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특수강"으로 검색하여,
1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세아홀딩스 로고 [출처=세아홀딩스]세아홀딩스(회장 이순형)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세아베스틸지주(대표이사 김수호, 이태성)의 연결 기준 매출액이 901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 감소했다.영업이익은 18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0% 줄어들었다. 글로벌 경기침체 지속 및 주요 전방 산업의 국내 시장 부진 장기화에 따른 특수강 수요 위축으로 주요 자회사의 판매량이 축소했기 때문이다.세아항공방산소재는 러우전쟁 장기화, 중동 지역 불안정, 미·중 경쟁 심화 등에 따른 방위산업 시장 수요 확대 및 글로벌 항공 여객 수요의 완전한 회복 영향으로 알루미늄 소재에 대한 견조한 수요 강세가 이어지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YoY 25.8%↑), 영업이익(YoY 120.2%↑)이 증가했다.주요 전방 산업 부진 등 어려운 시장 환경이 지속됐지만, 주요 수요처인 자동차 시장의 내수 판매 증가 및 전방위적 영업활동 전개로 전분기 대비 세아베스틸, 세아창원특수강 등 주요 자회사의 판매량이 회복되며 매출액(QoQ 8.7%↑)이 증가했다.세아베스틸은 개별 기준 건설, 석유화학 등 특수강 전방 산업 업황 부진, 저가 수입재 유입에 따른 판매량 감소 및 철스크랩 등 주요 원재료 가격 약세에 따른 판매단가 인하 영향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YoY 9.3%↓), 영업이익(YoY 8.6%↓)이 감소했다.전분기 대비 주요 수요처인 자동차 시장의 내수 판매 증가 등으로 특수강 수요 및 판매량 회복세를 보이며 매출액(QoQ 10.9%↑)이 증가했다.세아창원특수강은 별도 기준 석유화학, 반도체 등 전방 수요산업의 업황 침체 장기화와 저가 수입재 유입 지속으로 스테인리스 판매량이 감소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YoY 1.4%↓)이 감소했다.전체 판매량 감소에도 스테인리스 선재·봉강 등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판매 비중 확대 전략을 통해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YoY 10.2%&uar
-
2025-02-18▲ 세아베스틸과 세아창원특수강이 협업해 생산한 특수강 선재를 작업자가 살펴보고 있다[출처=세아베스틸]세아베스틸(대표이사 서한석)에 따르면 오일·가스 산업에 공급되는 특수강 선재 제품 소재를 개발했다. 세아베스틸이 새롭게 개발한 특수강 선재 소재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련 단계에서 탈산 및 탈황 작업을 강화시킨다.또한 압연 시 소재의 균일함을 유지시키기 위해 가열온도를 최적화하는 등 기존 오일·가스향 특수강 소재 대비 청정도를 향상시킨 소재다.특히 다량의 수소가 포함된 석유와 장시간 접촉에도 일관된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높은 수소유기크랙 저항성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기존 세아베스틸에서 생산한 특수강 환봉 및 각재 소재는 중간 가공사를 거쳐 최종 수요가에 공급됐다. 반면 특수강 선재는 가공성 및 사용 편의성을 높인 소재로 간결한 가공 과정만 거쳐 최종 수요산업에 적용이 가능해 향후 수요가 지속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세아베스틸은 에너지향 특수강 선재 소재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그동안 오일·가스향 특수강 소재로 환봉 및 각재 형태를 주력으로 공급해왔다.이번 선재 형태로 가공이 가능한 소재 개발에 성공함에 따라 환봉부터 선재까지 다양한 형태의 오일·가스향 특수강 소재 통합 포트폴리오를 갖추게 됐다.실제로 세아베스틸은 2025년 1월 글로벌 오일 메이커향으로 공급되는 특수강 선재 소재의 초도 물량을 수주하는 등 소재 개발과 동시에 글로벌 공급 레퍼런스를 조기에 확보했다.이번 수주는 규모를 떠나 세아베스틸이 소재를 생산하고 세아창원특수강이 선재 형태의 가공을 맡아 최종 수주까지 성공한 사례로 세아그룹 내 계열사간 협업 시너지를 창출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의가 있다.
