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재고관리"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쿠팡, 2025 물류산업대전 참가 [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강한승, 박대준)에 따르면 2025년 4월25일(목)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국토교통부가 개최하는 ‘2025 국제물류산업대전’에 참가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쿠팡의 물류 혁신에 대해 소개한다.이번 행사는 물류산업의 미래기술, 물류업계의 미래와 트렌드를 엿볼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물류산업 전문 전시회다. 150여 개의 물류기업이 참가하고 750여개의 부스가 설치됐다.쿠팡은 행사 기간 ‘인공지능(AI)과 함께 쿠팡이 만들어가는 세상’을 주제로 부스를 운영한다. 쿠팡이 AI와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물류 시스템 전반을 혁신한 과정을 설명한다.또한 이러한 혁신이 소비자, 판매자, 근로자를 포함한 사회 전체에 어떤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소개한다.쿠팡의 AI와 머신러닝은 수천 만 건의 상품 수요를 사전에 예측해 재고관리를 최적화해 소비자가 구매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품을 주문이 들어오기 전에 미리 가까운 물류센터로 이동시켜 당일, 익일 배송 기반을 마련한다.물류센터 운영 효율화 역시 AI와 자동화 기술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상품 입고 시 최적의 진열 위치와 작업자 동선을 안내하는 ‘랜덤 스토우’, 상품이 진열된 선반을 작업자 앞으로 옮겨서 더욱 편하게 일할 수 있도록 돕는 ‘AGV(무인운반로봇)’, 배송지에 따라 상품을 자동으로 분류하는 ‘소팅 로봇’ 등 첨단 기술이 적용된 물류 과정을 소개한다.배송 단계에서도 AI가 배송차량 내 상품 적재 위치부터 가장 효율적인 배송 경로까지 추천해 빠르고 정확한 배송을 실현한다. 이러한 기술 덕분에 근로자들이 더욱 안전하고 스마트하게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나아가 쿠팡은 AI 등 첨단 기술이 집약된 물류 인프라 확대를 통해 ‘쿠세권(로켓배송 가능 지역)’ 확장과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 나
-
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에 따르면 2018년도 1분기(4~6월) 출하등 조강 수요량은 2634만톤으로 전기 실적 예상치 대비 0.9% 감소했다. 3분기만에 줄어들었다.강재 수요가 계절적 요인 등으로 국내외 수요가 감소해 전체적으로 2.2% 축소됐다. 하지만 향후 수요환경은 전체적으로 견조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또한 글로벌 과잉생산능력 문제, 미국의 수입규제에 따른 통상문제 등에 의해 수요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경제산업성은 철강업체들이 글로벌 수요에 맞춘 생산과 적정한 재고관리를 통해 불안한 글로벌 환경에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Japan_METI_Logo▲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 로고
-
2016-09-02일본 시스템개발업체 인프링크(インフォリンク)는 2016년 8월 31일 스마트폰으로 바코드를 읽어 회사나 점포의 상품재고관리를 할 수 있는 서비스 'sou-co'를 공개했다.스마트폰으로 바코드를 읽고 입출고, 재고입력이 가능하며 최신 재고정보를 이동 중에도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수작업으로 재고를 관리하고 있는 소규모 회사, 점포, 기존 재고관리시스템과 스마트폰을 연동하고자 하는 기업이 주요 영업 대상이다.▲인프링크(インフォリンク) 홈페이지
-
말레이시아 석유소매업체 Petronas Dagangan에 따르면 2016년 2분기 순이익은 2.14억링깃으로 직전분기에 비해 21.3% 감소했다. 동기간 보조금 수취액은 8990만링깃이 축소됐으며 석유소매를 위한 운영비 지출액도 확대됐기 때문이다.2015년 4분기부터 저유가의 효과로 인해 실적이 수백배 급증됐지만 미흡한 경영관리로 다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당사의 경영초점을 지속적인 재고관리와 효율적인 공급 및 유통에 맞추라고 조언한다.
-
▲ 일본 로봇개발벤처기업인 ZMP 로고일본 로봇개발벤처기업인 ZMP는 2016년 인쇄업체인 돗판인쇄(凸版印刷)와 대차형로봇을 사용해 재고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공동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돗판의 IC태그를 상품에 붙이고 태그판독장치를 설치한 로봇을 통해 재고사항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2017년 공급을 시작할 계획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