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10
" 일본"으로 검색하여,
4,09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8-01▲ LG생활건강 로고 [출처=LG생활건강]LG생활건강(대표이사 이정애)에 따르면 2025년 2분기(이하 연결 기준) 매출액은 1조604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8퍼센트(%) 감소했다.동기간 영업이익은 54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4% 급락했다. 북미와 일본 사업의 성장세는 지속됐지만 전반적으로 경기 회복이 더디어지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화장품(Beauty) 사업부는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원가 부담이 커진 데다 면세, 방판 등 전통 채널을 중심으로 국내 사업 구조를 재정비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Home care & Daily Beauty(HDB)·생활용품 사업부는 프리미엄 브랜드가 해외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보이면서 매출이 올랐지만, 고정 비용과 마케팅 투자가 늘면서 영업이익이 줄었다.음료(Refreshment) 사업부는 내수 소비 둔화에 비우호적인 날씨까지 겹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했다. 2분기 해외 시장 매출은 북미와 일본이 각각 6.4%, 12.9% 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중국은 8.0% 하락했다.2025년 상반기 전사 매출은 3조3027억 원, 영업이익은 197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3%, 36.3% 감소했다.◇ 2025년 2분기 사업별 실적Beauty 2분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4% 줄어든 6046억 원, 영업이익은 -163억 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국내 헬스앤뷰티(H&B)숍과 북미 아마존, 일본 등 주력 채널은 고성장을 이어갔다.하지만 전반적으로 시장 경쟁이 심화되면서 원가 부담이 확대됐다. 여기에 면세, 방판 등 전통 채널들의 사업 구조를 재정비하면서 실적이 하락했다.반면 미래를 위한 마케팅 투자는 계속됐다. 궁중 피부과학 럭셔리 코스메틱 ‘더후’는 지난 5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세계적인 예술 박람회인 ‘프리즈 아트페어’에서 하이엔드 안티에이징 화장품 ‘환유’를 선보이며
-
2025-07-18중국 국가에너지국(国家能源局)에 따르면 2025년 7월16일(수) 최대 전력부하가 처음으로 15억 킬로와트(kW)를 돌파했다. 7월 들어 4일 14억6500만kW, 7일 14억6700만kW, 16일 15억600만kW를 각각 기록했다.중국 국가우정국(国家邮政局)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1~6월) 중국우편업계 택배업무량이 총 1045억1000만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9% 증가했다.일본 NTT도코모(NTTドコモ)에 따르면 2025년 8월1일(금)부터 삼성전자의 갤럭시 Z폴드 7 SC-56F / Z플립 7 SC-55F를 판매한다.일본 재무성(財務省)에 따르면 6월 수출액은 9조1626억 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0.5퍼센트(%) 감소했다. 이 중 미국향 수출액은 11.4% 줄어 3개월 연속 하락했다. 특히 수출 비중이 큰 자동차의 경우 26.7% 감소했다.세계 최대 반도체 수탁 생산기업 TSMC에 따르면 2025년 4~6월기 매출액은 NT$ 9337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8.6% 증가했다. 동기간 순이익은 3982억 달러로 60.7% 늘어났다.홍콩공항청(香港機管局)에 따르면 2024/25 회계연도에 항공 교통량 증가 및 매출 증가에 힘입어 HK$ 24억5700만 달러 이익을 기록했다. 따라서 홍콩 정부에 13억 달러 배당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일본 NTT도코모 홈페이지◇ 중국 국가에너지국(国家能源局), 2025년 7월16일(수) 최대 전력부하 15억 킬로와트(kW) 돌파중국 국가에너지국(国家能源局)에 따르면 2025년 7월16일(수) 최대 전력부하가 처음으로 15억 킬로와트(kW)를 돌파했다. 7월 들어 4일 14억6500만kW, 7일 14억6700만kW, 16일 15억600만kW를 각각 기록했다.여름에 진입한 후 7월16일 정오(12시)까지 텐진(天津), 지베이(冀北), 지난(冀南), 산둥(山东), 장쑤(江苏), 저장(浙江), 안후이(安徽), 푸젠(福建), 후베이(湖北), 허난(河南), 장시(江西)
