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GM 식품"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11-15▲ 11월 20일부터 27일까지 쿠팡에서 고품질 EU 식료품을 소개하는 ‘유럽연합 푸드 위크’가 열린다[출처=유럽 연구 실행 기관]유럽 연구실행기관에 따르면 2024년 11월20일~27일까지 8일간 쿠팡에서 고품질 유럽연합(EU) 식료품을 소개하는 세 번째 ‘유럽연합 푸드 위크’가 열린다.'유럽연합 푸드 위크'는 2023년 11월, 2024년 3월 두차례에 걸쳐 성황리에 개최됐다. 이번 푸드 위크에서는 더 다양한 품목의 유럽연합 식료품을 특별한 가격으로 만나볼 수 있다.소비자들은 '유럽연합 푸드 위크'에서 할인 혜택을 누릴 뿐 아니라 EU 식료품 고유의 품질 인증 시스템에 관해서도 파악할 수 있다.인증 시스템은 EU 농식품의 문화적, 지리적 특성을 강조하는 원산지 명칭 보호(PDO, Protected Designation of Origin), 지리적 표시 보호(PGI, Protected Geographical Indications) 제도 등이다.더불어 합성화학물질, 유전자변형(GMO), 인공 첨가물 없이 재배된 EU 유기농 식료품은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에게 지속 가능한 선택지가 될 수 있다.쿠팡과 함께 개최하는 '유럽연합 푸드 위크'는 품질이 뛰어난 유럽 농식품을 소개하면서 EU와 한국 간 결속력을 강화하고자 한국에서 전개하는 ‘진짜 유럽의 컬러를 맛보다!’ 캠페인의 대표 행사로 자리매김했다.2024년 11월 20일부터 27일까지 쿠팡에서 열리는 '유럽연합 푸드 위크'는 한국 소비자들이 집에서도 편하게 유럽의 특별한 미식 세계를 살펴보고 맛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EU 농식품은 엄격한 생산 기준과 이력 추적 관리, 뛰어난 맛으로 정평이 나 있다. 100여 개로 품목을 늘린 이번 '유럽연합 푸드 위크'에서 한국 소비자들은 훨씬 더 다양한 최고급 유럽산 식재료를 고를 수 있다.최고 수준의 동물 복지 기준에 따라 사육된 육류와 정통 유럽 치즈, 과자, 올리브 오일을 아우르는 모든 E
-
▲ 말레이시아 HeiTech Padu Bhd 로고[출처=HeiTech 홈페이지]2024년 10월22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을 포함한다. 말레이시아 MyEG Services Bhd와 HeiTech Padu Bhd는 전자정부 프로젝트 파트너십을 통해 디지털 정부를 구현한다.필리핀 퍼스트젠은 세부 시에 위치한 GMC의 식품 제조시설에 지열발전 에너지를 공급한다.◇ 말레이시아 MyEG Services Bhd, HeiTech Padu Bhd와 전자정부 프로젝트 파트너십 시작말레이시아 디지털서비스업체 MyEG Services Bhd에 따르면 IT기업 HeiTech Padu Bhd가 전자정부 프로젝트에 대한 파트너십을 시작했다.2024년 10월18일 HeiTech는 이민국(Immigration Department of Malaysia)으로부터 8억9220만 링깃 상당의 NIIse(National Integrated Immigration System) 프로젝트를 수주한 바 있다.MyEG는 HeiTech의 지분 14.99%를 보유하고 있다. 자체적인 이민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MyEG는 2023년 내무부로부터 서비스의 2년 연장을 승인받았다.◇ 필리핀 퍼스트젠(First Gen), 식품업체 GMC(General Milling Corporation)의 제조시설에 재생에너지 공급 계약 갱신필리핀 재생에너지 기업 퍼스트젠(First Gen)은 식품업체 GMC(General Milling Corporation)와 재생에너지 공급 계약을 갱신했다. 2016년부터 시작한 파트너십을 확대한 것이다.퍼스트젠 사업부에 해당하는 그린 코어 지오서멀(Green Core Geothermal Inc.)은 네그로스 오리엔탈 지역 지열발전시설으로 하여금 GMC의 세부시 식품 제조단지에 에너지를 공급한다.퍼스트젠은 1600메가와트(MW) 상당의 태양광, 풍력, 수력, 지열발전 시스템과 총용량 2000MW에 달하는 천연 가스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 글로벌 시장분석 조사업체 오일월드(Oil World) 로고[출처=오일월드 홈페이지]2024년 8월 서남아시아 농수축산업 주요동향은 푸란다르 무화과 즉석 주스 수출에 대한 인도 농가공품식품진흥청의 지원과 파키스탄 펀잡 정부의 채소 시장 조성 계획을 포함한다.