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전기로"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12-04▲ 현대제철, 탄소저감형 건설강재[출처=현대제철]현대제철(대표이사 서강현)에 따르면 현대건설(대표이사 이한우)와 함께 '탄소저감형 건설강재 사용을 확대함으로써 탄소저감형 건축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탄소중립사회 선도에 앞장서겠다'는 계획을 수립했다.탄소저감형 건축모델 구축의 골자는 건축물의 건설단계에서 탄소배출의 주요인으로 꼽히는 건설자재를 탄소저감 자재로 전환해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것이다.이는 현재 유럽, 미국 등 선진국에서 탄소저감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내재탄소량 저감의 핵심방식이다. 내재탄소량은 건축 원자재의 생산, 운송과 건축 시공, 그리고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말한다.이를 위해 해당 건설모델에는 현대제철에서 생산한 탄소저감형 철근과 형강이 적용된다. 철근과 형강은 건축물의 핵심 건설자재로 이를 탄소저감 자재로 전환할 경우 그 효과가 매우 크다.철근과 형강은 스크랩을 원료로 하는 전기로 방식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태생적인 자원재활용 제품이다. 이는 고로 방식으로 생산되는 여타의 자재에 비해 월등히 낮은 탄소배출량의 특징을 갖는다.특히 현대제철의 철근 및 형강은 같은 전기로 방식으로 생산된 자재 중에서도 한층 낮은 수준의 탄소배출량을 지니고 있다.철근의 경우, 탄소발자국 수치가 0.451 kgCO2e/kg으로 국내 환경성적표지 인증(EPD, 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을 받은 동종 철근 제품군의 탄소배출량 평균값 0.481 kgCO2e/kg (2024년 10월 기준)보다 약 6퍼센트(%) 낮은 값을 보여주고 있다.탄소발자국은 제품의 생산부터 폐기까지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발생량을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값으로 친환경적인 제품인지 평가하는 지표다. 현대제철의 H형강은 0.555 kgCO2e/kg의 탄소배출량을 기록하며 이 또한 국내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받은 동종 형강 제품군의 탄소배출량 평균값인 1.76 kgCO2e/kg (2024년 4차 저탄소제품 기준)보다 약 69% 낮은 수치를
-
2024-11-19▲ 동국씨엠 리본 그린 컬러강판[출처=동국제강]동국제강그룹(회장 장세주) 동국씨엠(대표 박상훈)에 따르면 삼화페인트와 공동으로 ‘리-본 그린 컬러강판’(Recycling Born Green Pre-Coated Metal)에 대해 미국 안전규격 인증기관 UL솔루션으로부터 환경성 주장 검증(ECV, Environmental Claim Validation)인증을 획득했다.ECV 인증은 △재활용·재사용 소재 사용율 △유해 물질 함유율 등 제품 친환경성 주장에 대해 제3자 검증 프로그램을 통해 타당성을 입증해 부여하는 인증 마크다. 재생 소재 함유율에 대한 공정 심사 및 전문 엔지니어 검증 등을 거치는 까다로운 인증으로 분류된다.리-본 그린 컬러강판은 고철을 재활용하는 전기로로 제조한 열연강판에 폐플라스틱 재활용 도료를 접목한 제품이다. 동국씨엠이 삼화페인트와 공동 개발한 세계 최초 기술이다.이번 인증 취득으로 동국씨엠은 리-본 그린 컬러강판 친환경성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했다. 폐플라스틱 도료 함량을 두 배로 높인 점이 긍정 요인으로 작용했다.동국씨엠과 삼화페인트는 2023년 11월 기술 개발을 완료한 후 1년간 폐플라스틱 도료 함량을 2배로 끌어올렸다. 이는 기존 톤당 500ml 페트병 100개 재활용 효과에서 200개 재활용 효과로 재활용성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용도도 기존 가전용에서 건축용까지 확장했다. 건축 외장재는 기후에 직접 노출되고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 물성 조절이 필수적이다. 동국씨엠은 연구를 통해 리-본 그린 컬러강판 건축용 물성까지 모두 충족시켰다.동국씨엠은 이번 인증 취득으로 컬러강판 제품 친환경성이 검증됨에 따라 보호 무역 확산 등 철강 통상 환경 변화 속 수출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동국씨엠은 엘지전자 생활가전에 리-본 그린 컬러강판 적용을 협의 중이다.남돈우 동국씨엠 연구소장은 “탄소 배출 저감형 제품 수요 선제 대응을 위해 전기로 소재를
-
