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0
" 노선"으로 검색하여,
9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7-31▲ 오스트레일리아(호주) 브리즈번 정류장의 일별 승객수 시각화(TRIPS 인터네셔널 주요 화면) [출처=한국철도기술연구원]한국철도기술연구원(원장 사공명, 이하 철도연)에 따르면 개발한 교통카드데이터 기반 대중교통분석시스템(이하 TRIPS)이 해외 실증사업에 착수했다.이는 국내에서 운영 중인 빅데이터 기반 대중교통 운영 기술의 해외 진출이 시범적으로 추진되는 첫 사례다. TRIPS은 'Travel Record based Integrated Public transport operation System'의 약어다.철도연이 개발한 TRIPS는 교통분야 빅데이터인 ‘교통카드데이터’를 활용해 대중교통 노선개편, 환승정책, 운영계획 수립 등 정부와 지자체의 대중교통 현안을 과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다.5년의 연구(’12년~’16년)를 통해 개발한 TRIPS 1.0은 청주시, 세종시, 원주시에 도입됐다. 이후 TRIPS 2.0은 교통카드데이터 표준 모듈 개발을 통해 전국 교통카드데이터에 대응 가능하도록 2019년에 업그레이드해 울산광역시, 대전광역시에 도입했다.철도연은 2026년까지 TRIPS 3.0 완성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차량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해 세계 최초로 차량별 스케줄 변화까지 반영하고 1분 단위로 수요를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호주) 브리즈번 철도 네트워크 입력(TRIPS 인터네셔널 주요 화면) [출처=한국철도기술연구원]철도연은 국내 상용화 성공을 통해 기술력이 입증된 TRIPS의 해외 시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오스트레일리아(호주) 퀸즐랜드대(김지원 교수) 및 싱가포르 국립대(Prateek Bansal 교수) 연구팀에 TRIPS 국제화 버전인 ‘TRIPS 인터네셔널’을 제공했다. ‘TRIPS 인터네셔널’은 호주판과 싱가포르판으로 각각 제작되었으며 이를 활용한 현지 실증시험을 의뢰했다.TRIPS 인터네셔널은 이번 해
-
2025-07-14▲ 대한항공 본사 전경 [출처=대한항공 인스타그램]대한항공(회장 조원태 사장 우기홍)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잠정 매출액이 3조9859억 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이중 여객 사업 매출은 2조39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퍼센트(%) 감소했다. 화물 사업 매출은 1조55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줄어들었다.2025년 2분기 매출은 글로벌 무역 갈등 심화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 지속되는 가운데 효율적인 공급 운용으로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을 달성했다.2분기 영업이익은 유가 하락세에 따른 연료비 감소에도 인건비, 감가상각비 등 영업비용 증가로 인해 전년비 3.5% 감소했다.2분기 여객 사업 매출은 계절적 비수기 영향에 따른 노선별 수요 감소에 선제 대응 및 5월 초 연휴 수요 집중으로 수익성 지표는 전년과 유사하다.2분기 화물 사업 매출은 미국의 상호 관세 발표 및 유예 조치에 따라 수요 변동성 확대됐다. 수익 포트폴리오 다변화 및 반도체, 배터리, 태양광 셀 등 프로젝트성 수요와 계절성 신선 화물 유치를 통해 시장 변화에 대응했다.3분기 여객 사업은 하계 성수기 진입에 따른 수요 증가 및 주요 관광 노선 중심 실적 호조 전망이다. 수요 집중 노선 공급 확대 등 탄력적 공급 운영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할 계획이다.화물 사업은 미국의 관세정책 불확실성 지속 예상되는 가운데 당면한 시장 상황 대응력 강화, 관세 협상 결과에 맞춘 유연한 노선 운영으로 안정적 수익 유지 계획이다.