-
2025-06-30▲ 신한카드는 일본 프리미엄 호텔·리조트 브랜드 ‘호시노 리조트(Hoshino Resorts)’, 일본 국제 카드 브랜드 ‘JCB’와 협업해 '신한카드 Haru(Hoshino Resorts)’ 출시(박창훈 신한카드 사장(사진 왼쪽)과 요우카와 JCB 인터내셔날 사장) [출처=신한카드]신한카드(사장 박창훈)에 따르면 일본 프리미엄 호텔·리조트 브랜드 ‘호시노 리조트(Hoshino Resorts)’, 일본 국제 카드 브랜드 ‘JCB’와 협업해 일본 여행에 특화된 ‘신한카드 Haru(Hoshino Resorts)’(이하 신한카드 하루)를 출시했다.박창훈 신한카드 사장, 요우카와 JCB 인터내셔날(International) 사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한 신한카드 본사에서 출시 기념행사를 개최했다.먼저 신한카드 하루는 해외 온·오프라인 결제 시 2퍼센트(%) 마이신한포인트를 적립해준다. 일본 결제 건에 대해서는 1.5% 추가 적립을 제공해 총 3.5% 적립을 받을 수 있다.전월 국내 이용 실적 30만 원 이상인 경우 적용되며 해외 결제 적립은 월 3만 포인트, 일본 결제 추가 적립은 월 10만 포인트까지 각각 제공된다.또한 60여 개의 호시노리조트 계열 숙박 시 최대 30% 할인 혜택도 제공한다. 호시노리조트는 도쿄, 오사카, 오키나와 등 일본 주요 도시를 비롯해 괌, 발리 지역 등에서 럭셔리 호텔인 ‘호시노야’, 온천 료칸 ‘카이’, 리조트 호텔 ‘리조나레’, 도시관광호텔 ‘OMO’ 브랜드의 60여 개 호텔·리조트를 운영하고 있다.이 밖에도 국내 거래건에 대해서 1% 마이신한포인트를 월 5만 포인트까지 적립해 해외 여행 뿐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신한카드는 카드 출시를 기념해 이벤트도 준비했다. 먼저 2025년 7월
-
2025-06-27▲ 쿠팡플레이가 오는 7월 4일(금)부터 유해진·이제훈 주연의 소주전쟁을 0원에 제공한다. [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박대준)에 따르면 쿠팡플레이(대표이사 김성한)가 유해진·이제훈 주연의 실화를 모티브로 한 화제작 <소주전쟁>을 공개한다.와우회원 대상 ‘쿠플클럽’의 파격적인 0원 시청 혜택을 이어간다. 이번 쿠플클럽 혜택은 2025년 7월4일(금)부터 6일(일)까지 72시간 동안 <소주전쟁>을 0원에 시청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쿠팡 와우회원이라면 누구나 쿠팡플레이 마이페이지 내 ‘쿠플클럽’에서 해당 혜택을 확인할 수 있으며 혜택 적용 후에는 7일간 자유롭게 시청이 가능하다.영화 <소주전쟁>은 1997년 IMF 외환위기, 소주 회사가 곧 인생인 재무이사 ‘종록’과 오로지 성과만 추구하는 글로벌 투자사 직원 ‘인범’이 대한민국 국민 소주의 운명을 걸고 맞서는 이야기다.이번 작품은 유해진과 이제훈이 처음으로 호흡을 맞춘 영화로 상반된 두 인물이 펼치는 현실적이면서도 따뜻한 감정의 드라마가 인상적이다. 특히 두 배우의 ‘술맛 나는 케미’는 극의 중심축으로 작용하며, 유쾌하면서도 진한 여운을 남긴다.손현주, 최영준, 그리고 글로벌 작품에서 활약한 바이런 만까지 합류해 캐릭터의 깊이를 더했으며 탄탄한 연기 내공을 지닌 배우들이 만들어낸 밀도 높은 앙상블은 영화의 몰입도를 한층 끌어올린다.국내 개봉 이후 빠르게 입소문을 탄 <소주전쟁>은 북미를 시작으로 베트남, 일본, 대만, 러시아 등 전 세계 21개국에서 순차적으로 개봉을 앞두고 있다.한편 ‘쿠플클럽’은 쿠팡플레이의 와우회원 전용 콘텐츠 리워드 프로그램이다. 베를린 국제영화제 초청작 <파과>, 송혜교 주연의 <검은 수녀들>, 미스터리 스릴러 <침범> 등 최신 영화와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파격
-