-
일본 철강기업 아이치제강(愛知製鋼)에 따르면 2019년 3월기 1분기(4~6월) 매출액 617억1300만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9.4% 증가했다.동기간 영업이익은 27억100만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1% 감소했다. 1분기 경상이익은 29억5100만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9%, 순이익은 17억600만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3% 각각 줄어들었다.또한 강재 등 사업부문에서 22억엔의 영업이익을 올렸으며 형타단조품(型打鍛造品) 등 사업부문 영업이익은 2억5000만엔이다.전자기기 재료 등 영업이익은 6500만엔에 이른다. 2019년 3월기 4~6월 강재 및 단조품 판매수량은 29만2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만5000톤 증가했다.▲ Aichi Steel▲아이치제강(愛知製鋼) 로고
-
일본 특수강 제조기업 다이도스틸(大同特殊鋼, Daido Steel Co., Ltd.)에 따르면 2018년 4~6월기 매출액은 1354억엔으로 전년 동기 1191억엔 대비 163억엔 증가했다.동기간 영업이익은 85억엔으로 전년 동기 90억엔 대비 5억엔 줄어들었다. 경상이익은 94억엔으로 전년 동기 93억엔 대비 1억엔 늘어났다.2018년 4~6월기 순이익은 57억엔으로 전년 동기 58억엔 대비 1억엔 감소했다. 이중 동기간 특수강 강재 매출액은 527억엔으로 전년 동기 450억엔 대비 대비 17% 증가했다.강재매출은 34만7000돈으로 전년 동기 32만6000톤 대비 2만1000톤 늘어났다. 글로벌 경기불황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Daido Steel▲ 다이도스틸(大同特殊鋼, Daido Steel Co., Ltd.) 로고
-
일본철강연맹(日本鉄鋼連盟)에 따르면 2017년 조강생산량은 1억466만1000톤으로 전년 대비 0.1%P감소했으며 3년 연속 줄어들었다. 감소 이유는 생산 문제와 정기수리가 겹쳤기 때문으로 수요 자체는 보합세를 나타냈다.업종별로는 보통강의 생산량은 7956만6000톤으로 전년 대비 1.5% 줄어들어 4년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했으며 보통강은 자동차의 자체, 건물의 철근 등에 사용된다.2017년 특수강 생산량은 2509만5000톤으로 전년 대비 4.4% 증가해 2년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다. 2017년 12얼 조강생산량은 871만9000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0.1% 상승했지만 보통강은 661만1000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1.5% 하락했다.특수강은 210만8000톤을 생산해 전년 동월 대비 5.5% 증가했다. 조조강 및 특수강 생산량은 각각 2개월 연속 증가했지만 보통강 생산량은 3개월 연속 감소했다.2018년 조강생산량은 2020년 도쿄올림픽 및 패럴림픽에서의 건설 수요, 자동차관련 제조업의 수요 조정, 일본경제의 완만한 확대 등 영향으로 2017년 대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Japan_JISF(Japan Iron and Steel Federation)_Logo▲일본철강연맹(日本鉄鋼連盟) 로고
-
일본 오사카대학(大阪大学)에 따르면 2017년 7월 금속가공업체인 타케후특수강재 등과 공동으로 강도를 기존 대비 3배 높인 티타늄 재료를 개발했다.산화티타늄 등을 고온, 고압으로 태우고 굳혀 재료를 제작하는 방식으로 2~3년 이내로 의료기구나 항공기용 재료로 실용화할 계획이다.새로운 재료는 레어메탈(희소금속)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저렴하고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것이 장점이다. 뇌 외과 수술 및 복강거울을 사용한 수술용 기구 외에 항공기 엔진용 부품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오사카대학(大阪大学) 홈페이지
-
일본 철강업체인 닛신제강(日新製鋼)은 2016년 7월 중국의 특수강압연공장을 본격적으로 가동하기 시작했다고 발표했다.중국에서의 자동차시장과 특수강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준공한 것이다. 냉간압연설비 1기, 소둔설비8기, 정밀설비1기를 갖추고 생산성은 연간 12만톤이다.
-
일본 자동차제조업체인 혼다(ホンダ)는 2016년 다이도특수강과 하이브리드카(HV)의 모터용으로 쓰이는 중희토류를 사용하지 않는 자석을 공동 개발했다고 발표했다.올해 발매하는 신형 미니밴인 '프리드'에 탑재할 계획으로 구동모터에 채용하는 것은 세계 최초이다. 자석을 사용하는 에코카가 증가하는 가운데 중국에 편재해 있는 디스프로슘 등의 중희토류를 사용하지 않는 자석의 채용을 확대하고 조달리스크를 줄일 계획이다.HV 등을 구동하는 고출력 모터는 강력한 자석을 사용한다. 현재는 65% 정도의 철에 네오디뮴 등의 경희토류와 디스프로슘 등의 중희토류를 섞은 '네오디뮴자석'이 주력으로 사용되고 있다.이 자석은 고온에 약하기 때문에 내열성의 보충으로 디스프로듐을 첨가해서 성능을 유지한다. 하지만 중희토류는 대부분 중국에 의존하고 가격상승의 리스크가 커서 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석의 개발을 진행해 왔다.이번 다이도특수강은 섭씨1천도 정도에서 자석을 태워서 굳히는 일반적인 공법이 아닌 기존의 1/10의 미세한 결정을 제어해 내열성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HV에 사용되는 높은 자력과 모양을 실현한 것이다.혼다는 추가로 자석의 내열성을 높인 로터형상을 설계해서 기존의 자석과 동급의 성능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소형 미니벤에 탑재하는 HV용 모터에 사용되는 네오디뮴자석은 약 900그램으로 기존에는 전체의 7~8%를 차지했던 중희토류가 전혀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가격도 10% 정도 내려갈 것으로 전망된다.혼다는 우선 신형프리드에 채용하고 같은 크기의 신형차에 대한 탑재도 확대한다. 보다 큰 차종에 대한 탑재는 내열성이 더 높아야 한다는 과제가 있기 때문에 채용은 미정이며 연구개발을 진행한다.희토류는 2011년 중국정부의 수출규제에 의해 가격이 급등한 이후, 네오디뮴 등의 경희토류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북미로부터 공급이 증가해 가격은 대폭 낮아졌다.디스프로슘 등 중희토류도 최근에는 급등전의 수준까지 내려갔지만 중국에 편재한 상황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자동차업체 및 소재업체는
-
일본 자동차제조업체인 혼다(ホンダ)는 2016년 다이도특수강과 하이브리드카(HV)의 모터용으로 쓰이는 중희토류를 사용하지 않는 자석을 공동 개발했다고 발표했다.올해 발매하는 신형 미니밴인 '프리드'에 탑재할 계획으로 구동모터에 채용하는 것은 세계 최초이다. 자석을 사용하는 에코카가 증가하는 가운데 중국에 편재해 있는 디스프로슘 등의 중희토류를 사용하지 않는 자석의 채용을 확대하고 조달위험을 줄일 계획이다.
-
2016-03-18[일본] 아이치제강, 아이치현 특수강공장 3월 21일 재가동...1월 8일 심야 폭발사고 영향 1월 9일 가동 중단이후 2개월 만으로 당초 29일 대비 빠른 가동 및 사고전 수준 생산량은 5월 달성 전망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