○ 인도 상공부는 폴란드에 지리적 표시(GI)를 보유한 푸란다르 무화과 즉석 주스를 처음으로 수출했다고 밝혔다. 특수 농산품 수송을 늘리기 위한 계획의 일환이며 농가공품식품진흥청(APEDA)의 지원을 받았다.2022년 독일 함부르크에 GI태그가 붙은 푸란다르 무화과를 수출한 이래 APEDA는 소규모 농가들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APEDA는 2023년 뉴델리 그레이터 노이다에서 개최된 뉴델리식품박람회(SIAL 2023)에서 해당 무화과 주스를 선보이며 국제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푸란다르 하이랜즈(Purandar Highlands)가 생산한 무화과 주스가 주목을 끌며 상을 받기도 했다.○ 파키스탄 펀잡 정부는 기존 라왓 채소 시장과 유사한 시장을 샴사바드와 라왈 거리에 계획하고 있다. 샴사바드의 주차장 공간과 라왈 거리의 민간 항공장을 활용할 방침이다.중간 상인을 거치지 않아 소매상인이 도매가로 상품을 공급하므로 소비자들은 기존보다 낮은 가격에 채소를 구입할 수 있다.○ 글로벌 시장분석 조사업체 오일월드(Oil World, Ista Mielke GmbH)는 방글라데시가 향후 콩기름 상품에 대한 주요 수출 시장이 될 것이라 전망했다.중산층 인구가 증가하면서 식습관이 변했기 때문이다. 고기, 생선 및 식용유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면서 콩깻묵과 대두 종자와 같은 콩기름 제품이 필요하다.방글라데시는 매년 대두 종자 80만 톤(t)을 생산한다. 국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400만t 이상을 수입해야 한다.오일월드는 독일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팜유, 콩기름, 유채씨유, 해바라기씨유 등의 주요 상품에 대한 통계와 예측을 제공한다.
-
일본 정부는 2023년 4월부터 유전자 변형 성분이 있는 식품에 대해 국가 'non-GM 라벨링 시스템'을 업데이트해 시행할 예정이다.그동안 정부는 유전자 변형 성분이 있는 식품에 대한 식품 라벨링 규정을 업데이트해 왔다. 몇 년 동안 유전자 변형 식품과 애증의 관계를 맺어 왔다.일부 부서는 유전자 변형 식품에 대해 더 강력한 라벨 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반면 일부 부서는 유전자 변형 농산물이 지역 생태계나 식품 안전에 위험이 없으며 국내 식량 공급을 늘리기 위해 필요한 지원을 제공 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한다.2022년 초 소비자청(Consumer Affairs Agency, CAA)은 9개의 주요 농산물과 이들 재료를 활용한 가공 식품이 현재 GM 라벨링 대상이라고 발표했다. 이전에는 8개였지만 1개가 늘어났다.GM 라벨 의무 부착 주요 9가지 농산물은 콩, 옥수수, 감자, 유채씨, 면씨, 알팔파(alfalfa), 사탕무, 파파야, 겨자 채소 등이다.또한 이들 9개 주요 농산물의 원료를 활용해 만든 모든 가공 식품은 가공 후에도 유전자 변형 DNA 또는 이 DNA로 만들어진 단백질이 가공 후에도 여전히 검출될 경우 GM 라벨링 의무 대상이 된다.따라서 두부, 두유, 옥수수, 포테이토 스택, 통조림 식품, 녹말가루, 그리츠, 밀가루 등 9개의 주요 농산물로 만든 가공 식품 33가지를 모니터링하게 된다.특히 스테아리돈산을 생산하기 위해 변형된 GM 콩과 라신 함량이 높은 옥수수를 생산하기 위해 변형시킨 GM 옥수수에 대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결정했다.이것을 활용한 옥수수 기름, 간장 등 주요 품목들에 대해 집중 관찰 및 GM 라벨 적용을 강화할 계획이다. 참고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정부도 GM 식품에 대한 라벨링 제도를 확대하고 있다.▲ 소비자청(Consumer Affairs Agency, CAA) 홈페이지
-
