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생산기지"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7-30▲ 효성중공업 빌딩 [출처=효성중공업]효성(회장 조현준)에 따르면 2025년 7월30일(수) 경상남도 창원공장에서 효성중공업(대표이사 우태희)이 초고압 직류송전(HVDC) 변압기 공장 신축 기공식을 개최했다. 효성이 미래 전력망의 핵심 기술, 전압형 초고압 직류송전(HVDC) 변압기 생산기지 구축에 나선다.이날 행사에는 이상운 효성 부회장, 허성무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김종양 국회의원(국민의힘), 최형두 국회의원(국민의힘),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 등 주요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했다.◇ 국내 최대 전압형 HVDC 변압기 전용 공장… ‘기술 국산화’ 이어가효성중공업 HVDC 변압기 공장은 효성중공업 창원공장 내 부지 약 2만9600(제곱미터(m2)에 들어설 예정으로 2027년 7월 완공된다.효성중공업은 공장 신축 약 2540억 원을 포함해 HVDC의 핵심 설비인 ‘대용량 전압형 컨버터 시스템’ 제작 시설 증축, 연구개발(R&D) 과제 수행 등 HVDC 사업을 위해 향후 2년간 총 33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이번에 신축되는 공장은 국내 최대의 전압형 HVDC 변압기 전용 공장이다. 효성중공업은 2024년 국내 최초로 200메가와트(MW)급 전압형 HVDC 기술 개발에 성공한 바 있다.HVDC는 초고압 교류송전(HVAC) 대비 먼 거리까지 전력손실을 최소화하며 송전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특히 효성이 보유한 전압형 HVDC 기술은 재생에너지 발전과 연계가 가능해 최근 더욱 각광을 받고 있다.현재 HVDC 기술은 소수의 해외 전력기기 업체만 보유해 해당 업체들이 세계 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도 그동안 관련 기술을 외국에 의존해왔으나 효성중공업이 2017년부터 HVDC 개발을 시작해 총 1000억 원을 투자해 2024년 ‘독자 기술’로 국산화에 성공했다.효성중공업은 앞으로 2기가와트(GW)(2000MW)급 대용량 전
-
2025-02-06▲ 하이트진로, 해외 첫 생산기지 베트남 공장 착공식[출처=하이트진로]하이트진로(대표 김인규)에 따르면 베트남 타이빈성에 위치한 그린아이파크(GREEN i-PARK) 산업단지에서 해외 생산 공장 건립을 위한 대망의 첫 삽을 떴다.베트남 공장은 세계 시장의 생산·유통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진로(JINRO)의 대중화’를 위한 전초기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2월5일 개최된 착공식에는 김인규 대표이사, 해외사업본부 황정호 전무, 정성훈 진로소주 베트남 법인장 등 하이트진로 관계자를 비롯해 응우옌 칵 탄(Nguyen Khac Than) 타이빈성 서기장, 응우옌 마잉 흥(Nguyen Manh Hung) 타이빈성 성장 등 베트남 주요 인사 및 현지 언론사 등 약 160여 명의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해, 공장 건립에 쏠린 현지의 관심을 증명했다.하이트진로 김인규 대표이사와 응우옌 칵 탄(Nguyen Khac Than) 타이빈성 서기장은 착공식 인사말을 통해 성공적인 공장 건립에 대한 양측의 적극적인 의지와 자신감을 내비쳤다. 또한 착공식을 기념해 사자춤, 착공식 세레머니 등 공식 행사가 축제 분위기 속에 치러졌다.하이트진로 베트남 공장은 축구장의 11배 크기인 약 2만5000여 평(8만2083제곱미터(㎡))의 부지 면적에 첨단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팩토리로 2026년 내 완공될 예정이다. 연간 최대 약 500만 상자까지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하이트진로 측은 내다보고 있다.2024년 하이트진로는 창립 100주년을 맞아 베트남에서 ‘글로벌 비전 2030’을 선포하며 ‘진로(JINRO)의 대중화’를 통해 전 세계 주류 시장에서 독보적인 브랜드 경쟁력을 구축해 ‘진로(JINRO)’가 증류주 카테고리를 넘어 대중이 즐기는 술이 될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하이트진로 김인규 대표는 “해외 소주 수출의 출발점이었던 베트남에서 해외 첫 생산 공장 건립의 첫 삽을 뜨
