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환경규제"으로 검색하여,
1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년 9월 한국동서발전의 1호 창업기업인 에어로원이 산업통산자원부 지정 에너지 진단 전문기관이 됐다. 에어로원은 동서발전이 추진하는 에너지 혁신 분야 예비창업자 육성 창업지원사업에서 선정됐다.역대 사장은 이상영·이용오·정태호·이길구·장주옥·김용진·박희성·박일준·김영문이다. 김영문은 정치인이고 박일준·김용진은 공무원 출신, 나머지는 모두 한국전력공사에서 내려왔다. 내부 승진은 아무도 없다.동서발전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동서발전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한국전력의 지침에 따르지만 ESG 경영 미흡... 인사에 성차별 없애 여성임원 선임 필요동서발전은 모기업은 한국전력공사의 ESG 정책에 따라 헌장을 제정하지는 않았다. 한국남동발전, 한국서부발전 등과 유사하다.▲ 한국동서발전(EWP)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비교 [출처=iNIS] 한국전력 발전 자회사 모두가 ESG위원회는 구성했으며 사외이사의 비율도 동일한 수준을 유지한다. 서부발전은 여성 임원을 1면만 선임했지만 동서발전과 서부발전은 여성을 임원으로 임명하지 않았다.부채 비율은 동서발전이 서부발전이나 남동발전에 비해 낮은 편이다. 종합청렴도는 남동발전과 서부발전은 2등급을 유지하고 있지만 동서발전은 3등급이다.현 최고경영자(CEO)가 법률가임에도 청렴도 개선에는 성공적인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도 비슷한 관점에서 접근해야 혁신이 가능하다.무기계약직의 연봉은 해당사항이 없었으며 육아휴직 사용자는 전체 숫자
-
2001년 한국전력공사에서 물적 분할로 설립된 한국남부발전은 경상남도 하동군의 발전소를 중심으로 7개 사업소를 운영 중이다. 제주특별자치도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풍력발전소를 가동하고 있다.역대 사장은 1대부터 보면 이임택·김상갑·남호기·이상호·김태우·윤종근·이종근·신정식·이승우이며 이상호와 김태우만 내부 승진으로 임명됐다. 남호기와 윤종근은 한국전력공사, 나머지 이임택·김상갑·신정식·이승우는 외부 인사다. 남부발전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남부발전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한국남부발전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비교 [출처=iNIS]◇ ESG 비전 및 행동규범 수립... 2023년 부채 총계 8조1373억 원으로 부채상환에 30.6년 필요남부발전의 ESG 비전은 ‘친환경 발전과 건강한 사회를 위하여 책임을 다하는 국민의 기업’으로 밝혔다. ESG 추진방향은 △깨끗한 에너지 △포용의 에너지 △신뢰의 에너지로 정했다. ESG 9대 핵심 목표와 12대 전략과제를 설정해 홈페이지에 밝혔다.ESG 헌장은 부재했으나 ESG 행동규범을 △환경경영 △안전 및 보건경영 △인권경영 △청렴·윤리경영 △책임경영으로 나누어 홈페이지에 공개했다.2023년 남부발전의 이사회 임원 수는 9명으로 기관장 1명, 상임이사 3명, 비상임이사 5명으로 구성됐다. 이 중 여성 임원 수는 1명으로 적었다.최근 3년간 여성 임원 수는 1
-
지난 6월 1주차 아랍에미리트 경제는 환경규제기관(EAD)에 따르면 6월1일부터 수도 아부다비(Abu Dhabi)와 두바이(Dubai) 내에 스타이로폼 제품과 일회용품 금지 조치를 발효한다. 미세 플라스틱 발생량을 감축해 지구환경을 보호할 방침이다. ○ 환경규제기관(EAD), 6월1일부터 수도 아부다비(Abu Dhabi)와 두바이(Dubai) 내 스타이로폼 제품과 일회용품 금지 조치 발효 ... 미세 플라스틱 발생량 감축해 지구환경 보호할 방침
-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展和改革委员会)에 따르면 석탄화력발전소 605기를 운영하는 기업에 총 3억2800만위안을 벌금을 부과했다.션화그룹(神华集团)의 자회사 5214만위안, 중국꾸오디앤그룹(中国国电集团)이 운영하는 발전소는 773만위안의 벌금을 각각 부과했다.발전소에서 이산화황 및 질소 산화물 등 기준을 초과하는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었으나 환경규제 위반 및 보조금 신청을 위해 데이터를 조작했기 때문이다.▲ China_CGC(China Guodian Corporation)_Homepage▲중국꾸오디앤그룹(中国国电集团) 홈페이지
