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나노기술"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3-03-31▲ 스리랑카 도시개발주택부(Ministry of Urban Development and Housing) 빌딩 [출처=홈페이지]스리랑카 도시개발주택부(Ministry of Urban Development and Housing)에 따르면 북부 지방에 50개의 나노기술 수처리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지역 주민의 신장병을 예방하고 식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이다. 안전한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이다.설치가 완료되면 매일 2000리터의 물을 정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나노기술을 적용해 소금이나 2단위 전하를 가진 불순물을 제거할 방침이다. 물에서 나오는 역한 맛과 냄새도 없앤다.2021년 프로젝트를 시작했으며 총 예산은 2억900만루피가 책정됐다. 현재 전체 프로젝트의 60% 이상이 완료됐으며 게획대로 진행 중이다.2020년부터 시작된 전 세계 코로나19 대유행과 정부의 재정난으로 나노수처리공장 건설이 지연됐다. 하지만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완료할 방침이다.
-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는 2022년 5월 ISO/TR 23463:2022 나노기술에 관한 표준을 발표했다.ISO/TR 23463:2022 표준은 흡입독성시험에 사용될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와 탄소 나노섬유(carbon nanofibre, CNF) 에어로졸의 특성에 관한 것이다.표준은 흡입 노출 연구를 위한 CNT, CNF 에어로졸의 특성을 검토하는 것아다. 흡입 연구를 위한 재료 특성화 프레임워크를 구성하고 있다.여기에는 생산(순수) 또는 공급된 재료의 특성화, 관리 물질의 특성화, 투여 후 재료의 특성화, 인체 노출 특성화 등이 포함된다.표준은 물리화학적 특성과 농도측정을 포함해 처음 두가지 특성화 요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물리화학적 특성에는 크기, 크기 분포, 응집/결집, 형태 등이 있다. 또한 농도 측정은 질량, 수, 표면적, 부피 등을 포함한다.매개 변수를 직접(온라인) 또는 간접(오프라인)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각 기법에 특정 샘플링 절차가 필요하다고 명시하고 있다.나노섬유의 생성 및 특성화에 제한된 기술로 인해 CNT 및 CNF에 대한 흡입 노출이 사용 중인 작업장이나 연구시설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하지만 흡입 독소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표준은 CNT, CNF의 물리적 특성 및 독성 종료점과의 관계뿐 아니라 흡입 독성 시험에 사용된 CNT, CNF 에어로졸 특성의 현황을 제공하고 있다.다만 ISO는 다른 탄소 나노물질에 대한 에어로졸 특성화 지침뿐 아니라 직장이나 주변 공기에서 CNT, CNF 에어로졸 특성화에 대한 지침 등은 제공하지 않는다.▲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홈페이지
-
국제표준화기구(ISO)에 따르면 '나노기술-정적다중광산란(static multiple light scattering, SMLS)에 의한 액체 분산에서 나노 물체의 평균 크기 평가에 관한 ISO/TS 21357:2022 표준을 발표했다.이 표준은 SMLS 기술을 사용해 액체에 분산된 입자나 액적, 기포 등 나노 물체의 평균(구형) 등가 직경을 결정하기 위한 지침 및 요구 사항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기술은 다양한 재료에 적용 가능하며 농축된 시료의 희석이 필요하지 않다.액체에서 나노 입자의 분산은 산업계 전반에서 사용되고 있다. 액체에 분산된 나노입자는 1차 입자, 덩어리, 응집체 등 물체의 응집이나 결집체로 이어질 수 있는 강약의 다양한 힘을 통해 상호작용한다.분산상태나 겉모양의 평균 입자 크기, 크기 분포는 제품제조, 보관, 가공중, 특히 샘플 희석이나 광범위한 준비가 필요한 측정을 사용할 때 결정된 것과 다를 수 있다. 시료 준비로 인해 응집체 또는 덩어리가 깨지거나 형성될 수 있으며 1차 입자의 형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따라서 산업 이해 관계자들은 제품 개발과 품질 관리, 규정 준수를 위해 원래 상태의 분산액에 적용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을 요구한다.정적다중광산란(SMLS) 기반 측정 방법은 이 문서에 설명된 제한 사항 내에서 분산의 기본상태로 평균 등가 입자 직경을 직접 측정할 수 있어 샘플 준비가 필요하지 않다. 표준의 범위를 넘어 SMLS는 응집 또는 결집 과정 때문에 평균 등가 입자 직경의 시간적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이 표준은 SMLS 기반 방법을 사용해 광범위한 농도를 갖는 다양한 샘플 유형(수령된 샘플 포함)에서 평균 등가 입자 직경을 평가하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ISO/TS 21357:2022 표준은 ▶Introduction ▶Scope ▶Normative references ▶Terms and definitions ▶Sy
-
2022-01-11미국 드렉셀대(Drexel University)의 연구에 따르면 사물인터넷(IoT)과 나노기술의 통합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나노기술 기반의 특별한 장점은 사물인터넷(IoT) 기기 제작 기술에 있다. 드렉셀대 연구원들은 '티타늄 카바이드 나노안테나' 를 개발했다.티타늄 카바이드 나노안테나는 무게나 회로를 추가하지 않고 간단한 원스텝 공정으로 어떤 물체에든 직접 분사할 수 있어 대상 물체를 빠르게 스마트 사물인터넷(IoT) 기기로 전환할 수 있다.사물인터넷(IoT)은 센서, 안테나,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및 기타 기술이 내장된 상호 연관된 물리적 객체들의 시스템이다. 제약산업에서부터 유도 미사일에 이르기까지 사물인터넷(IoT)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범위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2025년 사물인터넷(IoT) 연결 장치 수에 대한 예측은 다음과 같은데, 생성되는 데이터 량은 수백 제타바이트, 설치장비는 750억개로 최고조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드렉셀대(Drexel University) 로고
-
분석기기제조업체 유니소크, 2016년 고정밀현미경 제조공장을 증설해 생산능력을 2배로 증가...나노기술 연구가 활발한 중국·인도 등 신흥국가 기업 및 연구기관에서의 수요확대를 전망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