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CNF"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는 2022년 5월 ISO/TR 23463:2022 나노기술에 관한 표준을 발표했다.ISO/TR 23463:2022 표준은 흡입독성시험에 사용될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와 탄소 나노섬유(carbon nanofibre, CNF) 에어로졸의 특성에 관한 것이다.표준은 흡입 노출 연구를 위한 CNT, CNF 에어로졸의 특성을 검토하는 것아다. 흡입 연구를 위한 재료 특성화 프레임워크를 구성하고 있다.여기에는 생산(순수) 또는 공급된 재료의 특성화, 관리 물질의 특성화, 투여 후 재료의 특성화, 인체 노출 특성화 등이 포함된다.표준은 물리화학적 특성과 농도측정을 포함해 처음 두가지 특성화 요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물리화학적 특성에는 크기, 크기 분포, 응집/결집, 형태 등이 있다. 또한 농도 측정은 질량, 수, 표면적, 부피 등을 포함한다.매개 변수를 직접(온라인) 또는 간접(오프라인)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각 기법에 특정 샘플링 절차가 필요하다고 명시하고 있다.나노섬유의 생성 및 특성화에 제한된 기술로 인해 CNT 및 CNF에 대한 흡입 노출이 사용 중인 작업장이나 연구시설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하지만 흡입 독소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표준은 CNT, CNF의 물리적 특성 및 독성 종료점과의 관계뿐 아니라 흡입 독성 시험에 사용된 CNT, CNF 에어로졸 특성의 현황을 제공하고 있다.다만 ISO는 다른 탄소 나노물질에 대한 에어로졸 특성화 지침뿐 아니라 직장이나 주변 공기에서 CNT, CNF 에어로졸 특성화에 대한 지침 등은 제공하지 않는다.▲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홈페이지
-
미국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에 따르면 2022년 5월 26일 ISO/TR 23463:2022을 발간헸다.해당 표준은 흡입 독성 테스트에 사용된 탄소 나노튜브와 탄소 나노섬유 에어로졸의 특성을 규명한 것이다. 연구는 오염되지 않거나 공급된 물질의 특성, 관리된 물질의 특성 등을 포함한다.ISO/TR 23463:2022는 물리화학적 특징과 집중 측정에 관한 2가지 특징적 필요성에 초점을 맞춘다. 전자는 크기, 크기 분산, 통합, 형태 등을 말하고 후자는 집중, 숫자, 표면적, 크기 등과 관련돼 있다.이들 파라미터는 직접(온라인) 혹은 간접(오프라인) 수준에 의해 측정된다. 또한 개별 기술은 특별한 샘플링 절차가 필요하다.나노섬유의 세대와 특정화에 관련된 제한된 기술은 흡입 독성 연구를 수행하기 어렵게 만든다. 사람들은 작업장과 연구시설에서 탄소 나노튜브와 탄소 나노섬유의 흡입에 노출된다.ISO는 "표준이 다른 탄소 나노물질의 위한 에어로졸 특징화에 관한 지도를 제공하거나 작업장에서 탄소 나노튜브와 탄소 나노섬유의 특성을 위한 지도를 제공하는 것도 아니다."라고 밝혔다.▲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홈페이지
-
뉴질랜드 건강식품기업 Comvita의 자료에 따르면 중국에서의 판매기업 Shenzhen Comvita Natural Food Co.(SCNF)와 51대 49로 합작벤처를 설립했다.Comvita는 주당 10.60달러로 283만 주를 보유할 예정이며 총주식가치는 $NZ 3000만 달러에 달한다. 이번 거래로 SCNF는 Comvita의 주식 보유량이 5%에서 11%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일본 종이제조업체인 닛폰세이시(日本製紙)는 2016년 8월 시마네현에 식물유래 신소재인 셀룰로오스나노섬유(CNF) 신공장을 건설한다고 발표했다.식품 및 화장품용 CNF의 양산화를 결정한 것으로 CNF는 가볍고 강도가 높으며 혼합하면 끈기를 가지기 때문에 천연 첨가제로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CNF 제조설비 투자금액은 11억엔으로 연간 생산량은 30톤이지만 향후 100톤까지 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출 계획이다. 시설은 2017년 9월 완공될 예정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