프랑스 페리 및 크루즈 페리 운영기업인 브리타니 페리(Brittany Ferries)에 따르면 2028년까지 전기로 작동되는 '씨글라이더(Seaglider)'를 운항하기로 결정했다. 씨글라이더를 통해 프랑스~영국 또는 영국~프랑스로 가는 시간을 40분으로 단축할 계획이다. 2021년 6월 현재는 해협을 건너 프랑스~영국 또는 영국~프랑스로 가는 5시간짜리 여객선 페리가 운항되고 있다. 씨글라이더는 150명 승객을 시속 180마일의 속도로 수송할 계획이다. 배터리 구동 글라이더 기단은 페리와 수면 사이에 끼인 공기 쿠션, 일명 '지상 효과'를 이용해 운행하도록 설계된다.미국(US)의 스타트업인 리젠트 크래프트(Regent Craft)가 상기 기술을 개발해 씨글라이더를 제작한다. 브리타니 페리는 리젠트 크레프트와 제휴 계약을 맺어 씨글라이더를 도입해 운항할 예정이다.브라타니 페리는 본사는 프랑스이지만 영국 국내에서의 페리 운항사업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또한 영국과 프랑스, 프랑스와 영국 및 아일랜드, 프랑스와 스페인 간의 페리 및 크루즈 페리를 운영해 승객을 실어나른다. ▲페리 운항 노선 (출처 : 브리타니 페리(Brittany Ferries) 홈페이지)
-
뉴질랜드 퀸즈타운레이크 지방정부(QLDC)에 따르면 차량연료로 사용할 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로써 국내에서 새로운 친환경적인 교통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수소경제기술을 위한 테스트베드로 잠재성을 확인할 방침이다. 퀸즈타운레이크는 유명한 관광지로 관광객을 실어 나르는 버스, 트럭, 캐러번 등의 교통수단이 많이 활용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편이다.수소는 배터리 전기, 하이브리드, 바이오연료 등에 비해 우수한 연료로 인식되고 있다. 수력, 태양광, 바람 등을 활용해 생산한 전기로 수소를 만들 계획이다.오스트레일리아 서비스전문기업인 새피어(Sapere Research Group)는 수소를 생산하는 산업이 퀸즈타운레이크의 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퀸즈타운레이크 지방정부(QLDC)의 홈페이지
-
미국 항공우주산업기업 Rocket Lab에 따르면 2018년 1월 21일 뉴질랜드에서 'Still Testing' 이라는 전기로켓을 발사해 성공적으로 궤도에 진입시켰다.2번째 전기 로켓 'Still Testing' 의 발사는 1월 21일 오후 2시 45분경 뉴질랜드 북섬 동부해안에 위치한 마히아(Mahia)반도에서 시작됐다. 8분 30초 후에 성공적으로 궤도에 도달했다.이로써 상업적으로 우주를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뉴질랜드는 성공적인 로켓 발사시스템을 갖춘 국가로 부상했다.▲Rocket Lab 로고
-
2017-05-26일본 전자기기업체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에 따르면 2017년 5월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사업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선박평형수(Ballast Water)는 배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선박 내부에 바닷물을 저장하는 것으로 화물을 싣는 경우 바닷물을 내버리고 내리는 경우 집어넣어 무게중심을 잡는다.이 경우 다른 해역에서 방출된 생물을 통해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당사는 해수의 염분을 전기로 분해해 만들어낸 성분으로 미생물을 처리하는 것이다.전기로 분해하기 때문에 미생물을 분류하는 필터가 불필요해 청소나 교체 등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참고로 파나소닉은 향후 5년간 매출액 100억엔을 목표로 수립했다.▲선박평형수 처리 장치 이미지(출처 : 파나소닉)
-
2017-02-20일본 도요타자동직기(豊田自動織機)에 따르면 2017년 2월 도요타자동차가 전면 개량해 출시한 프리우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V)를 위한 신형 전동 압축기를 개발했다.해당 압축기는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로 주행할 경우 섭씨 영하 10도 정도의 기온에서도 난방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또한 자동차 배터리의 충전성능을 향상시키고 기존 모델에 비해 배터리 용량이 약 2배 늘어났으며 200볼트에서 충전시간을 1.6배 단축시켰다.▲압축기 이미지(출처: 도요타자동직기)
-
일본 화학업체인 세키스이화학공업은 2016년 4월 카본나노튜브를 사용해 열을 전기로 바꾸는 시트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몸 주변의 잔여하는 열로 전기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센서의 배터리교환과 배선공사가 불필요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
[일본] 도쿄제철 우츠노미야공장, 철스크랩 톤당 500엔 인상으로 관동지역내 철 스크랩 구매 톤당 1만5500~1만6500엔 전후...지역 전기로업체 10개 500엔 전후 일제 인상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