-
▲ 2025년 7월 아랍에미리트 국영 재생에너지 기업인 마스다르(Masdar)와 스페인 다국적 전기 기업인 이베르드롤라(Iberdrola)는 영국 풍력 발전소에 US$ 61억 달러(52억 유로) 규모의 공동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출처=마스다르 엑스(X) 계정]2025년 7월10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튀르키예의 기업 경영과 서비스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국영 재생에너지 기업인 마스다르(Masdar)에 따르면 2025년 7월 스페인 다국적 전기 기업인 이베르드롤라(Iberdrola)와 함께 영국 풍력 발전소에 US$ 61억 달러(52억 유로) 규모의 공동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튀르키예 저가 항공사인 페가수스항공(Pegasus Airlines)에 따르면 2025년 7월8일부터 이스탄불(Istanbul)-영국 브리스톨(Bristol) 직항 노선의 운항을 시작한다. ◇ UAE 마스다르, 2025년 7월 스페인 다국적 전기 기업인 이베르드롤라와 영국 풍력 발전소 US$ 61억 달러(52억 유로) 규모 공동 투자 계약 체결아랍에미리트 국영 재생에너지 기업인 마스다르(Masdar)에 따르면 2025년 7월 스페인 다국적 전기 기업인 이베르드롤라(Iberdrola)와 함께 영국 풍력 발전소에 US$ 61억 달러(52억 유로) 규모의 공동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투자할 영국 이스트 앵글리아 쓰리(East Anglia THREE) 연안 풍력 발전소는 2026년 4분기 운영을 시작하면 대규모 연안 발전소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발전 규모는 1.4기가와트(GW)이다.양사는 각각 풍력 발전소 지분의 50%를 소유하며 공동 운영한다. 이베르드롤라는 영국 운영에 집중할 방침이며 2028년까지 재생에너지 송전과 배분 네트워크 부문에 240억 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마스다르와 이베르드롤라 양사는 영국, 독일, 미국 등 주요 시장의 재생에너지 배치를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150억 유로 규모로 높
-
▲ 인천항만공사 김상기 운영부사장과 대만국제크루즈협회 우쉰펑 회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2025년 7월10일(목)부터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12회 제주국제크루즈포럼」에 참석해 대만크루즈협회와 인천항-기륭항을 잇는 더블 홈 포트(Double Home Port, 이중모항) 노선 개설을 논의했다.더블 홈 포트는 하나의 크루즈 항로에서 두 개의 항만이 동시에 출발·도착 항으로 운영되는 형태로 승객은 두 항 중 하나에서 탑승하거나 하선이 가능하다.IPA는 대만국제크루즈협회 우쉰펑(WU Hsun-Feng) 회장, (사)한국국제크루즈연구원 임복순 원장 등 관계자들과 회의를 개최해 인천항이 모항으로서 가지는 강점을 홍보하고 인천-기륭을 오가는 항로 모델을 제안했다.인천항은 기항지로서도 매력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지만 특히 인천공항과 약 30분 거리에 위치한다는 지리적 강점을 지닌다.▲ 인천항만공사 김상기 운영부사장이 업무협의를 하고 있다 [출처=인천항만공사]해외 관광객이 크루즈를 타고 인천항에 입항한 후 인근 지역을 관광하고 공항을 통해 출국하거나 반대로 인천공항으로 입국한 관광객이 관광을 마친 후 인천항에서 크루즈를 타고 출항할 수 있어 '플라이 앤 크루즈(Fly & Cruise)' 모항 운영의 최적지라는 것이 공사의 설명이다.인천항에서는 이러한 '플라이 앤 크루즈' 모델을 기반으로 한 '더블 홈포트(Double Home Port , 2개 모항)' 활성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회의에서는 인천공항으로 입국, 관광 후 인천항에서 크루즈를 타고 대만 기륭으로 여행하거나 반대로 대만 공항으로 입국, 관광 후 기륭항에서 크루즈를 타고 인천항으로 크루즈를 타고 입항하는 항로 개설 방안이 구체적으로 논의됐다.인천항만공사 김상기 운영부사장은 "인천항은 과거에는 크루즈 기항 중심의 항만이었으나 현재는 ’25년 기항 32항차 중 절반인 16항차가 모항으로 운영될 정도로 세계 크루즈 선사들로부터
