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산업기술종합연구소"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18-10-26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AIST)에 따르면 건설 작업을 포함해 인간과 동일하게 힘든 일을 수행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형 건설로봇을 개발했다.산업기술 종합 연구소의 최신 제작품인 HRP-5P 프로토 타입 로봇은 건설 현장에서 투입할 수 있다. HRP-5P 로봇은 2018년 10월 17일부터 21일까지 도쿄의 '세계로봇엑스포 2018'에서 전시됐다.HRP-5P 로봇의 키는 182cm(72 인치)이고 무게는 101kg(223lbs)로 알려졌다. 로봇의 부품은 인간의 해당 부분보다 더 높은 자유도를 갖고 있다.복잡한 헤드 센서는 로봇이 주변 환경에 대한 3D 사진을 제공하고 2차원 이미지의 10가지 다른 종류의 대상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연구팀은 고르지 않은 지면을 걷는데 문제가 없는 인간을 따라 HRP-5P 로봇을 모델링했다.HRP-5P 로봇은 무거운 석고 보드를 집어 들고 건식벽체를 필요로 하는 지역으로 옮길 수 있다. 필요한 도구를 사용하면서 한 손으로 보드를 벽에 붙들어야 하는 비교적 복잡한 동작도 실행할 수 있다.이러한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서 HRP-5P 로봇은 맵 생성과 주변 환경의 객체 감지로 시작하는 일련의 작은 작업을 필요로 한다.HRP-5P 로봇은 일본의 출산율 감소에 따른 노동력 감소와 위험하거나 어려운 작업을 수행하는 인간 노동자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Japan-AIST-robot-homepage▲HRP-5P 로봇(출처 :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홈페이지)
-
2017-06-02일본 건설업체 미사와홈(ミサワホーム)에 따르면 2017년 5월 산업기술종합연구소와 주택의 사물인터넷(IoT)을 국제표준화하는 제안작업에 착수하기로 결정했다.국제전기표준회의(IEC)의 표준규격으로써 발행을 목표로 9월 기능안전규격인 신규업무항목을 관련기관을 통해 제안할 예정이다.설비기기 간의 연계가 부족해 발생하는 사고, 시스템다운 등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를 수립하는 것으로 모든 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되는 ‘IoT주택’ 시장의 창출을 목표로 한다.▲미사와홈 홈페이지
-
2017-03-07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産業技術総合研究所)에 따르면 2017년 3월 NEC와 연계해 우주의 방사선에 의한 오작동을 기존의 100분의 1 이하로 저감한 반도체를 개발했다.에너지절약과 낮은 오작동 확률을 양립한 것이 특징이다. 지상에서 가속기를 사용해 방사선을 조사하는 실험에서 성능을 확인했다.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2018년에 발사할 '혁신적 위성기술 실증 1호기'에 싣고 우주 공간에서 검증할 계획이다.우주 공간은 방사선량이 지상의 수만배이기 때문에 방사선이 반도체에 닿으면 오작동이 생기기 쉬워 인공위성 등 고장의 원인이 된다.우주에서 사용하는 반도체는 전용설계하거나 회로를 다중화하는 것으로 오작동을 피해왔지만 회로가 커졌기 때문에 전력 절약과 양립하기 어려웠다.NEC 등은 프로그램을 통해 회로를 자유자재로 수정할 수 있는 반도체 'FPGA' 기술을 개량했다. FPGA는 배선을 전기적으로 제어해 회로를 변경한다.개발한 반도체는 전압을 가한 장소만 회로가 물리적으로 연결돼 전자가 흐르는 구조이다. 전자가 흐르는 범위를 한정해 방사선의 영향에 의한 불필요한 전자의 움직임을 억제하고 오작동을 낮추는 것이다.JAXA와 실시한 실험에서는 오작동의 발생 빈도가 기존 FPGA의 100분의 1이하로 감소됐다. 전력 효율은 10배 높아졌다. 2019년 통신기기로 실용화하고 인공위성에 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목표를 정했다.
-
일본 산업기술종합연구소(産業技術総合研究所)는 2016년 어느 방향에서도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특수렌즈구조를 사용한 독자적인 표시기술을 활용해 공공장소, 대형시설 등에 광고 선전효과를 향상시킬 전망이다.
-
[일본] 전기업체 NEC, 2016년 6월 산업기술종합연구소와 공동으로 ‘인공지능 제휴연구소’ 설립 예정...고급인공지능기술과 시뮬레이션기술 융합 목표
-
2016-03-23산업기술종합연구소, 2016년 나고야대학에 연구기지 설립 발표...정부기관의 지방이전 계획의 일환으로 연구원은 에너지 효율성 높은 차세대 반도체 등을 개발 방침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