2025년 6월25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에서는 국민의 체중감량을 위한 약물 복용이 늘어나며 식품 판매가 줄어들고 있다.프랑스 정부는 일본 다카타 에어백의 리콜 조치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자동차 제조사 브랜드와 상관 없이 2012년 이전에 생산된 모델이 해당된다.아일랜드 승객 운송업체는 노조와 향후 2년 동안 급여를 6.75% 인상한다고 밝혔다. 급여 인상으로 2025년 손실도 2024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다카타(Takata) 에어백 리콜 관련 조치 사항 [출처=닛산 홈페이지]◇ 영국 칸타(Kantar), 지난 4주 동안 슈퍼마켓 식품 판매 0.4% 하락영국 시장조사 및 데이터분석업체인 칸타(Kantar)에 따르면 지난 4주 동안 슈퍼마켓 식품 판매가 0.4%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2025년 들어 식품 판매가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은 처음이다.6월 인플레이션이 4.7%를 기록했음에도 전체 식품 판매가 줄어든 것이다. 인플레이션은 식품 습관을 변화시켰을 뿐 아니라 설탕이 들어간 식품의 구매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다수 국민이 체중감량약물인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를 사용하고 있다. 현재 국민의 4%정도가 다이어트 관련 약물을 복용하고 있지만 점점 확대되고 있다.◇ 프랑스 교통부, 2025년 6월24일 일본 다카타 에어백을 장착한 차량 80만 대를 추가로 리콜프랑스 교통부는 2025년 6월24일 일본 다카타(Takata) 에어백을 장착한 차량 80만 대를 추가로 리콜하라고 명령했다. 현재 250만 대의 차량이 영향을 받고 있으며 170만 대는 운행이 금지된 상태다.2012년 이전에 생산된 모든 자동차에 해당되며 전체 리콜 대상 차량은 250만 대로 이전 예상치보다 60만 대가 늘어났다. 90만 대는 수리 이전에 운행 자체가 금지되며 80만 대는 운행 자체를 중단해야 한다.일본 에어백 제조업체인 다타카다 생산한 에어백은 고압에 폭발할 위험이 있어서 교체하고 있다. 도요타자동차
-
▲ LG화학과 일본 노리타케가 개발한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 [출처=LG화학]LG화학(대표이사 신학철 부회장)에 따르면 일본 노리타케와 함께 자동차 내 전력 반도체(SiC) 칩과 기판을 접합하는 실버 페이스트(Silver Paste)를 공동 개발했다.이번에 양사가 공동 개발한 실버 페이스트는 은(Ag) 나노 입자를 포함한 고성능 접착제로 LG화학의 입자 설계 기술과 노리타케의 입자 분산 기술을 접목해 우수한 내열성과 방열 성능을 동시에 확보했다.기존 실버 페이스트는 냉동 보관과 짧은 보관 기한으로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반면 이번 개발품은 장기간 상온 보관이 가능해 운송 및 보관 효율이 향상됐으며 고객 공정 내 제품 사용 가능 시간도 길어져 손실을 줄일 수 있다.또한 기존에 사용되던 솔더링(Soldering, 납땜) 방식은 전력 반도체 구동 온도가 최고 300도까지 높아지며 적용에 어려움이 발생, 고온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는 접착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차세대 제품의 선행 개발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노리타케는 정밀 세라믹 분야에서 120년 이상의 기술력을 보유한 일본 기업으로 반도체·자동차 산업에 연마 휠, 전자부품용 소재, 소성로(열처리 장비) 등을 공급하고 있다.최근 자동차 전동화, 자율주행 기술 발전으로 고내압, 고전류에 대응할 수 있는 전력 반도체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자동차 전력 반도체용 실버 페이스트 시장은 2025년 약 3000억 원에서 2030년에는 85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신학철 부회장은 “LG화학은 오랜 기간 축적해온 기술력과 소재 설계 역량을 바탕으로 자동차 전장 부품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해 왔다”며 “노리타케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자동차용 접착제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다”고 밝혔다.
