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AI기반"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7-15▲ LH주거복지정보, 한국폴리텍 대학과 AI기반 주거복지서비스 고도화 업무협약 체결(LH주거복지정보 홍성필 대표이사(오른쪽)와 한국폴리텍대학 이철수 이사장(왼쪽)) [출처=LH주거복지정보]LH주거복지정보(대표이사 홍성필)에 따르면 2025년 7월14일(월) 한국폴리텍대(이사장 이철수)와 인공지능(AI) 기반 공공서비스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이번 협약은 AI 전환 시대에 발맞춰 AI 기술을 접목한 공공서비스 혁신 기반을 구축하고 국민 체감형 주거복지 정보서비스 품질 고도화를 위해서다.양 기관은 앞으로 △실무형 AI 인재 양성 △공동 교육·연구 프로그램 운영 △산학협력 확대 △기술협력 등 다각적인 협업을 통해 지속 가능한 디지털 공공서비스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특히 이번 협약을 통해 LH주거복지정보가 운영 중인 인공지능 기반 공공주택 상담 시스템(AICC, Artificial Intelligence Contact Center)의 기술·인력 고도화를 위한 협력도 추진된다.AICC는 AI 자동응답, 질의 유형별 분류 응답, 민원 예측 기능 등을 통해 상담 효율성과 고객 접근성을 높이는 AI 기반 상담 플랫폼으로 향후 고도화를 통해 더욱 정교하고 신속한 맞춤형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양 기관은 이외에도 기술·정보·교육 분야의 상호 교류, 전문가 연계 및 인적 교류, 구성원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등 공공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협력을 지속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이번 협약은 ‘AI+X’ 전략 실행을 위한 협업기반의 파트너십 구축으로 LH주거복지정보는 AI 기반 상담체계와 대국민 소통 기반의 고도화를 통해 성과 중심의 주거복지 정보서비스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홍성필 LH주거복지정보 대표이사는 “이번 협약은 AI 기반 공공주거 정보 서비스 혁신을 본격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며 “기술기반 고객 응
-
2025-04-10▲ 하나은행 로고[출처=하나은행]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에 따르면 미국의 글로벌 금융·경제 전문지인 ‘글로벌파이낸스(Global Finance)지’로부터 ‘2025 대한민국 최우수 은행상(Best Bank in Korea 2025)’을 수상했다.하나은행은 ‘글로벌파이낸스지’로부터 통산 9회째이자 연속 5회 ‘대한민국 최우수 은행상’을 수상하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금융기관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했다.또한 24회 연속 ‘대한민국 최우수 외국환 은행’과 통산 24회째 ‘대한민국 최우수 무역금융 은행’으로 선정되며 각 분야에서도 탁월한 역량을 인정받았다.‘글로벌파이낸스지’는 하나은행은 △AI기반 디지털 금융 혁신 △맞춤형 금융 서비스 제공 △장기적 안정성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이며 국제 금융 시장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특히 급변하는 금융 환경에서도 자산과 부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동시에 손님의 니즈를 면밀히 반영한 점을 높이 평가 받았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한편 하나은행은 시중은행 중 최다인 26개국의 해외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국내 기업의 현지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2024년 헝가리 수도 부다페스트와 멕시코 대표 산업도시 몬테레이에 사무소를 개소한 데 이어 올해는 폴란드에 채널 개설을 추진하는 등 금융 비즈니스의 글로벌 확장을 선도하고 있다.
-
▲ 에스앤알랩이 기업 임직원들이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협상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협상 준비 앱(NPAA)’을 출시했다[출처=에스앤알랩]에스앤알랩(SNRLAB, 대표 이성대)에 따르면 인공지능(AI) 기반 협상 준비 애플리케이션 ‘협상 준비 앱(NPAA, Negotiation Preparation App with AI)’을 출시했다.‘협상 준비 앱(NPAA)’은 기업 임직원들이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협상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이 앱은 기업의 다양한 요구 사항에 맞춰 최적화할 수 있다. 최신 GPT 기술을 통해 실시간으로 협상 전략을 조율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특히 정교한 프롬프팅을 통해 업무에 적합하게 튜닝돼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을 최소화한 정확한 답변을 제공하며 최신 AI 모델이 나올 때마다 이를 즉각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앱이 제공하는 기능은 협상 전략 준비, 비즈니스 리스크 분석, 협상 타결 가능성 분석, 소송과 협상 실익 분석을 통한 의사결정, 협상가의 감정 관리 등이다.앱을 통해 기업 임직원들은 보다 신속하게 협상 전략을 세우고 즉시 실무에 적용할 수 있게 됐다. 또한 협상 준비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계약서 내 독소 조항을 분석하고 비즈니스 리스크를 평가하는 복합 기능을 통해 기업들이 거래 리스크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협상 준비 앱’은 협상가의 감정 관리와 비즈니스 리스크 분석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며 사용자들이 협상 현장에서 실제로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 프로그램도 함께 제공한다.이성대 소장은 “글로벌 기업과 계약 협상 업무를 수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앱을 개발했다. 과거에 비해 훈련을 받고도 실제 협상에서 전략을 세우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갔지만 이제 이 앱을 통해 그 과정을 몇 분 만에 마칠 수 있다
-
2022-01-19미국 인공지능(AI) 기술개발업체인 조위(Zowie)에 따르면 시드 라운드에서 $US 500만달러의 투자 자금을 모금했다. 이번 투자는 구글의 AI 기반 투자 펀드인그레이디언트 벤처(Gradient Ventures)와 10x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또한 Lattice의 CEO Jack Altman, Giesswein의 CEO Markus Giesswein, Inovo Venture Partners 등이 참여했다.조위는 조위 X1으로 알려진 자체 기술로 모든 고객의 서비스 요청을 60~95% 자동으로 처리하고 있다. L'Oreal과 InPost와 협력하고 있다. Zendesk, Shopify, Gorgias 등의 고객서비스를 자동화하고 있다.조위는 전 세계 모든 전자상거래 판매자를 위해 고객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방침이다. 고객과 온라인 소매업체 간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관계자들의 경험과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고 있다.▲그레이디언트 벤처(Gradient Ventures)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