 대비 1.5퍼센트(%) 증가했다.동 기간 국내판매량은 6만2064대로 전년 동월 대비 3.8% 늘어났으며 해외 판매는 29만6827대로 전년 동월 대비 1.0% 증가했다.◇ 국내 판매... 국내 시장에서 전년 동월 대비 3.8% 증가한 6만2064대 판매현대차는 2025년 6월 국내 시장에서 전년 동월 대비 3.8% 증가한 6만2064대를 판매했다. 세단은 그랜저 5579대, 쏘나타 4216대, 아반떼 7485대 등 총 1만7954대를 팔았다.RV는 팰리세이드 5471대, 싼타페 5443대, 투싼 4453대, 코나 2958대, 캐스퍼 1205대 등 총 2만2922대 판매됐다. 포터는 4352대, 스타리아는 3800대 판매를 기록했으며 중대형 버스와 트럭은 총 2505대 판매됐다.럭셔리 브랜드 제네시스는 G80 3544대, GV80 2954대, GV70 3002대 등 총 1만454대가 팔렸다.◇ 해외 판매... 해외 시장에서 전년 동월보다 1.0% 증가한 29만6827대 판매현대차는 2025년 6월 해외 시장에서 전년 동월보다 1.0% 증가한 29만6827대를 판매했다.현대자동차는 "다양한 차종의 판매 확대로 국내와 해외 모두 판매가 증가했다"며 "향후에도 경쟁력 있는 신차 출시로 판매 모멘텀을 이어 나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