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아사히글라스"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일본 아사히글라스(旭硝子)에 따르면 2017년 5월 인도네시아에서 판유리 생산능력을 연 72만 톤으로 약 10% 확대하기로 결정했다.동남아시아에서는 경제성장을 배경으로 고층빌딩의 개발이 왕성하며 현지에서 높은 건축용 유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약 190억 엔을 투자해 2019년 봄까지 기존 제조가마보다 생산능력이 높은 최신형을 가동할 계획이다. 최신형 가마의 생산능력은 연간 21만 톤으로 구형 가마보다 40% 높다.▲아사히글라스(旭硝子) 로고
-
일본 유리제조업체인 아사히글라스(旭硝子)에 따르면 2017년 4월 프랑스에서 유리공장의 생산 가마를 4년만에 재가동한다.리폼용 등 건축용 유리의 수요가 회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재가동에 의한 유럽의 유리생산능력은 1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참고로 유럽에서는 2008년 리먼쇼크 이후 유리수요의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아사히글라스도 서·중유럽의 각공장에서 총 4기의 가마가동을 중지했다.▲아사히글라스(旭硝子) 홈페이지
-
일본 아사히글라스(旭硝子)에 따르면 2017년 7~9월기내 중국 화싱광뎬(CSOT.华星光电)과 합작으로 자회사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자본금은 108억엔, 출자비율은 아사히글라스 70%, 화싱광뎬 30%로 총 투자액은 비공개다.약 3미터 사방의 LCD TV용 유리기판을 생산하는 11세대 라인에서 유리기판을 제작해 대형 TV를 생산하는 TCL그룹 등에 판매할 예정이다.또한 2019년 가동을 목표로 중국 가전대기업 TCL그룹 산하 액정패널 기업의 공장 부내재 유리기판 가공라인을 설치하기로 했다.아사히글라스는 중국 선전시에 TV 액정용 유리 기판 생산 거점을 설립해 중국 내 생산체제를 강화하고 증가하고 있는 유리기판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이다.▲ Japan_AGC(Asahi Glass Co.)_Homepage▲아사히글라스(旭硝子) 홈페이지▲ China_CSOT_Homepage▲화싱광뎬(CSOT.华星光电) 홈페이지
-
다이닛폰인쇄(大日本印刷)는 2016년 아사히글라스와 연계해 소비전력이 낮은 옥외설치형 전자간판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내부에 팬을 이용한 공냉식 냉각시스템을 도입해 주류인 쿨러방식 제품보다 소비전력을 1/5로 절감했다. 이 제품은 7월 중 발매할 계획이다.
-
일본 유리제조업체 아사히글라스(旭硝子)는 2016년 인도네시아 자회사에서 염화비닐모노머의 생산을 증강하기로 결정했다. 연간 생산 능력을 현재 80만 톤에서 10만 톤 확대해 동남아시아에서 염화비닐 수지의 수요확대에 대응한다.
-
유리제조업체 아사히글라스, 2016년 차량탑재 디스플레이 보호유리의 연간 생산능력을 400~500만장으로 기존 대비 2배 증대 계획...자회사 공장에 생산라인을 설치해 4월부터 가동 개시
-
KCC는 단순 건자재로 사업을 시작해 현대그룹의 건설관련 계열사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단기간에 국내 1위의 건자재업체로 성장했다.건자재에서 도료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였고, 이제는 정밀화학기업으로 성장하려는 목표를 세우고 있지만 전방산업인 건설, 자동차, 조선산업이 폭발적인 성장기를 지나 침체기로 접어들면서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KCC는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제품품질의 향상과 새로운 시장개척을 사업전략으로 선택했다. KCC의 기업문화를 진단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SWEAT Model의 두 번째 DNA인 사업(Business)을 제품(product)와 시장(market) 측면에서 평가해 보자.◇ 안전한 건자재, 건설, 자동차 유리 등으로 사업영역 확장단순한 건축자재인 스레트 제조에서 출발했지만 KCC의 사업분야는 건축시장, 토목/플랜트 시장, 선박/중방식 시장, 공업시장, 자동차시장, 태양광/전기/전자시장, 화장품 시장 등으로 늘어났다.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였던 건축시장을 넘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