미국 농무부(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에 따르면 2022년 1월 1일부터 식료품점에서 판매되는 유전자변형 식품의 새로운 식품 표시 규정(BE Food Disclosure Standard)이 시행됐다.기존에 사용하던 '유전자 조작(genetically engineered)' 성분 또는 '유전자 변형 유기체(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 등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이제는 '생물공학(bioengineered)' 또는 '생물공학에서 파생된(derived from bioengineering) 둥근 녹색 라벨을 부착하고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전화번호를 표시한 라벨이나 QR 코드를 표시해야 된다.USDA는 규정 변경으로 식품 표시가 통일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지난 2020년 발효됐다. 일부 이전 공식 인증 표시인 'USDA Organic', 'NON-GMO Project Verified' 등은 유지된다.식품안전센터(Center for Food Safety) 및 기타 옹호단체는 라벨링이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이 없는 사람은 QR코드를 스캔할 수 없어 정보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불공정하다는 입장이다.특히 소비자가 슈퍼마켓에서 라벨을 읽는 시간이 기존 대비 4배 늘어나는 것도 문제다. 참고로 생명공학 식품이란 "특정 실험실 기술을 통해 변행되었거나, 전통적 육종을 통해 만들 수 없거나, 자연에서 발견할 수 없는 검출 가능한 유전 물질을 포함하는 식품" 등으로 정의된다.▲ 미국 농무부(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홈페이지
-
베트남 보건부,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기능성식품의 제조품질관리기준(GMP)을 적용할 방침... 현재 2만 종류의 기능성식품이 판매되고 있으며 이 중 60~65%가 국내에서 생산돼 품질관리가 필요한 실정
-
2013-11-18사조그룹(이하 사조)은 창업주 주인용 회장이 1971년 설립한 시전사(당해 사조산업으로 상호 변경)를 모태로 하고 있는 수산∙식품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다. 창업주가 급작스럽게 타계한 후 20대의 나이에 경영권을 승계한 주진우 회장은 1980년대 이후 식품가공, 건설, 골프 및 레저, 축산, 부동산 임대관리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했다.최근 기업의 내부거래 논란, 중소기업의 편법 인수, 유전자변형농산물(GMO)의 미신고, 인권침해 등의 논란과 더불어 내부적으로 무리한 사업확장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 복잡한 상호출자, 지불보증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사조그룹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 기업사조그룹은 최근 인수한 화인코리아를 포함해 국내24개, 해외5개, 총29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요계열사는 표1와 같이 수산/축산, 식품/유통, 부동산/레저/IT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1. 사조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수산/축산부문 계열사는 사조산업, 사조바이오피드, 사조팜스, 사조농산, 동화농산 등이 있다. 사조산업은 1971년 시전사 설립 및 당해에 현재의 상호로 변경됐으며, 주요사업은 원양어업이다. 사조바이오피드는 동물용 사료 및 조제식품 제조업을 위해 2007년 설립했다.사조팜스는 2011년에 설립했으며, 가금류와 조류사육을 하는 양계업체다. 사조농산은 1998년 성보농산에서 출발해 현재의 상호가 됐으며, 축산물 사육을 주요사업으로 하는 양돈업체다. 동화농산은 1977년 양돈업을 위해 설립했다. 기업의 매출규모·이익 등을 고려해 사조산업만 평가 했다.식품/유통부문 계열사는 사조씨푸드, 사조인터네셔널, 사조해표, 사조대림, 사조오양, 사조남부햄, 사조인티그레이션, 삼아벤처, 제일푸드서비스, 중일종합식품, 금진유통 한소 등이다.사조씨푸드는 1980년 설립한 사조냉장이 모태로 1999년 사조씨에스를 거쳐 2010년 현재의 상호가 됐다. 주요사업은 원양어업 및 수산물 가공, 판매, 냉동냉장업이다. 사조인터내셔널은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