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 비영리"으로 검색하여,
3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카카오게임즈, ‘크루아이템 기부 캠페인’ 실시[출처=카카오게임즈]㈜카카오게임즈(대표 한상우)에 따르면 자사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크루 아이템 기부 캠페인'을 실시하고 ESG 경영 실천 및 사내 친환경 문화 확산을 도모했다.2022년부터 3회째 시행 중인 ‘크루아이템 기부 캠페인’은 카카오게임즈의 임직원 참여형 친환경 캠페인 ‘다가치 그린데이’의 일환으로 자원 선순환을 도모하고 소외계층 이웃을 돕기 위해 기획됐다.2025년 캠페인은 2024년 12월30일부터 2025년 1월15일까지 카카오게임즈 사내 카페 라운지에서 열렸다. 임직원들은 사내에 설치된 기부함에 활용 가능한 의류, 도서, 장난감 등 다양한 물품들을 기부했다.모인 기부 물품은 비영리 공익 재단 ‘아름다운가게’를 통해 판매될 예정이며 판매 수익금은 국내외 소외계층 이웃을 돕는 다양한 활동에 사용된다.한편, 카카오게임즈는 △’카카오프렌즈’ 캐릭터와 함께 즐기는 ‘찾아가는 프렌즈게임 랜드’ △장애인 게임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보조기기 지원 사업 △이용자 및 임직원 동참 기반 기부 캠페인 등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꾸준히 전개하고 있다.이러한 노력을 인정 받아, 한국ESG기준원(KGCS) 주관 ‘2024년 ESG 평가’에서 통합 A등급을 획득해 2년간 업계 최고 등급을 기록하며 ESG 경영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카카오게임즈 관계자는 "지금까지 임직원들의 자발적 참여로 세 번의 캠페인을 통해 약 800점의 물품이 기부됐으며 약 150kgCO2eq의 탄소 저감 효과를 가져왔다. 앞으로도 기부 캠페인을 포함한 다양한 행사를 통해 나눔의 가치와 사내 친환경 문화를 지속 확산할 계획이다"고 포부를 드러냈다.
-
2024-09-10▲ 사회적가치연구원 세션 초청장[출처=SK]SK그룹이 설립한 비영리연구재단 사회적가치연구원(이사장 최태원)에 따르면 2024년 9월12일 사회성과인센티브 프로젝트 사무국 주관으로 코엑스에서 ‘대한민국 사회적 가치 페스타’가 개최된다.‘대한민국 사회적 가치 페스타’에서는 사회적 가치의 측정과 보상을 제도화할 수 있을지 논의의 장이 마련된다. ◇ 전체 행사 정보· 행사명 : 제1회 대한민국 사회적 가치 페스타· 일시/장소 : 9월12일(목) 10:00~18:00, 코엑스· 주최 : 대한상공회의소· 공동주관 : 대통령직속 국민통합위원회, SOVAC, 현대해상, 코오롱인더스트리 FnC부문, 코엑스, 한국경영학회· 후원 : 행정안전부◇ 세션 정보· 세션명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 - 사회적 가치 측정과 보상· 주관 : 사회적가치연구원(SK 설립 비영리재단)· 일시/장소 : 9월 12일(목) 17:00~17:50, 코엑스 B홀 아셈볼룸 209호· 주요 내용 : 사회적 가치 측정-보상 조례 제정 의의 및 향후 법제도적, 행정적 이슈 논의· 연사 : 김효선 변호사(법무법인 더함), 문재원 과장(제주도청), 최영준 교수(연세대학교 행정학과)본 행사에는 사회성과인센티브 프로젝트에 참여해 사회문제 해결 성과와 기업의 가치가 입증된 우수 사회적 기업들이 전시, 마켓, 부스 등으로 참여한다. 우수 사회적 기업들은 다음과 같다.- 동천, 브라더스키퍼, 상상우리, 소소한 소통, 쉐코, 스탬피플 사회적협동조합, 스프링샤인, 씨튼장애인직업재활센터, 아립앤위립, 양양청년협동조합, 에코맘의 산골이유식, 이퀄테이블, 점프, 제리백, 테스트웍스, 플라워럼프, 화이통협동조합, 히즈빈스 (가나다순, 우수 기업 인터뷰 문의: 사회적가치연구원)사회적가치연구원 나석권 대표이사는 “사
-
▲ 박준성 LG 부사장(왼쪽)이 김학기 한국백혈병어린이재단 이사로부터 감사패를 전달받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출처=한국백혈병어린이재단]소아암 전문 비영리단체 한국백혈병어린이재단(이사장 오연천)은 2024년 8월5일 소아암 어린이 가족을 위한 나음소아암쉼터를 오픈했다고 밝혔다.나음소아암쉼터는 LG그룹 지주회사인 (주)LG로부터 15억 원에 달하는 기부금을 받아 설립했다. 한국백혈병어린이재단은 (주)LG이 기부금으로 ‘서울교대 쉼터’ 3실, ‘서울대학로 쉼터’ 3실 등 6실의 소아암쉼터가 추가할 계획이다.따라서서 나음소아암쉼터는 기존 11실에서 6개가 추가돼 총 17개 실로 늘어난다. 나음소아암쉼터는 치료를 위해 먼 거리를 다니는 지방 거주 소아암 환자 가족에게 편안하고 깨끗한 숙박 공간을 제공한다.LG의 이번 후원금은 2024년 5월 대한상공회의소 ERT(신기업가정신협의회)의 ‘제4차 다함께 나눔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조성됐다.