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1
" 금융"으로 검색하여,
70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7-31▲ KB국민은행 본사 전경 [출처=KB국민은행]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에 따르면 금융권 최초 화상상담을 활용한 풀뱅킹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특허를 취득했다. 이번 특허는 ‘KB 모바일 화상상담 서비스’에 적용된 기술이다.고객이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통해 전문가와 실시간으로 상담하고 금융상품에 가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다.기존의 단순 전화상담을 넘어 유선과 화상상담을 아우르는 멀티 채널 프로세스를 구현해 기술적 우수성을 인정받은 것이 특징이다.2022년 1월부터 고객들은 ‘KB 모바일 화상상담 서비스’를 이용해 약 25만 건의 상담을 진행하고 7만 좌가 넘는 금융상품에 가입하며 비대면으로 편리하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해왔다.특히 고객은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고도 24시간 언제든 상담을 예약할 수 있으며 은행 영업시간 중 금융상품 판매 자격을 갖춘 직원과 연결돼 상담부터 상품 가입까지 비대면으로 한 번에 진행할 수 있다. 해당 서비스는 KB스타뱅킹 앱과 인터넷뱅킹 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KB국민은행은 "비대면 상담에 대한 고객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언제 어디서든 전문적인 상담과 편리한 금융 상품 가입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노력해 왔다"며 "앞으로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금융 혁신을 지속해 고객 중심의 안전한 비대면 금융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2025-07-31▲ 벨로시티 로고 [출처=한화생명]한화생명(대표이사 부회장 여승주)에 따르면 2025년 7월30일(수, 현지시간) 미국 증권사 ‘Velocity Clearing, LLC(이하 벨로시티)’의 지분 75퍼센트(%) 인수 절차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벨로시티 인수는 국내 보험사가 ‘글로벌 자본 시장의 중심부’인 미국 증권 시장에 진출한 최초의 사례다. 이로써 미국 현지 금융사를 통해 수익성을 높이고 우수한 글로벌 금융 상품을 글로벌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마련했다.한화생명은 보험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넘어 북미 자본 시장으로의 전략적 확장을 본격화한다. 뉴욕을 거점으로 한 벨로시티는 금융 거래 체결 이후 자금과 자산이 실제로 오가는 과정을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역량(청산·결제)을 갖춘 전문 증권사다.2024년 말 기준 벨로시티는 총자산 약 US$ 12억 달러(한화 약 1조6700억 원)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2022~2024년) 매출 기준 연평균 성장률(CAGR) 25%를 기록하는 등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당기순이익 또한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인수 이후에도 지속적인 수익성 확대가 예상된다.한화생명은 기존 벨로시티 경영진과의 협업을 통해 조기 사업 안정화를 추진함과 동시에 한화자산운용 미주법인, 한화인공지능(AI)센터(HAC) 등과 협력해 금융과 기술이 결합된 시너지를 키워 나갈 방침이다.한편 한화생명은 각 지역의 금융 환경에 맞춘 차별화 전략을 통해 글로벌 금융 생태계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동남아에서는 리테일 금융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주에서는 플랫폼 기반의 투자 기능을 고도화하며 전략적 거점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앞으로는 디지털 기술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결합해, 글로벌 고객에게 종합금융 솔루션을 제공하는 브랜드로 도약할 계획이다.한화생명은 "자사가 금융의 핵심지인 미국 시장에서 한국 금융사로서 역량을 펼칠 수 있는 계기를 확보
-
