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차량 데이터"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KB손해보험, LG유플러스·스몰티켓과 실시간 차량 데이터 기반 상품 개발 위한 업무협약 체결(왼쪽부터 스몰티켓 이평로 부대표, LG유플러스 박성율 기업사업혁신그룹장, KB손해보험 김혁 자동차보험부문장) [출처=KB손해보험]KB손해보험(대표이사 사장 구본욱)에 따르면 서울특별시 용산구 LG유플러스 용산 사옥에서 LG유플러스, 스몰티켓과 실시간 차량 데이터 기반 상품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했다.KB손해보험은 LG유플러스, 스몰티켓과 모빌리티 환경에 대응하고 차량 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반 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자동차보험 상품과 위험관리 서비스를 개발하기로 했다.구체적으로 KB손해보험은 LG유플러스의 차량 관제 서비스인 U+커넥트를 기반으로 법인 고객의 운행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해 보험료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FMS 특약’을 개발할 예정이다.‘FMS(차량 관제 서비스, Fleet Management Solution)’는 차량에 부착된 단말기를 통해 위치, 속도, 급가속·급감속, 운행 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시스템이다.또한 스몰티켓은 차량 관제 서비스를 통해 수집된 사고 데이터를 분석해 법인 고객 대상 위험 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이를 통해 보험사·통신사·인슈어테크가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통합적 사고 예방 및 위험 관리 체계가 구축될 전망이다.이번 협업은 각 산업의 전문성을 결합한 이종 산업 간 융합 모델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KB손해보험의 자동차보험 상품 개발 역량과 리스크 관리 전문성, LG유플러스의 차량 데이터 수집·분석 역량과 인사이트, 스몰티켓의 보험과 데이터를 연결하는 기술력이 더해져 법인 고객에게 실질적인 혜택과 디지털 혁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KB손해보험 김혁 자동차보험부문장은 “이번 협약은 통신과 인슈어테크의 전문성과 보험사의 노하우가 결합해 고객의
-
2024-09-13▲ 피엠그로우 박재홍 대표(오른쪽)와 신한EZ손해보험 강병관 대표(왼쪽) 협약 체결[출처=피엠그로우]피엠그로우(박재홍 대표)에 따르면 신한EZ손해보험(강병관 대표)과 협력해 전기차 배터리 잔존 수명 인증 서비스 ‘와트에버(WattEver)’를 기반으로 한 ‘인증 보장’ 상품을 출시했다.전기차를 중고 시장에서 구매하는 소비자는 판매자가 제공하는 배터리 잔존 수명 정보에 대한 정확성과 신뢰도에 의문을 가질 수 있다. 피엠그로우가 개발한 ‘와트에버’는 이러한 고민을 해결해 주는 전기차 배터리 잔존 수명 인증 서비스다.내연기관 차량 거래에서 판매자가 일정 기간 보증을 제공하는 것처럼 전기자동차(EV) 역시 배터리 잔존 수명에 대한 정확한 인증이 필수적이다.따라서 피엠그로우의 ‘와트에버’는 차량에 장착된 데이터 수집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EV 배터리와 차량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한다.수집된 데이터는 AI 알고리즘을 거쳐 분석되며 그 결과로 발급되는 인증서는 EV 중고 거래 및 경매 시장에서 신뢰를 제공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이번 협력으로 피엠그로우와 신한EZ손해보험이 공동 개발해 출시한 ‘인증 보장’ 상품은 ‘와트에버’ 인증서에서 오차가 발생할 시 이를 보상해 주는 안전장치다.소비자가 와트에버 인증서 평가결과의 오차로 인해 피해를 입었을 경우 최대 100만 원까지 보상해 중고 EV 구매 시 배터리 상태에 대한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 이는 전기차 중고 거래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피엠그로우는 배터리 구독 서비스를 통해 국내 최대 EV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신뢰를 바탕으로 신한EZ손해보험과 협력해 인증의 정확성을 보장하는 ‘인증 보장’ 상품을 개발할 수 있게 됐다.이번 상품은 E
-
2019-04-15미국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인 제너럴모터스(General Motors)에 따르면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간의 자율주행 차량 데이터 공유방법으로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을 지지한다.데이터공유을 위한 탐색 작업은 컨소시엄인 MOBI(Mobility Open Blockchain Initiative)의 후원 하에 수행됐다. 자동차 산업 전반에 걸쳐 분산원장기술(DLT) 개발을 조화시키기 위한 목적이다.특히 MOBI의 창립 멤버인 BMW는 처음으로 데이터 공유 사용 케이스에 관심을 표명했다. 블록체인 기술의 출현으로 분산형 데이터 관리가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즉 분산형 기계학습(decentral machine learning), 다중기밀컴퓨팅(multi-party confidential computing) 및 분산형 데이터시장(decentral data markets)과 같은 신기술은 자율주행 시대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구조를 제공할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향후 블록체인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정부는 4차산업혁명의 고도화를 위해 인공지능(AI), 블록체인 기술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USA-GM-blockchain▲ 제너럴모터스(General Motors)의 회장인 Mary barra(출처 :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광산대기업 포테스큐메탈그룹(Fortescue Metals Group)에 따르면 글로벌 자율주행 차량의 운전기술 개발경쟁에 합류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도시 환경에서 자율이동 기술의 적용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WA)주 도시인 카라타(Karratha)에 연구개발센터를 설립할 예정이다.포테스큐메탈그룹은 2012년 자동화 기술을 도입한 이후 2600만 킬로미터 이상을 주행한 100대 이상의 자율주행 운전 트럭을 보유하고 있다.광산에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글로벌 기술기업인 구글, 테슬라 등에 대항할 수 있는 자율주행 차량을 개발할 계획이다. ▲포테스큐메탈그룹(Fortescue Metals Group)의 자율주행 운전 트럭(출처 : 홈페이지)
-
2017-03-21일본 미쓰비시전기(三菱電機)에 따르면 2017년 3월 철도차량에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활용한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차량통합관리장치(TCMS)에 차량 데이터를 수립해 지상관리시스템과 연계하는 것이다. 차량에 탑재한 전기제품의 예방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서다.철도차량에는 모터, 브레이크, 에어컨, 안내모니터 등의 다양한 기기가 탑재돼 있다. 해당 기기들의 상태를 파악해 적절하게 제어하는 역할을 TCMS가 담당한다.당사는 IoT를 활용한 TCMS의 개발을 통해 고부가가치 서비스제공을 목표로 하며 향후 철도회사와 제휴를 강화해 'IoT차량‘을 실현시킬 방침이다.▲미쓰비시전기 홈페이지
-
일본 토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는 2016년 8월 1일부터 아이오아닛세이동화손해보험과 새로운 법인용차량 운행관리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영업차량에 탑재된 차량기기에서 급제동이나 급발진 등의 주행데이터를 모으고 분석해 안전운전의 지도를 지원 받는다. 서비스를 도입할 경우 자동차 보험료 6% 할인이 가능하다.
-
일본 토요타자동차에 따르면 2016년 4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와 공동으로 ‘토요타커넥티드(Toyota Connected)’라는 합작회사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주행차량에서 수집한 빅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능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