-
2025-07-02▲ 스페인 알헤시라스 터미널(TTIA)에 기항하는 2만4000 TEU급 컨테이너선 ‘HMM 알헤시라스호’ [출처=HMM]HMM(대표이사 사장 최원혁)에 따르면 현재 운영하고 있는 스페인 알헤시라스 컨테이너 터미널(TTIA)을 확장 개발한다.HMM은 TTIA를 통해 2025년 6월30일 스페인 알헤시라스 항만청에 TTIA 남측 부지 1단계 개발을 추진한다는 투자 의향서를 제출했다.투자 금액은 1억5000만 유로(한화 약 2400억 원)이며 HMM은 이 중 3500만 유로(약 560억 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나머지 금액은 2대 주주인 CMA CGM과 외부 차입을 통해 조달할 예정이다. 투자 금액은 의향서 제출을 위한 산출 금액으로 향후 변동 가능하다.TTIA는 총면적 30만평방미터(㎡)에 연간 처리량 160만 TEU의 현대식 반자동화 터미널로 이번 1단계 확장 개발을 통해 2028년까지 총면적 46만㎡에 연간 처리량 210만 TEU로 확대할 계획이다.향후 2단계 개발까지 완료되면 연간 280만 TEU를 처리할 수 있는데 원활한 개발을 위해 터미널 운영 기간을 기존 2043년에서 2065년까지 22년 연장한다.HMM은 2017년 TTIA 지분 100퍼센트(%)를 인수했으며 2020년 전략적 제휴를 위해 프랑스 선사 CMA CGM에 지분 50%-1주를 매각했다.HMM은 "알헤시라스 터미널은 남유럽의 주요 환적 허브이자 스페인의 수출입 관문으로 터미널 수익 창출은 물론 유럽 노선 경쟁력 강화에 큰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향후에도 해외 터미널을 적극적으로 투자, 개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
▲ 대한항공 여객 노선 취항 50주년 기념 행사(왼쪽부터 심현준 대한항공 프랑스지점장, 김병지 대한항공 여객영업부담당, 이일열 주프랑스한국문화원장, 최정호 대한항공 영업 총괄 부사장, 문승현 주프랑스한국대사, 장성식 대한항공 구주지역통합담당) [출처=대한항공]대한항공(회장 조원태 사장 우기홍)에 따르면 2025년 6월2일(월, 현지 시각) 오후 프랑스 파리 샤를 드 골 국제공항에서 프랑스 파리 여객 노선 개설 50주년 기념행사를 열었다.현지에서 출발하는 KE902편 승객을 대상으로 취항 50주년 행사를 진행하고 해당 항공편에 50번째로 탑승 수속한 승객에게 인천행 항공권 1매를 증정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했다.또한 승객 전원에게는 대한항공의 새 CI가 새겨진 기념품을 선물했다. 파리는 대한항공이 처음으로 취항한 유럽 도시이며 서울~파리 노선은 대한항공에서 가장 오래된 장거리 여객 노선 중 하나다.6월4일(현지 시각)에는 파리 한국문화원에서 공식 행사를 열었다. 최정호 영업 총괄 부사장, 심현준 프랑스지점장 등 대한항공 임직원과 문승현 주프랑스 한국대사, 이일열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장, 이진수 한국관광공사 파리지사장 등 내빈 100여 명이 참석해 뜻깊은 시간을 함께했다.◇ 에어버스 항공기 구매로 인연 맺어… 1975년 정기 여객 노선 시대 열어대한항공은 1970년 초 에어버스(AIRBUS)가 처음 생산한 여객기를 구매하며 프랑스와 인연을 맺었다. 당시 에어버스는 프랑스와 영국, 독일, 스페인이 투자에 참여한 유럽의 신생 항공기 제작사였다. 에어버스가 생산한 A300 항공기는 미국 항공기에 밀려 예상보다 판매가 저조한 상황이었다.검증되지 않은 새로운 기종을 도입하려면 인력과 장비 등 대규모 투자가 필요했지만 대한항공은 여러 차례 기술 검토를 거쳐 A300 항공기 구매 계약을 맺었다.유럽이 아닌 다른 지역의 국가에서 에어버스 항공기를 구매 계약한 사례는 대한항공이 처음이었다. 대한항공의 선제적인 구매 이후 다른 항공사들도 잇따라 에