▲ 남아프리카공화국 소매업체인 픽엔페이(Pick n Pay)의 슈퍼마켓에 위치한 테이크어랏(Takealot)의 물품 배송 픽업 포인트(Pickup Points)의 모습. [출처=테이크어랏 홈페이지]2025년 7월31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물류와 금융, 통계를 포함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전자상거래 기업인 테이크어랏 그룹(Takealot Group)에 따르면 2025년 7월 국제 무역에 집중한 새로운 자회사인 TFS(Takealot Fulfilment Solutions)를 론칭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싱크탱크인 PMBEJD(Pietermaritzburg Equity Justice and Dignity)에 따르면 2025년 7월 브라이 지수(Braai Index)는 2025년 6월 대비 0.9%로 근소하게 감소했다. ◇ 남아공 스탠다드 은행, 2025년 고객 평균 매월 식품 배달 및 포장 지출액 R 775랜드 집계남아프리카공화국 전자상거래 기업인 테이크어랏 그룹(Takealot Group)에 따르면 2025년 7월 국제 무역에 집중한 새로운 자회사인 TFS(Takealot Fulfilment Solutions)를 론칭했다.그룹의 로지스틱과 공급체인, 국제 화물 물류 등을 담당할 계획이다. 남아공 국내의 전자상거래 기업에서 기술 기반의 글로벌 풀필먼트(Fulfilment)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풀필먼트(Fulfilment)는 물류업에서 고객의 주문에 맞춰 물류 창고 포장에서 배송까지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새로운 독립 사업체를 통해 수입과 수출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남아프리카공화국 은행 기업인 스탠다드 은행(Standard Bank)에 따르면 2025년 고객 평균 매월 식품 배달 및 포장 지출액은 R 775랜드로 집계됐다. 식료품과 슈퍼마켓의 포장 음식 지출은 제외했다.주요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14개와의 금융 거래를 기준으로 산출되었다. 은행 이용객의 대부분이
-
▲ 2025년 7월 남아프리카공화국 자산 개발기업인 에이비랜드(Abland)는 케이프타운(Cape Town) 더반빌(Durbanville)에 대형 쇼핑 센터인 후룻 페센티크랄 뷰(Groot Phesantekraal View)를 개업했다. [출처=에이비랜드 홈페이지]2025년 7월30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금융과 서비스를 포함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금융 서비스 기업인 퍼스트랜드(FirstRand)에 따르면 2025년 동안 건지(Guernsey)섬의 금융 서비스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자산 개발기업인 에이비랜드(Abland)에 따르면 2025년 7월 대형 쇼핑 센터인 후룻 페센티크랄 뷰(Groot Phesantekraal View)를 개업했다. 투자 규모는 약 R 10억 랜드를 유치했다. ◇ 미국 베인앤컴퍼니, 2025년 7월 남아프리카공화국 내 컨설팅 운영 중단 계획 남아프리카공화국 금융 서비스 기업인 퍼스트랜드(FirstRand)에 따르면 2025년 동안 건지(Guernsey)섬의 금융 서비스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퍼스트랜드의 소매 및 상업 은행 자회사인 퍼스트 내셔널 은행(First National Bank)은 2025년 연말에 신용 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퍼스트 내셔널 은행의 건저섬 지점은 50년 이상 운영됐으며 주로 고액 자산 보유자를 대상으로 운영했다. 기존의 운영 허가 범위를 거래, 투자에서 대출로 확장할 방침이다.라이센스 취득에는 최소 12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취득 후 건지섬 인구의 약 5%를 차지하는 남아공인 3000명을 고객층으로 확보하는 것을 중장기 목표로 정했다.미국 경영컨설팅 기업인 베인앤컴퍼니(Bain & Company)에 따르면 2025년 7월 남아프리카공화국 내의 컨설팅 운영을 중단하기로 발표했다.현지 운영은 중단하나 현지 직원들은 해고되지 않는다. 요하네스버그(Johannesburg) 오피스는 글로벌 클라이언
-
2025-07-29▲ 신한금융그룹 본사 [출처=신한금융그룹]신한금융그룹(회장 진옥동)에 따르면 2025년 7월25일(금) 인터넷·모바일 생중계를 통해 발표한 2025년 2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5491억 원이다.경기 둔화 우려에 따른 대손충당금 적립액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수료이익과 유가증권 관련 이익 등 비이자이익의 견조한 성장에 따른 영업이익의 증가로 전분기 대비 4.1퍼센트(%) 증가했다.또한 그룹의 2025년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3조374억 원으로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의 고른 성장과 2024년도 발생했던 홍콩H지수 ELS 관련 충당부채 적립 등 일회성 비용의 소멸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6% 증가했다.신한금융그룹 재무부문 천상영 부사장은 “최근 경기 부진 우려로 인한 대손비용의 증가와 금리 하락에 따른 이자이익 성장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비이자이익 중심의 견조한 실적 개선과 효율적인 영업비용 관리를 통해 그룹의 안정적 재무 펀더멘털을 재확인했다”고 설명했다.“은행 부문의 안정적인 실적 유지와 함께 증권, 자산신탁 등 비은행 자회사들이 전년도 부진을 극복하고 비이자이익 확대를 통해 그룹 전체의 영업이익 성장을 견인했다”고 덧붙였다.신한금융그룹은 이날 이사회 결의를 통해 570원의 2분기 주당 배당금과 함께 ‘8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추가 취득·소각’을 발표했다.이번 자사주 취득·소각 한도 중 6000억 원은 25년 말까지, 잔여 2000억 원은 26년 초 취득할 예정이다. 안정적인 자본비율과 탄탄한 재무 펀더멘털을 기반으로 예측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자본정책을 속도감 있게 실행해 대한민국 자본시장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이와 함께 △신한저축은행 대출을 신한은행으로 대환해 고객 신용을 높이고(브링업) △고객의 숨겨진 자산 가치를 찾아주며(파인드업) △10% 이상의 신한은행 가계대출 금리를 한 자릿수로 일괄 인하해 경제적 자립과 함께 지속 가능한 소비 생활을 돕는(
