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탄소배출량"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05▲ 현대제철, 탄소저감 자동차강판 적용[출처=현대제철]현대제철(대표이사 서강현)에 따르면 탄소저감 자동차강판 적용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말 튀르키예 완성차업체인 포드 오토산(Ford Otosan)과 함께 탄소저감 자동차강판 소재로 '포드 투어네오 커스텀' 차량의 '리어 루프 패널' 부품을 찍어내는 프레스 테스트를 진행해 품질 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이로써 현대제철은 기존 고로에서 생산해 공급 중인 자동차강판을 동등한 성능을 내면서도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량은 줄어든 제품으로 전환시키는데 성공했다.프레스 테스트는 금형을 이용해 자동차강판을 차체에 필요한 부품 형태로 만들어 성형성과 표면 품질 등 소재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과정이다.한편 현대제철은 철스크랩 등을 원료로 사용하는 전기로에 고로 쇳물을 혼합해 탄소 배출을 줄이는 '전기로-고로 복합 프로세스' 양산 체제를 준비 중이다.이 프로세스가 상용화 돼 제품을 양산할 수 있는 시점에는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탄소가 약 20% 저감된 제품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현대제철 관계자는 "유럽 상용차 시장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포드 오토산의 <탄소저감 자동차강판 적용 프레스 테스트> 첫 주자로 참여해 적합성을 검증받는 성과를 거두었다"며 "지속적으로 복합 프로세스를 연구개발해 탄소저감 제품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
2024-12-04▲ 현대제철, 탄소저감형 건설강재[출처=현대제철]현대제철(대표이사 서강현)에 따르면 현대건설(대표이사 이한우)와 함께 '탄소저감형 건설강재 사용을 확대함으로써 탄소저감형 건축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탄소중립사회 선도에 앞장서겠다'는 계획을 수립했다.탄소저감형 건축모델 구축의 골자는 건축물의 건설단계에서 탄소배출의 주요인으로 꼽히는 건설자재를 탄소저감 자재로 전환해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것이다.이는 현재 유럽, 미국 등 선진국에서 탄소저감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내재탄소량 저감의 핵심방식이다. 내재탄소량은 건축 원자재의 생산, 운송과 건축 시공, 그리고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말한다.이를 위해 해당 건설모델에는 현대제철에서 생산한 탄소저감형 철근과 형강이 적용된다. 철근과 형강은 건축물의 핵심 건설자재로 이를 탄소저감 자재로 전환할 경우 그 효과가 매우 크다.철근과 형강은 스크랩을 원료로 하는 전기로 방식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태생적인 자원재활용 제품이다. 이는 고로 방식으로 생산되는 여타의 자재에 비해 월등히 낮은 탄소배출량의 특징을 갖는다.특히 현대제철의 철근 및 형강은 같은 전기로 방식으로 생산된 자재 중에서도 한층 낮은 수준의 탄소배출량을 지니고 있다.철근의 경우, 탄소발자국 수치가 0.451 kgCO2e/kg으로 국내 환경성적표지 인증(EPD, 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을 받은 동종 철근 제품군의 탄소배출량 평균값 0.481 kgCO2e/kg (2024년 10월 기준)보다 약 6퍼센트(%) 낮은 값을 보여주고 있다.탄소발자국은 제품의 생산부터 폐기까지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발생량을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값으로 친환경적인 제품인지 평가하는 지표다. 현대제철의 H형강은 0.555 kgCO2e/kg의 탄소배출량을 기록하며 이 또한 국내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받은 동종 형강 제품군의 탄소배출량 평균값인 1.76 kgCO2e/kg (2024년 4차 저탄소제품 기준)보다 약 69% 낮은 수치를
-
▲ 우리금융, 2024 LACP 스포트라이트 어워드 ESG Report 부문 최고등급[출처=우리금융]우리금융그룹(회장 임종룡)에 따르면 2024년 6월 발간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가 세계적인 권위의 ‘미국커뮤니케이션연맹(LACP) 스포트라이트 어워드’ ESG Report 부문 대상(Platinum)을 수상했다.우리금융그룹은 △적합성(Perceived Relevance) △전달력(Overall Narrative) △명확성(Message Clarity) △디자인(Overall Visual Design) △첫인상(First Impression) 등 총 6개 평가항목 중 5개 항목에서 만점을 기록했다.총 99점(100점 만점)을 획득해 ESG 경영 성과를 인정받았다. 특히 가장 우수한 100개 보고서를 선정하는 ‘Top 100 Awards’에서 종합 3위를 차지했다.이번 수상작에는 △‘TCFD 리포트’를 통한 그룹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 및 구체적 실천 전략 △실질적 민생금융 지원 통한 상생금융 실천 △기업 밸류업 활동 강화 등 차별화된 정보가 상세히 담겨있다.참고로 ‘LACP 스포트라이트 어워드’는 세계적 마케팅 조사기관인 미국커뮤니케이션연맹(LACP)이 주관하는 글로벌 시상식이다.포춘 500대 기업을 비롯한 전 세계 1000여개 기업과 정부기관 등이 발간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등을 평가해 수상작을 선정한다.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우리의 ESG 성과 확산을 위한 노력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뜻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투자자와 이해관계자들에게 명확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달하며 진정성 있는 소통을 이어가겠다”라고 밝혔다.