한국백혈병어린이재단은 1991년부터 국내 소아암 환자와 가족들을 지원하는 소아암 전문 지원기관으로 치료비를 비롯해 다양한 심리·사회적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소아암 환아가 LG의 후원으로 개소한 나음소아암쉼터를 이용하고 있다[출처=한국백혈병어린이재단]서선원 한국백혈병어린이재단 사무총장은 “자녀의 치료만을 위해 낯선 곳으로 이동하는 환아 가족들에게 조금이나마 편히 쉬어갈 쉼터를 지원해준 LG 덕분에 더 많은 소아암 어린이 가족이 치료에만 집중할 수 있게 돼 감사하다”고 밝혔다.나음소아암쉼터 개소식에 참석한 박준성 LG 부사장은 “소아암으로 고통 받는 아이들에 대한 안타까움과 함께 그 아이들이 치료를 위해 장시간 이동하는 데서 따르는 큰 어려움에도 공감하게 돼 나음소아암쉼터 개소 기부금을 지원하게 됐다”고 말했다.
-
▲ 유럽 주요국 프랑스‧러시아‧그리스‧아일랜드의 국기 [출처=CIA] [프랑스] 佛 최대 부동산 중개사이트 Meilleurs Agents, 7월1일 기준 1월 이후 아파트 가격이 평균 0.5% 상승... 상반기 동안 주요 50개 대도시 중에서 서부 라로셜의 아파트 가격이 9.7% 하락했으며 르망 5.4% 및 그르노블 5.5% 각각 침체되며 부동산 시장이 하락세에 접어들었다는 평가[프랑스] 佛 국영 전력회사 EDF, 340메가와트(MW)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 프로젝트인 '뉘와르(Nuward)' 중단할 계획... 기술적으로 너무 복잡하고 치명적인 기술 약점으로 좀 더 간단한 모델을 선정할 방침[러시아] 소비자보고서, 가장 믿을 만한 중고차 36개 모델 중 16개가 도요타와 렉서스 모델로 일본 자동차가 상위권 독점... 혼다와 아큐라가 8개 모델이며 3대의 마츠다, 현대와 기아가 3개 모델 및 1개 스바루 모델로 조사[러시아] 최대 가전 유통업체인 엠비디오-엘도라도(M.Video-Eldorado), 1분기 게임기 매출액 160억 루블로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 동기간 게임 소프트웨어의 판매량은 16만개로 전년 동기 대비 12% 확대[러시아] 농업컨설팅업체인 소브에콘(SovEcon), 6월 기준 2024년 밀 수확량 8070만 톤(t)으로 전월 에측치인 8570만t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 2024년 전체 곡물 수확량은 1억4490만t에서 1억2740만t으로 줄어들어 글로벌 식량 위기 심화 예상[아일랜드] 중앙통계청(Central Statistics Office), 6월 말 기준 12개월 동안 인플레이션 1.5% 및 전월 대비 0.35 각각 상승... 5월 식품 가격이 0.1% 하락했지만 12개월 동안 2% 상승하며 인플레이션에 기여[아일랜드] 스웨덴 가구기업 이케아(IKEA), 2023년 세전이익 €2349만 유로로 전년 대비 82% 급증해 주주배당액을 300만 유로에서 600만 유로로 2배 증가... 매출액은 2억5242만 유로로 전
-
2022-08-19코스타리카 기술표준원(Instituto de Normas Técnicas de Costa Rica, INTECO)은 1987년 설립된 비영리 민간 단체로 코스타리카 경제의 공공 및 민간 부문을 대표하고 있다.INTECO는 국내에서 제조 및 생산, 판매하기 위해 제공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촉진하기 위해 표준 관련 활동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다.INTECO는 정부로부터 국가표준기구로 인증받았다. 1995년부터 스페인 표준화 및 인증 협회(Asociación Española de Normalización y Certificación, AENOR)와 협정을 통해 품질 시스템 등록 활동을 시작했다.AENOR는 모든 스페인 산업 및 서비스 부문 표준화와 인증을 담당한다. 또한 INTECO는 1999년 AENOR와 협정을 통해 환경 경영 시스템 등록을 도입했으며 고객들에게 제품 인증 서비스 업무도 수행하고 있다.INTECO는 인간의 삶의 질과 제품, 서비스뿐 아니라 생산성 및 지속가능 성장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데 앞장서고 있다.적합성 평가 절차와 연계된 인증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표준화 활동의 가장 큰 구현과 활용을 달성하기 위해 공공부문 기관과 협력한다.▲ 코스타리카 기술표준원(Instituto de Normas Tecnicas de Costa Rica, INTECO) 홈페이지
-