-
2025-07-29▲ 2026년 입주예정인 하나금융그룹 청라지구 신사옥 전경[출처=하나금융그룹]하나금융그룹(회장 함영주)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1조1733억 원을 포함한 상반기 누적 연결 당기순이익이 2조3010억 원을 기록했다.이는 전년 동기 대비 11.2퍼센트(%)(2323억 원) 증가한 수치로 불확실한 대내외 경제 여건에도 △시장 변동성에 대한 탄력적 대응 △수익 포트폴리오 다각화 △전사적 비용 효율화 △선제적 리스크 관리 등에 힘입은 결과다.그룹 이사회는 2000억 원 규모 자사주 추가 매입·소각과 주당 913원의 분기 현금배당을 결의함으로써 기업가치 제고 계획 이행을 통한 주주환원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앞서 그룹은 연초 발표한 4000억 원 규모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을 상반기에 조기 이행 완료했다. 연내 최소 6000억 원 이상 자사주 매입이 예상되며 배당가능 주식수 감소에 따라 분기 주당 배당금의 점진적인 증가가 기대된다.◇ 매매평가익·수수료이익의 수익 구조 다각화로 비이자이익 중심의 안정적 성장 시현그룹의 비이자이익은 매매평가익과 수수료이익의 수익 구조 다각화를 통해 전년 동기 대비 10.0%(1266억 원) 증가한 1조3982억 원을 기록했다.특히 매매평가익은 유가증권 및 외환파생 관련 트레이딩 실적이 증대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28.1%(1812억 원) 증가한 8265억 원을 달성했다.또한 수수료이익은 투자금융 확대에 따른 인수주선·자문수수료와 퇴직연금·방카슈랑스·운용리스 등 축적형 수수료의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4.6%(476억 원) 상승한 1조804억 원을 시현했다.그룹의 핵심이익은 이자이익(4조4911억 원)과 수수료이익(1조804억 원)을 합한 5조571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1571억 원) 증가했으며 2분기 순이자마진(NIM)은 1.73%이다.◇ RoRWA 중심의 자산 포트폴리오 개선 통해 자본적정성 및 수익성 지표 개선그룹의 보통주자본비율(CET1)
-
2025-07-29▲ 우리금융그룹 전경 [출처=우리금융그룹]우리금융그룹(회장 임종룡)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경영실적이 누적 당기순이익 1조5513억 원을 시현했다.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와 내수 경기 둔화 등 녹록지 않은 경영 환경 속에서도 은행·비은행 부문의 고른 성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익창출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2분기 순이익은 은행 순이자마진(net interest margin, NIM)의 추가 개선과 수수료이익의 양호한 성장세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약 3000억 원 증가한 9346억 원을 시현했다.특히 그룹 보통주자본비율은 12.76퍼센트(%)(E)로 2024년말 대비 약 63베이시스포인트(bp)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이는 임종룡 회장의 기업가치 제고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바탕으로 자산리밸런싱과 위험가중자산수익률(Return On Risk-Weighted Assets, RORWA)중심의 성장 전략을 통한 자본적정성 강화에 집중한 결과다. 연말 목표인 12.5%는 물론 13% 달성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아울러 우리금융 이사회는 금일 분기 균등 배당 정책에 기반해 2분기 배당금을 1분기와 동일한 주당 200원으로 결정하며 안정적인 주주환원 기조를 이어갔다.한편 우리금융은 신성장 기업 등에 대한 자금지원을 확대해 금융 본연의 역할을 강화하고 중소·중견기업 지원 플랫폼‘원비즈플라자’ 무상 제공 및 서민금융상품 지원 확대 등을 통해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포용금융 실천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또한 시중은행 최초로 신용대출 업무에 ‘인공지능(AI)뱅커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AI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경영 패러다임 전환을 본격화하며 AI 기반의 금융환경 대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우리금융은 "상반기 상호관세 등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응해 건전성 강화 및 자본비율 개선에 주력한 결과 시장 신뢰 제고됨에 따라 주요 금융지주 중 올해 상반기에 유일하게 외인 매수세가 확대됐
-