-
2021-07-15영국 건설엔지니어링업체 켈트브레이(Keltbray)에 따르면 각종 현장 검사에 드론을 투입하면서 탄소배출량은 절반으로 줄고 업무 효율성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최근 켈트브레이는 드론공급업체 헬리가이(heliguy)와 파트너쉽을 체결했다. 전력선 구축 사업에 드론을 투입해 설비 상태를 체크하고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전력선 공사는 중간 점검마다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인적 리스크도 따른다. 켈트브레이는 비교적 적은 투자를 통해 드론을 투입했고 그 결과 리스크 없이 업무 효율성이 개선됐다.실제로 드론을 검사 업무에 투입하면서 값비싼 중대형 장비를 쓸 일이 거의 없어졌다. 게다가 검사 인력이 높은 곳을 올라갈 필요 없이 설비의 녹과 결함을 드론이 촬영해 분석할 수 있었다.기존 방식대로 전력선 검사에 장비와 인력을 투입하면 하루에 단 3개의 전기 타워를 검사할 수 있다. 드론을 투입하면 하루에 6개의 전기 타워를 검사할 수 있고 탄소배출량도 45.46% 감소된다.켈트브레이가 사용하는 드론은 DJI의 테라 드론 매핑 소프트웨어 패키지이다. 이외 장비로는 45MP P1 사진 측량용 카메라와 L1 라이다 센서를 사용한다.드론으로 측정된 건설 현장의 매핑은 기본적인 지형, 경사, 경로와 전력선과 건물 사이의 안전거리 등 세부적인 정보들을 3D로 구현할 수 있다.드론이 인프라 검사용으로 활용되는 사례는 앞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간과 비용, 각종 리스크는 줄이면서, 효율성이 높은 드론을 사용하지 않을 현장은 없기 때문이다.▲DJI 테라 드론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영국 옥스포드대학(Oxford)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식품에도 탄소세를 부과해야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특히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식품에 세금을 부과해 소비를 줄이는 방식을 제안했다. 실제 농업, 입업, 토지정리 등이 글로벌 탄소배출량의 21%를 차지한다.따라서 세금부과로 10억톤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 현재 항공산업에서 배출하는 양보다 많은 것이다. 식품섭취를 줄이면 비만 등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어 건강에도 유익하다.
-
▲ 오스트레일리아국립대(ANU) 빌딩 [출처=홈페이지]오스트레일리아국립대(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NU) 연구소의 자료에 따르면 유칼립투스 나무에서 추출한 유칼립투스 오일을 신재생 항공기연료로 제안했다.특히 제트비행기와 미사일 등의 연료로 사용할 경우 탄소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오스트레일리아에 자생하는 800종의 유칼립투스(eucalyptus) 나무 중에서 'mallee'라는 종이 적합하다.
-
▲ 뉴질랜드 정부 로고뉴질랜드의 수도인 웰링턴 시의회는 2001~2015년까지 14년간 웰링턴의 탄소배출량이 2.1%나 감소했다고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대도시의 탄소배출량이 증가 추세인 점을 감안한다면 웰링턴시의 탄소배출량 감소는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말한다.
-
[아제르바이잔] 석유공사 SOCAR, 2016년 3월 바쿠정유공장의 현대화위해 미국 건설엔지니어링업체 Honeywell을 선정...고품질 가솔린의 생산 및 탄소배출량의 국제기준 충족이 목적
-
에너지시스템개발업체 JFE엔지니어링, 2016년 친환경 선박용 디젤엔진 개발... 페리선·순시선 등 이산화탄소배출량이 제한된 선박의 엔진 채용폭을 확대해 수익성을 강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