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한국수자원공사, AI 정수장 국제표준 주도 [출처=한국수자원공사]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에 따르면 2024년 11월27일(수요일) 중국 난징대학교에서 열린 국제표준화기구 상하수도서비스 분야 스마트물관리 워킹그룹(ISO/TC224/WG15) 국제회의에서 우리나라 신규 제안(New work item Proposal)이 승인됐다.한국수자원공사가 보유한 3대 초격차 기술 중 하나인 ‘인공지능(AI) 정수장’ 기술이 신규제안으로 승인되면서 인공지능(AI) 정수장에 대한 국제표준 개발 뿐 아니라 글로벌 물시장 선두주자로서 입지를 강화했다.AI 정수장은 수돗물 생산과 공급 전 과정에 AI를 융합해 자율 운영을 통해 자원과 에너지의 최적화를 가능케 만드는 디지털 물관리 기술이다.2024년 1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글로벌 등대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으로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스마트물관리 워킹그룹(ISO/TC224)은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산하 상하수도서비스 분야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다.2001년 설립 이후 스마트물관리 워킹그룹(Working Group) 등을 운영하며 식수 및 폐수 등의 서비스 지침 제공을 위한 국제표준 개발을 주관하고 있다.한국수자원공사는 2023년부터 AI 정수장의 글로벌 물시장 선도 기반을 마련하고자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의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을 통해 국제 표준화를 주도해오고 있다.또한 미국수도협회(AWWA) 등 주요 회원과 긴밀히 협력하며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 호주, 미국, 중국 등 정회원 35개국이 참여하는 ISO/TC224에서 투표 참여국의 3분의 2 이상 표결로 이번 승인이 의결됐다.▲ 한국수자원공사, AI 정수장 국제표준 주도 [출처=한국수자원공사]앞으로 2027년 최종 제정을 목표로 약 3년간 표준화 작업에 매진할 계획이다.&n
-
벨라루스 표준화 위원회(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of Belarus, BELST)는 1992년 4월 17일 각료회의 산하 표준화, 계량 및 인증 위원회가 설립됐다. 2004년 벨라루스 공화국의 기술적 규제 및 표준화에 관한 법률이 발효됐다.BELST는 기술적 규제, 표준화, 도량형, 적합성 평가를 위한 벨라루스의 공공행정기기관이다. 단일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부조직을 통해 직접적인 표준화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3개의 기관과 15개의 센터, 1개의 테스트 센터가 있다. 3개의 기관은 표준 및 인증 분야, 계량 분야, 전문 개발 분야로 각각 구분된다.또한 표준과 계량, 인증을 위해 15개의 센터들이 벨라루스 공화국의 큰 산업 도시에 위치하고 있다. 경공업 제품 테스트를 위한 센터가 1곳 있다.새로운 문서는 법률의 구현 체계에 따라 생성된다. 모든 라이프사이클 단계에서 제품과 서비스의 안전에 관한 의무 요건은 기술 규정에 의해 확립된다.벨라루스 정부의 표준은 STB라는 약어가 붙으며 정부 표준은 자발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문서의 범주에 포함된다. 벨라루스에서 채택된 정부 표준과 국제 표준의 조화 수준은 약 80% 정도이다.약어인 GOST가 포함된 표준은 독립국가연합(CIS) 내에서 기능하는 유럽-아시아 표준화, 계량 및 인증 위원회(Euro-Asian Council for Standardization, Metrology and Certification)에 의해 사용되는 정부 표준으로 적용된다.참고로 벨라루스에 표준회위원회가 설립되기 이전에는 (구)소련(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USSR)의 표준 기구에 의해 조정됐다.▲ 벨라루스 대통령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