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와이파이"으로 검색하여,
1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01▲ 삼성전자 에어컨 설치 전담팀이 에어컨 설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습[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예년보다 빠른 무더위 예보에 대비해 신속하고 신뢰성 높은 에어컨 설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어컨 설치 전담팀을 조기 운영한다.삼성전자는 삼성전자로지텍과 함께 에어컨 설치 전담팀을 2024년보다 약 한 달 앞당겨 4월1일부터 운영한다. 전담팀 규모는 4700여 명이며 8월까지 운영된다.에어컨 설치 전담팀을 대상으로 △와이파이, 공유기 연결과 같은 기본적인 모바일 기기 설정 △스마트싱스와 제품 연결 실습 △에어컨 제품의 주요 기능 설정 등의 교육을 진행해 더욱 전문적인 설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삼성전자는 4월1일부터 2025년형 ‘비스포크 AI 무풍콤보 갤러리’ 에어컨 신제품 론칭을 기념해 ‘무풍무패’ 프로모션을 진행한다.‘비스포크 인공지능(AI) 무풍콤보 갤러리’ 에어컨은 삼성전자의 독보적인 ‘무풍’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섬세하게 습도를 센싱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쾌적함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높이는 ‘쾌적제습’ 기능을 새롭게 적용한 제품이다.삼성전자는 ‘비스포크 AI 무풍콤보 갤러리’ 신제품 구매 고객에게 최대 50만원 상당의 캐시백 또는 삼성전자 멤버십 포인트를 지급한다. 기존에 소유한 에어컨을 교체하는 고객에게는 최대 10만 원의 혜택을 추가 제공한다.또 모든 ‘비스포크 AI 무풍콤보 갤러리’ 에어컨 구매 고객에게 최적의 제품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 전문분해세척 서비스를 무료로 1회 제공한다.삼성전자는 "역대급 무더위 예보에 맞춰 한발 앞서 에어컨 구매에 나서는 고객들에게 신속하고 신뢰성 높은 설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 전담팀 운영을 앞당겼다"며 "전담팀 조기 운영과 강화된 설치 역량을 바탕으로 만족도 높은 AI 에어컨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고 밝혔다.
-
▲ 필리핀 NNIC(New NAIA Infra Corp.),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NAIA)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 개선[출처=NNIC 홈페이지]2024년 10월17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필리핀과 인도네시아를 포함한다. 필리핀 NNIC는 통신사 PLDT, 스마트 커뮤니케이션즈, 콘버즈 ICT와 협력해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의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개선했다.인도네시아 정보통신부는 테무 애플리케이션을 차단함으로써 자국의 중소기업과 소비자를 보호한다.◇ 필리핀 NNIC(New NAIA Infra Corp.),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NAIA)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 개선필리핀 NNIC(New NAIA Infra Corp.)에 따르면 향후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Ninoy Aquino International Airport, NAIA)에서 더욱 빠른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NNIC는 통신사 PLDT와 그 자회사 스마트 커뮤니케이션즈(Smart Communications), 그리고 콘버즈 ICT(Converge ICT)와 파트너십을 통해 기존의 기능을 대폭 개선했기 때문이다."NewNAIA"는 1시간당 1000명의 고객이 연결해 사용할 수 있으며 평균 50~60메가비피에스(MBps)에서 최대 115Mbps의 속도를 자랑한다.고객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2시간으로 제한했었지만 현재 3시간으로 연장된 바 있다. 스마트폰 보급이 확대되며 데이터 통신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다.◇ 인도네시아 정보통신부(MCIT), 중국 테무 애플리케이션 차단인도네시아 정보통신부(MCIT)는 중국 전자상거래 테무의 애플리케이션을 차단했다. 테무의 약탈적인 가격 결정과 가격 덤핑으로부터 중소기업(MSMEs)과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함이다.테무는 국내에서 전자시스템 운영자(ESO)로 등록되지 않아 불법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더불어 MCIT는 정부의 규제 기준을 준수하지 않기 때문에 상품의 품질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점도 지적했다.