-
2025-04-29▲ 인천-단동 항로 여객운송재개 행사(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인천항과 중국 단동을 오가는 한중 국제카페리의 여객 운송이 5년 2개월 만에 재개됐다.선사 단동국제항운(유)은 코로나19 여파로 2020년 1월부터 여객 운송을 중단했다. 하지만 2025년 4월28일 오전부터 인천항과 중국 단동 노선 여객 운송을 다시 시작했다.단동국제항운(유)이 매주 월요일·수요일·금요일 주 3회 노선에 투입하는 ‘동방명주8호(ORIENTAL PEARLⅧ)’는 2만5000톤(t)급 카페리 선박이다.이날 500여 명의 여객과 약 12TEU의 화물을 싣고 인천항에 입항했다. 동방명주8호는 2016년 건조된 선박으로 총톤수는 2만4748t, 여객 수송량은 1500명, 화물 수송량은 214TEU다.이날 인천항만공사 이경규 사장과 단동국제항운(유) 이용국 한국 대표는 여객 운송 재개 환영의 의미로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 2층 통합홀에서 첫 여객과 선장에게 꽃다발, 기념패를 증정했다.인천과 중국을 연결하는 한중 카페리는 총 10개 노선으로 여객 운송을 재개한 항로는 청도와 위해, 석도, 연태, 연운항, 대련 노선에 이어 단동까지 총 7개다. 아직 여객 운송을 재개하지 않은 잔여 항로 역시 각 카페리 선사에서 재개 여부를 검토 중이다.공사는 이번 단동 항로 여객 재개에 맞춰 △여객터미널과 부두를 오가는 순환 버스 외관 개선 △민간 전문가 합동 시설 안전점검 등 인천항 이미지 제고 및 여객 운송 안전성 확보를 위한 활동을 추진했다.인천항만공사 이경규 사장은 “단동 항로는 고구려 유적지 등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어 여객 수요가 높은 항로”라며, “여객 활성화 및 안정적인 여객수송을 위해 여객터미널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인천-단동 항로 여객운송재개 행사(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
-
▲ 내부고발과 윤리경영 표지 [출처=예나루]지난 몇 년 동안 국내 다수의 은행에서 부정대출, 고객예금 횡령, 서류 조작 등 직원의 부정행위가 발생했다. 신용이 생명인 금융기관의 부정행위는 기업을 파멸로 이끌고 가는 지름길이다.은행 뿐 아니라 기업의 부정행위는 헤아릴 수도 없을 정도로 많다. 다양한 유형의 부정행위가 적발되지 않은 기업을 찾는 것이 '모래사장에서 바늘을 찾기보다 어려울 수 있다.내부고발은 아무리 공익적이고 양심적이며 또 바른 일이라고 하더라도 사전에 면밀히 계획하고 준비하지 않으면 고발자는 자신의 뜻을 펼쳐 보지도 못한 채 오히려 ‘뭘 모르고 나섰다’거나 ‘정신이 좀 이상한 사람’이라는 대우를 받기 십상이다.따라서 내부고발자는 호루라기를 분 뒤 자신을 보호한다는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자신의 뜻을 그대로 펴 보이기 위해서도 아래와 같은 사항을 숙지해야 한다. ◇ 내부고발을 하기 전의 행동 요령... 조직 계통상에서 해결하지 못해 선택한 최후의 수단인지 판단내부고발은 조직의 정상적인 보고 절차나 계통을 통해서 해결되지 않은 내용이므로 내부통제시스템 2단계 이상으로 끌고 가는 당사자는 무엇인가 예상하지 못한 문제에 봉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자신이나 조직을 위해서 보다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성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5가지 행동요령을 하나씩 확인하며 진행하는 것이 현명하다.첫째, 내부고발이 조직의 부정행위를 해결할 유일한 방법인지 고민해야 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통제시스템의 1단계 과정을 충실하게 이행했는지 판단한다.조직계통상의 문제해결 노력에 대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지 않는 한 2단계로 옮겨가서는 안 된다. 부서의 책임자에게 공식 및 비공식 채널을 통해 충분하게 설명할 필요가 있다.둘째, 부정행위를 증명할 수 있는 충분한 자료를 확보했는지 판단해야 한다. 부정행위가 자신의 사소한 불평불만이어서는 안 된다는 것은 기본이고 해당 부정행위를 증명할 충분한 자료를 복사해