▲ 하나은행 본점 전경 [출처=하나은행]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에 따르면 실물경제 회복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보증기금에 107억 원을 추가로 특별출연해 4200억 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실시한다.이번 지원은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으로 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중소기업의 위기 극복을 지원하고 수출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혁신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앞서 하나은행은 2025년 상반기 311억 원을 출현해 1조2702억 원의 금융지원을 실시한 바 있다. 하반기 107억 원을 추가로 특별출연해 신용·기술보증기금과 개별 협약을 체결해 보증 비율 우대(90퍼센트(%) 이상) 혜택이 적용된 보증서와 보증료를 지원할 예정이다.이를 통해 하나은행은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유망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4200억 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실시할 계획이다.한편 하나은행은 경기 악화로 매출 하락 등 어려움이 예상되는 중소기업의 금융비용 경감을 위해 ‘중소 법인 금융비용 경감 특별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이 프로그램은 5%를 초과하는 중소기업 대출금리에 대해서 5%까지(단, 최대 2%포인트(P) 감면) 감면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이자 부담을 덜어드리는 등 실질적인 금융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이호성 하나은행장은 “이번 금융지원이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하나은행은 중소기업이 경제 성장의 원동력으로서 실물경제 회복을 주도할 수 있도록 은행이 가능한 모든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
2025-07-29▲ BNK부산은행 본점 전경 [출처=BNK부산은행]BNK부산은행(은행장 방성빈)에 따르면 2025년 7월28일(월) 시니어 고객의 금융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모바일뱅킹 앱(App)을 통한 ‘국민·기초연금 수급 계좌 변경 서비스’ 시행에 들어갔다.이번 서비스는 국민연금 또는 기초연금을 다른 금융기관에서 부산은행 계좌로 수령을 원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제공된다.이용을 원하는 고객은 부산은행 모바일뱅킹 앱(App) 내 ‘국민·기초연금 계좌 변경’ 메뉴를 통해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다.기존에는 연금 수급 계좌 변경을 위해 관련 기관 홈페이지 접속, 콜센터 문의, 직접 방문 등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했으나 이번 서비스 시행으로 보다 빠르고 간편한 연금 계좌 변경이 가능해졌다.특히 고객은 해당 메뉴에서 본인인증 절차만 거치면 별도의 기관 방문이나 서류 제출 없이 국민연금공단 및 관련 기관에 자동으로 계좌 변경 신청이 접수돼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비대면으로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하다.모바일 앱(App) 사용이 어려운 고객도 가까운 부산은행 영업점을 방문해 직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서비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부산은행 모바일뱅킹 앱(App)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부산은행 신식 개인 고객 그룹장은 “이번 서비스는 시니어 고객들의 금융 생활을 더욱 쉽고 편리하게 만들고자 기획됐다”며 “앞으로도 시니어 고객을 위한 맞춤형 금융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
2025-07-28▲ 새마을금고, 폭염 대비 전국 영업점 1,682곳 ‘무더위 쉼터’ 운영 [출처=새마을금고중앙회]새마을금고(회장 김인)에 따르면 2025년 9월30일(화)까지 이례적 폭염에 대비해 전국 새마을금고 영업점 1682곳에서 ‘무더위 쉼터’를 운영하기로 했다.무더위 쉼터는 새마을금고 영업점 내 대기공간 등을 더위를 피할 수 있는 공간으로 개방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운영시간은 새마을금고 영업점 영업시간인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다.새마을금고는 무더위 쉼터 운영 영업점에 안내 스티커를 부착하고 폭염 피해로부터 지역 주민들이 보호받을 수 있게 적극 지원하고 있다.거래 여부와 관계없이 누구나 방문해 에어컨 바람을 쐬며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영업점에 따라 생수, 부채 등도 무료로 제공한다.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은 “새마을금고를 금융기관을 넘어 지역 주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안전한 공간으로 운영하겠다. 앞으로도 새마을금고는 국민생활안전을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