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블록체인 관리자"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0-03-24미국 국토안보부(DHS)에 따르면 블록체인 관리자를 국가의 중요 핵심 인프라 근로자로 지정하는 메모랜덤(memorandum)을 발표했다.의료, 제약, 식품 공급(food supply)을 포함해 블록체인 관리자를 핵심 인프라 산업으로 지정했다. DHS의 CISA(Cybersecurity and Infrastructure Security Agency)는 코로나바이러스 제재강화에 따라 정상적인 작업 스케줄 유지를 위해 핵심 인프라 산업 근로자들의 특별한 책임을 강조했다.CISA가 블록체인 관리자를 포함시킨 것은 분산원장기술(DLT)이 코로나바이러스 구호 활동에 중요하게 이용될 것이란 점을 의미한다.이미 중국에서는 20개 이상의 블록체인 기술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베포가 돼 중국 정부의 COVID-19 확산 방지 노력에 공헌했다. 어플리케이션 중에는 건강 기록, 의료 용품, 의료 데이터를 추적 및 관리하는 것도 포함돼 있다.▲ DHS▲ 국토안보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DHS) 홈페이지
-
2018-10-17중국 글로벌 전자상거래업체인 알리바바(阿里巴巴)에 따르면 '행정 개입'이 가능한 블록체인(blockchain) 시스템에 대한 특허를 출원한 것으로 드러났다.제3자인 행정처리자가 계약을 중단시키거나 불법 활동계좌를 동결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시스템이다. 비록 블록체인 기술이 개방성, 비변경성, 분산 등의 장점을 갖고 있지만 실제 거래 세계에서는 통용되기 어려운 부문도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불법거래에 연루됐다면 법원은 사용자의 계좌를 동결하도록 명령한다. 하지만 기존의 블록체인은 이 명령을 수행할 수 없다.하지만 알리바바가 제안한 특허를 활용할 경우에 블록체인 운용자는 정부에 불법에 연루된 계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법적이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셈이다.▲알리바바(阿里巴巴)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