칠레 국립표준화연구소(Instituto Nacional de Normalización, INN)는 1973년 생산진흥청(Corporación de Fomento de la Producción, CORFO)에 의해 설립된 비영리 민간 재단이다.1944년 설립된 국립 기술조사 및 표준화연구소(Instituto Nacional de Investigaciones Tecnológicas Y Normalización, INDITECNOR)를 법적으로 계승했다.INN은 국가 차원의 기술 표준 개발, 국가 인증 시스템의 관리, 국가 도량형 네트워크의 조정을 다루는 품질 분야의 3가지 주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또한 표준의 판매, 교육 활동, 기술 출판물을 통한 위 3가지 활동을 홍보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칠레 국가 기구로서 국제 표준화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INN은 국가 기술 표준의 개발 및 표준화, 도량형 등 국가 측정의 추적 가능성 보장, 인증 및 테스트, 검사 등 적합성 평가 활동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시스템 인증 기관, 제품 인증 기관, 사람들을 위한 인증 기관, 시험소, 교정 실험실, 임상 실험실, 검사 기관, 검증 기관, 능력 시험 제공자 등을 인증하는 인증 체계를 구축했다.▲ 국립표준화연구소(Instituto Nacional de Normalizacion, INN) 홈페이지
-
브라질 기술표준협회(Associação Brasileira de Normas Técnicas, ABNT)는 1940년 국가표준을 작성하는 비영리기관으로 설립됐다.ABNT는 1962년 연방법 4150호에 따라 공공사업기구의 지위를 획득했다. 이후 1973년 또 다른 연방법 8966호에 따라 산업통산부(Ministry of Industry and Commerce, MIC)의 후원으로 계량, 표준화, 산업품질 국가 시스템을 만들었다.1992년 정부 결의안에 따라 ABNT는 브라질 표준화 과정의 관리책임을 담당하는 유일한 국가 표준화 포럼으로 인정을 받았다.ABNT는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의 창립 회원이다. 1940년 이후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회원으로 가입했다.범미 표준 위원회(Pan-American Standards Commission, COPANT) 설립에 기여했다. 행정 사무국을 책임지고 있는 남미공동시장 표준화협회(MERCOSUL Association for Standardization, AMN)의 결산에 참여했다.또한 글로벌 에코 라벨링 네트워크(Global Ecolabelling Network, GEN)의 회원이기도 하며 1950년 이후 제품 인증 활동을 수행해 왔다.브라질 기업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자발적 또는 강제적 제품 인증 체계에 적용되는 표준의 적합성 기준을 제정 및 관리한다.ABNT는 품질 시스템, 환경 관리 시스템, 여러 제품 등을 인증하기 위한 공인 등록기관이다. 참고로 ABNT의 본부는 세계 3대 미항 중 하나인 리오데자네이루에 있다. ▲ 브라질 기술표준협회(Associacao Brasileira de Normas Tecnicas, ABNT) 홈페이지
-
볼리비아 표준품질원(Instituto Boliviano de Normalización y Calidad, IBNORCA)는 1993년 4월 29일 제정된 대법원령 제23489호에 따라 1993년 5월 5일 설립된 민간 비영리 협회이다.IBNORCA는 볼리비아의 효과적인 품질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됐다. 1997년 2월 국가 품질 시스템 표준화, 계량, 인정, 인증 시스템(Standardization, Metrology, Accreditation, Certification System, SNMAC)을 설립했다.IBNORCA는 국제표준화기구(ISO)의 볼리비아 유일 대표이자 정회원으로 메루코수르표준화협회(Asociación Mercosur de Normalización, AMN) 회원이다.또한 범미 기술표준위원회(Comisión Panamericana de Normas Técnicas, COPANT),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회원이기도 하다.모든 이해 관계자들의 개방적인 참여와 협력을 통해 볼리비아의 기여도를 높이고 볼리비아의 기술 표준 및 COPANT 표준의 개발을 촉진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제품과 서비스, 시스템의 인증, 서로 다른 경쟁적 가치 부여, 무역, 국제 협력의 촉진 등에 기여한다. 품질 기준에 따른 고객 만족, 적극적인 참여 유도, 경쟁력 있는 개발 보장 등이 포함된다.주요 임무로 표준화 활동, 적합성 평가, 인적 자본 교육을 통한 조직의 경쟁력, 생산성, 관리 향상 등을 통해 사회의 복지를 추구한다.국제적 명성뿐 아니라 지속 가능성, 사회적 책임 있는 품질 문화 촉진, 보급, 기여를 통해 기술 표준화 기반 지식 관리 및 우수한 기술 개발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IBNORCA의 정책은 기술 표준화, 인증, 검사, 각 종 서비스에 대한 고객과 이해관계자의 요구와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약속의 설정 및 불만