-
2021-06-21중국 수중드론 전문제조업체 체이싱(Chasing)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및 iOS 체제의 스마트폰으로 제어할 수 있는 수중드론 ‘체이싱 도리(Chasing Dory, 이하 도리)’를 업그레이드하고 있다.현재 도리 모델은 수심 49피트(약 15미터)에서 유영하며 사진과 HD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와이파이로 연결돼 스마트폰으로 실시간 영상을 보며 터치로 조종할 수 있다.크기도 247×188×92mm로 성인이 한 손으로 집을 수 있어 휴대성이 매우 좋다. 배터리 완충 후 1시간 동안 작동 가능하며 유영 속도는 1.5노트(시간당 2.7킬로미터)이다.별도의 부표가 있으며 이것으로 GPS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체에 케이블선을 꼽은 채로 유영해야 하기 때문에 기동 범위가 제한적이며 이에 따라 수심도 49피트로 정해졌다.체이싱 연구진은 도리 모델을 업그레이드해 유영 가능한 수심을 현재의 10배에 달하는 490피트까지 늘릴 방침이다. 유영 범위가 넓어진 만큼 배터리 용량도 확대할 계획이다.또한 현재의 와이파이 영상 전송 및 컨트롤 방식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수중에서는 와이파이 전송률이 고르지 못하고 수심이 깊어질수록 다른 통신수단으로 대체할 필요성이 커지기 때문이다.미국이나 유럽은 국가 차원에서 수중드론을 개발해 해양 탐사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취미용 수중드론을 개발한다는 점에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체이싱 도리의 스마트폰 조작 가상화면(상)과 한 손에 잡히는 모습(하)(출처 : 홈페이지)
-
필리핀 정보통신기술부(DICT)에 따르면 국가브로드밴드계획(NBP)에 P200억 페소를 투자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는 초기 투자할 예정이었던 금액 770억 페소에 비해서는 대폭 줄어든 것이다.2017년 6월 론칭한 국가브로드밴드계획(NBP)에 따르면 2022년까지 전국적으로 20만 개의 와이파이 무선중계기를 설치할 예정이다.정보통신기술부(DICT)는 인터넷 속도를 높이고 요금부담을 줄이기 위해 광통신망과 무선기술을 개선하고 잇다.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NGCP(National Grid Corp. of the Philippines), TransCo(National Transmission Corp.)와 3자 협정을 체결했다.2018년 5월 우클라(Ookla)의 발표에 따르면 필리핀의 평균 유선 인터넷 속도는 다운로드는 17.7메가비트, 업로드는 15.86메가비트로 나타났다.필리핀의 실적은 글로벌 평균 다운로드 45.48메가비트, 업로드 22메가비트에 비해 뒤져 있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에서 인터넷의 보급과 속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국가차원의 업그레이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정보통신기술부(DICT) 로고
-
말레이시아 1위 통신업체 Telekom Malaysia(TM)에 따르면 2018년 1분기 순이익은 1억5716만 링깃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32.0% 감소됐다.해당기간 음성, 데이터, 기타 통신서비스 등 대부분 사업에서 실적이 둔화됐기 때문이다. 결국 매출과 영업이익도 각각 3.9%, 35.2%씩 줄어 들었다.가입자수가 점차 포화상태에 이르고 타 동종업계와 경쟁이 과열되면서 이익 감소는 불가피한 실정이다. 현재는 투자지속과 비용절감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다.반면에 국내 통신서비스업계는 설비투자를 통해 통신망을 확대 및 개선하고 있다. 브로드밴드, 와이파이, 콘텐츠, 광고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하고 있다.참고로 TM(Telekom Malaysia)은 1984년에 설립된 국내 최대 통신기업이다. 브로드밴드 가입자수만 200만 명이 넘으며 직원은 약 2만6000명이 있다.▲Telekom Malaysia 로고
-
말레이시아 1위 통신업체 Telekom Malaysia(TM)에 따르면 2018년 1분기 순이익은 1억5716만 링깃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32.0% 감소됐다.해당기간 음성, 데이터, 기타 통신서비스 등 대부분 사업에서 실적이 둔화됐기 때문이다. 결국 매출과 영업이익도 각각 3.9%, 35.2%씩 줄어 들었다.가입자수가 점차 포화상태에 이르고 타 동종업계와 경쟁이 과열되면서 이익 감소는 불가피한 실정이다. 현재는 투자지속과 비용절감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다.반면에 국내 통신서비스업계는 설비투자를 통해 통신망을 확대 및 개선하고 있다. 브로드밴드, 와이파이, 콘텐츠, 광고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하고 있다.참고로 TM(Telekom Malaysia)은 1984년에 설립된 국내 최대 통신기업이다. 브로드밴드 가입자수만 200만 명이 넘으며 직원은 약 2만6000명이 있다.