-
▲ 필리핀항공(PAL)은 베트남에서의 시장을 확장하고자 필리핀 세부에서 베트남 호치민까지 직항 노선을 운영할 방침이다.[출처=PAL 홈페이지]2025년 2월14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필리핀과 태국을 포함한다. 필리핀항공은 베트남에서의 시장을 확장하고자 필리핀 세부에서 베트남 호치민까지 직항 노선을 운영할 방침이다.일본 닛산 자동차는 태국에 위치한 2개 자동차공장 주 하나를 폐쇄하며 국내 일자리 약 1000개를 감축할 계획이다.◇ 필리핀항공(PAL), 2025년 5월2일부터 필리핀 세부-베트남 호치민 직항 노선 운영필리핀항공(PAL)에 따르면 2025년 5월2일 세부를 출발하여 베트남 호치민에 도착하는 직항 노선을 운영한다. 매주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 총 3번 운항돼 목요일, 토요일, 월요일에 복귀한다.노선에 활용될 에어버스 A321 제트 여객기는 승객 199명을 수용하며 비즈니스클래스와 이코노미클래스 서비스를 모두 제공한다. 마닐라-하노이-마닐라 노선 또한 매일 운항하며 베트남에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일본 닛산자동차, 운영비용 절감위해 태국 공장 가동 종료일본 닛산자동차는 태국 사뭇쁘라깐(Samut Prakan)에 위치한 2개 자동차공장 중 하나를 폐쇄할 계획을 밝혔다. 혼다와 US$ 600억 달러(2조200억 바트) 가치를 지닌 합병 협상이 불발된 이래 태국에서 일자리 약 1000개를 감축한다.회계연도 2026년 동안 운영비용 4000억 엔(878억 바트)을 절감했을 때 4%에 달하는 영업 이익률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2024년 12월31일 마감된 분기에 닛산의 운영이익은 311억 엔(68억4000만 바트)으로 전년 동기 1416억 엔(311억8000만 바트) 대비 77% 감소했다.
-
2025-02-12▲ HMM 상선[출처=HMM]HMM(대표이사 김경배)에 따르면 2024년도 매출은 11조7002억 원, 영업이익 3조5128억 원, 당기순이익 3조7807억 원 실적(잠정)을 공시했다.매출과 영업이익은 코로나 특수시기인 2022년, 2021년에 이은 역대 세 번째다. 영업이익률 30% 기록 등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이 입증됐다. 부채비율은 21% 수준으로 건실한 재무상태 지속됐다.2024년 홍해 사태 등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중구간 물동량 증가로 전 노선에서 운임이 상승했다.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2024년 평균 2506p로 2023년 평균 1005p 대비 149% 상승했다(※ 연간 최고점은 2024년 7월 5일 3734p).HMM은 2024년 1만3000TEU 신조 컨테이너선 12척 도입 및 미주항로를 투입했다. 멕시코 신규항로(FLX) 개설, 항로·지역별 수급 변화에 맞춘 최적의 운송 서비스망 구축 등을 통해 수익성 극대화 노력했다.2025년 미국 보호관세 정책으로 인한 무역 갈등과 공급망 재편 가속화 등으로 불확실성 상존한다. 컨테이너선 공급 과잉, 전 세계 교역 위축 등 수급 불균형이 예상된다.HMM은 9000TEU급 메탄올 추진 컨테이너선 9척을 비롯해 LNG 추진선 등 친환경 컨테이너선 도입 지속. 특히 대서양, 인도, 남미 등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 중심으로 신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2024년 발표한 2030 중장기 전략을 중심으로 선대 확장 및 포트폴리오 다각화, 친환경 규제 대응, 디지털라이제이션 등 경쟁력 강화 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