-
중국 가전대기업 메이더그룹(美的集団)에 따르면 2017년 7~9월 3분기 순이익은 41억8685만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4% 증가했다. 주력 업종인 에어컨 산업의 강세, 인수한 독일 로봇 대기업 쿠카의 수익확대 영향 때문이다.또한 동기간 매출액은 624억9880만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0.9% 급증했다. 매출액 증대 역시 인수한 쿠카의 매출 확대 및 도시바의 백색가전부문 매출액이 늘어났기 때문이다.메이더그룹은 중국 내 15개 생산기지, 베트남, 벨라루스, 이집트, 브라질, 아르헨티나 등 해외 생산기지를 두고 있다. 전세계 200국 및 지역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China_Midea Group_Logo▲메이더그룹(美的集団) 로고
-
중국 베이징자동차에 따르면 독일 다임러그룹과 합작설립한 베이징벤츠(北京奔驰)는 순수전기자동차 생산기지를 건설하기 위해 약 50억위안을 합작 투자하기로 합의했다.순수전기자동차 생산 이외에 배터리공장을 설립할 예정이며 향후 메르세데스 벤츠가 생산한 순수전기차를 출시한다. 양사는 향후 중국의 전기자동차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China_Beijing Benz Automotive Co., Ltd._Homepage 2▲베이징벤츠(北京奔驰) 홈페이지
-
아일랜드 제네릭의약품회사 악타비스는 인도네시아 공장의 가동률을 85%까지 끌어 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노후된 싱가포르의 생산기지 폐쇄에 따른 조치이며 생산량의 60%는 인도네시아 국내, 나머지 40%는 해외로 수출된다.
-
일본 히타치제작소는 인도에 진출한 자회사 히타치오므론터미널솔루션즈를 통해 인도 남부 카르나타카주 방갈로르 지역에 ATM 생산기지 Hitachi Terminal Solutions India Pvt. Ltd. 사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히타치터미널솔루션즈인디아는 2016년 6월 ATM 생산을 시작으로 2016년 말에 월간 1500대 생산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인도를 생산거점화하고 공급능력 확대 및 원가경쟁력 강화, 수주 및 출하 일관처리해 리드타임을 단축해 가기로 했으며 ATM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히타치오므론터미널솔루션즈는 2010년 지폐환류식(Cash Recycling) ATM기 판매를 시작으로 인도에 진출했으며, 현재 인도 국영, 민간금융기관에 약 5000대 이상의 ATM기를 가동하고 있다. 또한 2014년 인도 국영금육기관에 ATM지폐 재활용사업을 운용하고 있다.* Cash Recycling ATM기▲ Cash Recycling ATM - 1▲ Cash Recycling ATM - 2 ▲ ATM HT-2845-SR ▲ ATM SR7500 &n
-
일본 히다찌제작소는 인도에 진출한 자회사 히다찌오므론터미널솔루션즈를 통해 인도 남부 카르나타카주 방갈로르 지역에 ATM 생산기지 Hitachi Terminal Solutions India Pvt. Ltd. 사를 설립하기로 했다. 또한 2016년 6월 ATM 생산 시작해 연말에 월간 1500대 생산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
[일본] 국제석유개발제석(INPEX), 2016년 4월 인도네시아 정부로부터 액화천연가스(LNG) 생산기지를 해상에서 육상으로 변경하라는 통지 수령...동부연안에 위치한 ‘마세라광구’프로젝트로 65% 지분보유해 운영할 예정이었으나 투자자금확대될 경우 사업중지할 것으로 예상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