-
일본 야노경제연구소(矢野経済研究所)에 따르면 2020년까지 글로벌 LiB 시장은 15만5430MWh로 2015년 대비 5.6배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올해인 2016년 자동차용 리튬이온배터리(LiB) 글로벌 시장은 3만9349MWh로 전년 대비 41.3%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최근 각국 정부의 환경규제 강화, EV 보조금 및 우대정책 실시, 미국 캘리포니아주와 같은 전기자동차(EV) 의무 판매 비율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지난 2015년 자동차용 LiB 글로벌 시장은 2만7853MWh로 2014년 대비 110.1% 급성장했다. 각국 정부의 환경오염문제 개선을 위한 EV보급 정책 영향으로 중국을 중심으로 PHEV, EV판매가 급증했기 때문이다.2015년 글로벌 LiB시장은 EV용 2만4112MWh, PHEV용이 3303MWh, HEV용이 438MWh로 각각 86.6%, 11.9%, 1.6%를 차지했다. 2015년 글로벌 시장에서 EV 및 PHEV 차량용 LiB가 전체의 98.5%를 차지했다.▲ Japan_Yano_Homepage Image (2)▲야노경제연구소(矢野経済研究所) 홈페이지
-
일본 선박제조업체인 히타치조선(日立造船)은 2016년 10월 중유 및 액화천연가스(LNG)를 연료로서 구분해 사용하는 선박용엔진을 개발한다고 발표했다.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선박의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제품으로 수주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이다. 신엔진은 중유의 소비를 대폭으로 줄여 질소산화물(NOx)등의 배출을 억제한다.
-
인도 중앙환경규제위원회(PCB)의 자료에 따르면 제약회사가 밀집해 있는 하이드라바드주 메탁의 호수는 각종 바이러스로 오염된 상태다.지역에 위치한 300개 이상의 제약회사들이 지난 20년 동안 제대로 처리하지 않은 하수를 버리고 있기 때문이다. 항성제에 내성을 가잔 각종 바이러스가 나타나고 있어 우려를 제기하는 전문가 많다.하지만 지역에 위치한 제약회사들은 이 같은 주장을 반박하고 있다. 인도 최대제약회사인 Dr Reddy’s Laboratories Ltd, Aurobindo Pharma Ltd, Hetero Drugs Ltd 등이 있으며 미국 제약회사인 Mylan Inc의 공장도 위치해 있다.▲Dr Reddy’s Laboratories Ltd의 글로벌 사업장 위치(출처: 홈페이지)
-
일본 자동차제조업체인 혼다(ホンダ)는 2016년 8월 4륜차용 디젤엔진 개발을 축소하고 PHV·FCV 확대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발표했다. 디젤에 할당하고 있는 개발자원을 전동기술로 전환한다.디젤엔진 기술의 난이도, 비용, 환경규제의 동향을 고려해 전동기술을 우선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혼다는 2016년 2월 PHV, 하이브리드차(HV), 연료전지차(FCV) 등의 전동차량의 판매비율을 2030년까지 전체의 2/3로 채우는 방침을 내세운 바 있다.
-
일본 건설기계업체인 IHI는 2016년 8월 자동차엔진의 연소효율을 높이는 터보차저(과급기)사업의 생산성 및 개발력을 향상시킬 방침이라고 밝혔다. 2018년까지 3년간 400억엔을 투자한다.설비의 쇄신을 통해 2020년도 생산대수를 800만대 이상으로 2016년 전망치의 30% 증가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부품의 일괄구입으로 제조원가의 30% 절감을 노린다. 환경규제를 배경으로 수요가 확대하고 있는 타보차저 사업의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
중국환경보호부(中华人民共和国环境保护部)에 따르면 향후 심각한 환경 규제를 위반한 기업에 대한 처벌 규정을 강화한다고 밝혔다.기업이 규제 이상 오염물질을 배출하거나 환경 승인 없이 공장을 건설하면 금융 및 토지이용을 제한할 계획이다. 정부는 심각한 환경오염을 해소하기 위해 다각적인 정책을 집행하고 있다.▲ China_MEP(Ministry of Environmental Protection)_Homepage▲중국환경보호부(中华人民共和国环境保护部)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