-
▲ 한-일 드론 로드쇼에 참석한 대한민국 대표단 [출처=항공안전기술원(KIAST)]항공안전기술원(원장 황호원)에 따르면 2025년 6월4일(수)부터 6일(금)까지 3일간 일본 치바현 마쿠하리 멧세에서 열린 ‘Japan Drone Expo 2025’와 연계한 ‘한-일 드론 로드쇼’가 성공적으로 개최됐다.이번 행사에는 국내 드론 분야 유망 기업과 지자체, 기관 등 총 7개 사가 참가해 일본 주요 기업 및 기관과 기술 교류, 상담 등을 진행하고 자사 기술과 제품을 선보이며 신규 수요처를 발굴했다.참가기관 및 기업은 경기도 포천시, 전라북도 남원시, 볼로랜드, 메이사, 파블로항공, DFL, DSK(드론쇼코리아) 등이다.행사 기간 ‘Japan Drone Expo 2025’ 내 K-드론 공동관을 운영했다. 참여 기업들은 일본 현지 유관기관 및 바이어를 대상으로 자사 제품과 기술을 소개하고 총 251건의 비즈니스 상담, 3건의 MOU를 성사시켰다.또한 전시 부스 운영과 함께 공식 컨퍼런스 연사로 참여해 우리나라 드론 산업 정책과 현황을 발표하는 한편 일본 드론 산업 생태계를 파악하고 국내 기업의 동북아 시장 진출 전략을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했다.항공안전기술원은 국토교통부와 함께 우수 K-드론 기업의 해외 진출과 드론 산업 활성화를 통한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 2020년부터 ‘드론 기업 해외진출 지원사업’을 지속 추진해 오고 있다.▲ 한-일 드론 로드쇼 대한민국 통합전시관에서 방문객 대상 전시 내용 소개 [출처=항공안전기술원(KIAST)]일본 드론 산업의 강점은 드론 핵심 소재와 부품 기술이며 우리 드론 활용 사업과의 협력 가능성이 높아 올해 최초로 일본 현지 로드쇼 진출을 결정하게 됐다.특히 이번 로드쇼는 일본 내 최대 드론 산업 전시회인 ‘Japan Drone Expo 2025’와 연계해 개최돼 일본 국토교통성과 방위성 등 정부기관 관계자와 산업 관계자가
-
2025-06-09▲ ‘서울 푸드 2025’ 상쾌환의 전시 부스 [출처=삼양사]삼양사(대표 최낙현)에 따르면 2025년 6월10일(화)부터 13일(금)까지 나흘간 숙취 해소 브랜드 상쾌환이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서울푸드 2025’에 참가해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서울푸드’는 국내외 식품산업의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과 업계 트렌드 및 인사이트 공유를 위해 매년 열리는 국제 식품전시회다. 2025년에는 52개국에서 1600여 개사가 참여한다.상쾌환은 해외 시장에서의 브랜드 인지도 제고와 잠재고객 발굴을 위해 이번 전시회에 처음 참가한다. 과학적으로 입증된 숙취 해소 효과와 제품 안전성을 비롯해 다양한 제형과 맛, 편리한 휴대성과 섭취 방식 등 상쾌환만의 강점을 내세워 해외 판로를 넓히겠다는 구상이다.상쾌환은 행사에 앞서 국내 식품·무역기관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주요 국가의 수입처를 사전 초청하는 한편 기존 고객과의 유대 강화에 나선다.특히 일본 등 주요 거래처를 대상으로 현지 유통 전략 및 판매 아이디어를 논의하며 파트너십을 강화할 계획이다. 현재 상쾌환은 일본 편의점 ‘로손’과 종합 할인점 ‘돈키호테’를 비롯해 미국, 중국, 태국, 오스트레일리아 등 10여 개국에 진출해있다.로손 입점을 시작으로 국가별 대형 유통사 입점과 제휴를 타진하며 음주 전후에 숙취 해소 제품을 섭취하는 문화 정착에 앞장서고 있다.상쾌환은 젊고 트렌디한 브랜드 이미지가 느껴지도록 전시 부스 디자인에도 공을 들였다. 브랜드 시그니처 컬러인 ‘블루’를 활용해 모던하고 감각적인 디자인으로 꾸몄다. 방문객의 관심을 끌기 위해 부스 전면에는 상쾌환 스틱의 모양을 본뜬 포토존도 설치했다.또한 부스에서는 삼양사의 역사와 기술력, 상쾌환의 브랜드 철학, 주요 제품, 핵심 효능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공간을 세분화하고 현장에서 심도 있는 비즈니스 상담을 진행한다. 방문객
-