-
인도네시아 무선인터넷솔루션업체 PT Mahata Aero Teknologi(MAT)에 따르면 2018년 4분기 국내 최초로 항공기 내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이다.2018년 3월부터 자카르타에 본사를 소재한 저가항공사 시티링크(Citilink)와 제휴를 통해 해당 사업을 추진했다. 현재는 설계 단계가 진행 중이며 4분기 내로 설비를 탑재할 계획이다.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는 첫 시행일로부터 5~6년간 지원될 예정이다. 설비는 시티링크 여객기 중 국내외 노선을 포함한 50기에 설치된다. 여객수요가 높은 노선부터 우선적으로 할당된다.와이파이는 항공기 비행 중 안정권에 진입해야 사용할 수 있다. 결국 단시간 운항에서는 필요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비행시간이 최소 90분은 돼야 와이파이 설비를 장착할 수 있다.당사 경영진들은 인도네시아에서는 유일하게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가 제공되기 때문에 자부심이 크다고 말한다. 현재 와이파이를 비롯한 기내 고급설비 및 서비스가 추가로 개발되고 있다.▲PT Mahata Aero Teknologi(MAT) 홈페이지
-
인도네시아 철도공사(KAI)에 따르면 2018년 내로 모든 열차에 '와이파이(WiFi)' 장비를 설치할 계획이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확대되면서 승객들의 편의도 향상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서다.아직 공사측 예산이 정확히 편성되지 않았아 관련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향후 무선인터넷 회로, 단말기 등은 예산에 맞춰 설치될 예정이며 모든 열차에 적용되는 것은 제한될 것으로 예상된다.참고로 현재 인도네시아 내 주요 도심지 철도역에는 와이파이 서비스가 지원되고 있다. 자카르타의 감비르역이 대표적이며 이번 열차 내 와이파이가 지원되면 이동형으로 확장될 것이다.▲철도공사(KAI) 로고
-
[나이지리아] 동영상 사이트 TSTV(Telcom Satellites Television), 소비자 와이파이(WIFI)인터넷 모델인 Pay-As-You-Consume모델 출시 계획2017-09-26나이지리아 동영상 사이트인 Telcom Satellites Television(TSTV)에 따르면 소비자 와이파이(WIFI)인터넷 모델인 Pay-As-You-Consume모델을 출시할 계획이다.2017년 10월1일 출시될 예정이며 스마트 셋톱박스와 함께 DTH(Direct To Home) 서비스도 도입된다. 해당 서비스는 위성을 통해 직접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가장 큰 이점은 소비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TH기술을 통해 표준 및 고화질 영상을 시청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통한 컨텐츠 탐색이 가능하다.▲Telcom Satellites Television(TSTV) 로고
-
인도 국영통신사인 BSNL에 따르면 2019년 3월 인도 전역에 와이파이(Wi-Fi)지점 10만 곳 설치를 발표했다. 해당사는 와이파이(Wi-Fi)지점 7000곳 설치에 180억 루피를 투자한다.설치 지점 중 2만5000곳은 농촌 지역이며 USOF(Universal Service Obligation Fund)에서 재정 지원을 한다. USOF는 자금 90억 루피를 지원하는 동시에 3년간 2만5000곳의 운영 및 유지비도 지원된다.수익 공유 기준으로 추가로 5000곳을 설치하며 BSNL은 자금투자는 하지 않고 광대역만 제공한다. 해당사는 이외에도 물품서비스세(GST) 애플리케이션을 론칭했다.▲BSNL 로고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