-
바베이도스 국가표준원(Barbados National Standards Institution, BNSI)은 1973년 회사법에 따라 설립된 비영리 자선단체이다.바베이도스 정부와 민간 부분간 공동 사업으로 민간 법률로 통합되고 정부에 의해 인정을 받았다. 26년간 ISO 준회원으로 활동했으며 1999년 정회원 자격을 획득했다.BNSI의 주요 기능을 경제의 모든 부문에서 표준의 준비, 촉진, 이행 등이다. 산업과 상업 분야 품질 시스템, 품질 관리, 단순화 촉진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또한 제품과 상품, 프로세스의 인증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BNSI의 작업에 대한 법적 효력은 2006년 제정된 표준법, 1977년 제정된 도량형법, 1985년 제정된 규정 등에 근거하고 있다.BNSI는 국제법계량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Legal Metrology, OIML), 범미표준위원회(Pan-American Standards Commission, COPANT), 미주계량시스템(Interamerican Metrology System, SIM) 회원이다.BNSI는 바베이도스의 표준 문의처뿐 아니라 국제식품규격(Codex Alimentarius) 문제에 대한 국가 공식 담당처이다.카리브해 공동체인 카리콤 지역 표준품질기구(Caricom Reg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s and Quality, CROSQ)과 IEC 제휴국 프로그램 회원이다.▲ 카리콤지역 표준품질기구(Caricom Reg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s and Quality, CROSQ) 홈페이지
-
2022-07-04오스트리아 표준원(Austrian Standards International, ASI)는 1920년 설립된 비영리 및 비정부기구로 표준 및 규격 작성을 위한 공정한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ASI는 오스트리아 전문가들이 국제표준 ISO와 유럽 표준 CEN(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분야에 참여할 수 있는 관문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기업, 정부 당국, 과학계, 검사 기관, 비정부 기구 등에 소속된 약 4450 명의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다. 약 350개의 워킹그룹(Working Groups)으로 구성된 약 180개의 국가 기술 위원회(national Technical Committees)가 운영된다. 전문가의 90%가 ISO와 CEN/TCs 작업에 기여하고 있다.ASI는 2만3000개 이상의 모든 유럽 표준(영어 및 독일어), 모든 국제 표준, 전 세계 규범 문서 등을 포함해 오스트리아 표준(ÖNORM)에 직접 접근할 수 있다.또한 전문적으로 표준을 관리하는 도구를 제공하고 기술 문서뿐 아니라 제품과 서비스, 개인의 인증, 세미나, 강의 등도 서비스하고 있다.ASI는 공동 창작 및 개방형 혁신과 같은 표준 개발, 사물인터넷(IoT), 4차산업(Industry 4.0), 블록체인(blockchains)과 같은 미래 주제, 새로운 협력, 파트너십 등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에 개방적이다.ASI는 표준화 및 혁신 분야에서 160개국 이상의 파트너 조직과 연계되어 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대화의 장려 및 협력 프로세스의 시작과 관리 등을 추진하고 있다.전 세계로부터 표준, 문서, 정보, 혁신적인 도구, 교육 및 인증 모델에 이르기까지 노하우를 오스트리아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오스트리아 표준원(Austrian Standards International, ASI) 홈페이지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