2025-06-05▲ 항공안전기술원, 한·일 UTM 연구진과 기념촬영 [출처=항공안전기술원]항공안전기술원(원장 황호원)에 따르면 2025년 6월3일(화) 일본 가와사키델타에서 일본 신에너지산업기술총합개발기구(NEDO)와 공동으로 드론교통관리(UTM) 기술교류 워크숍을 개최했다.NEDO는 New Energy and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의 약어로 일본 에너지 환경분야 및 산업기술을 담당하는 독립행정법인이다. UTM은 Unmanned Aircraft System(UAS) Traffic Management의 약어다.이번 워크숍은 2024년 6월 ‘Japan Drone 2024’에서 항공안전기술원과 NEDO간 처음 교류한 것을 계기로 같은 해 10월 NEDO의 기술원 방문을 거쳐 협력 기반을 다져온 결과로 마련됐다.한국에서는 국토교통부, 항공안전기술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공항공사, 한국법제연구원, 메타빌드, 케이지에프씨, 한국항공대학교 등 9개 기관이 참석했다.일본 측에서는 NEDO를 비롯해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NEC Corp., NTT DATA, Intent Exchange Inc., KDDI, Mitsubishi Research Institute, PwC 등 총 8개 기관 연구진이 참여했다.이번 자리에서는 양국 연구진이 자국의 UTM 연구개발 현황과 주요 성과, 기술 발전 방향 등을 공유하고 향후 연구 협력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 항공안전기술원(KIAST)-일본 신에너지산업기술총합개발기구(NEDO) ReAMo(Realization of Advanced Air Mobility Project) 워크숍 [출처=항공안전기술원]항공안전기술원은 국토교통부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다목적 복수 저고도 드론 교통관리시스템 및 드론 식별기술 개발(2023~2026)’ 과제를 수행하며 UTM의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연구
-
▲ ‘일본 국제식품소재 박람회 2025’에 참가한 삼양사 부스 전경 [출처=삼양사]삼양사(대표 최낙현)에 따르면 2025년 5월21일(수)부터 23일(금)까지 사흘간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일본 국제 식품소재 박람회(IFIA·HFE Japan) 2025’에 참가한다.삼양사는 일본 국제 식품소재 박람회에서 스페셜티(고기능성) 식품 소재의 우수성을 알리고 실질적인 솔루션을 선보인다.이번 일본 국제 식품소재 박람회에서는 다양한 식품 소재와 기능성 식품 관련 신제품 및 신기술을 선보인 가운데 행사 기간 전 세계 300여 개 업체와 3만 여 명의 방문객이 모일 것으로 보인다.삼양사는 현지 유통사와 실수요업체를 대상으로 스페셜티 식품 소재의 강점을 알리는 동시에 업계 및 시장 트렌드를 탐색하고자 2025년도에 5년째 해당 박람회에 참가하고 있다.이번 행사에서는 대체 감미료인 알룰로스와 건강기능식품 소재인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을 전시하고 이를 활용한 솔루션을 제공했다.특히 알룰로스와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이 모두 적용된 단백질 바와 젤리를 시식 샘플로 제공하는 한편 아이스크림과 음료, 소스 등 여러 식품 카테고리별로 스페셜티 식품 소재가 적용된 제품을 전시해 방문객들의 이해를 도왔다.알룰로스는 설탕 대비 70퍼센트(%) 정도 단맛이 나는 제로 칼로리의 대체 감미료다. 삼양사는 2016년 자체 개발한 효소 기술로 액상 알룰로스 대량 생산에 성공하고 2020년부터 양산을 시작했다.2024년는 울산에 종합 스페셜티 공장을 준공해 국내 최대 규모의 알룰로스 생산 시설을 구축했다. 현재 삼양사는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usiness to Consumer, B2C) 프리미엄 당 브랜드 ‘트루스위트(Trusweet)’와 기업과 기업간 거래(Business-to-business, B2B) 브랜드 ‘넥스위트(Nexweet)’를 통해 국내외에 알룰로스를 공급하고 있다.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은 수용성 식이섬유로 △배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