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이동통신회사"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차세대 자동차 개발업체인 소니혼다모빌리티 홍보자료 [출처=홈페이지]일본 이동통신회사인 KDDI에 따르면 소니혼다모빌리티(ソニー·ホンダモビリティ)와 글로벌 커넥티드 비지니스에서 협업하기로 합의했다. 소니혼다모빌리티가 개발한 '아피라(AFEELA)'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AFEELA는 모빌리티를 체험하다는 의미의 느낌(Feel)를 활용한 신규 브랜드다. AFEELA는 이동하는 자동차 내에서 5G통신을 활용해 게임, 영화 등 엔터테인먼트를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다.인공지능(AI)을 활용한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DA)과 창의적임 엔터테인먼트 공간을 통합한다. 커넥티드 서비스가 원활하게 작동하려면 대용량, 저지역 통신망이 필수적이다.KDDI와 소니혼다모빌리티는 국내에서와 동일한 서비스를 다른 국가와 지역으로 확장할 방침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다른 국가의 통신사가 제공하는 5G 통신에도 대응해야 한다.자동차 산업은 'CASE'라고 불리는 4개의 영역에서 기술 혁신이 진행 중이다. 예를 들어 C(Connected·케넥티드), A(Autonomous·자동화), S(Shared·쉐어링), E(Electric·전동화) 등이다.참고로 소니혼다모빌리티는 2022년 9월 소니그룹과 혼다자동차가 공동으로 설립했다. 고부가 가치형 전기자동차(EV)를 공동으로 개발 및 판매하고 모빌리티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소니혼다모빌리티는 2025년 AFEELA 서비스를 장착한 양산차를 판매할 예정이다. 2026년 봄부터 북미 소비자에 인도된 이후 2026년 연말까지 국내 소비자도 체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 일본 이동통신회사인 KDDI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이동통신회사인 KDDI에 따르면 2024년 1월1일 지진이 발생한 이시카와현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 위성 광대역 서비스인 스타링크(Starlink) 단말기를 무상으로 제공할 방침이다.지진으로 통신망이 피해를 입어 인터넷이나 전화 등이 불가능한 지역이 많아 이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이다. 특히 노토반도에 있는 대피소에 와아파이(Wi-Fi) 환경을 구축해 피난자들이 무료로 인터넷을 제공할 계획이다.KDDI는 1월6일 NTT도코모와 공동으로 와지마시에 통신을 연결하기 위해 '선상 기지국'의 운영을 시작햇다. 선상 기지국도 통신망으로 스타링크를 이용한다.2022년 10월 미국 스페이스X(SpaceX)의 일본 법인인 스트링크 재팬과 협력해 자연재해 등의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참고로 위성 통신이 가능한 스타링크 단말기는 1대당 5만5000엔이며 통신 요금제는 월 6600엔과 9900엔 2가지 종류가 있다. 스타링크 단말기를 사용하려면 별도의 설치비용도 지급해야 한다.
-
▲ 일본 이동통신회사인 KDDI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이동통신회사인 KDDI에 따르면 2024년 내에 통신 위성과 직접 연결하는 스마트폰을 출시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산간 지방이나 섬의 경우에는 4G LTE와 5G의 통신이 불가능했지만 이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국내 전체 지역에서 '하늘이 보이면 어디서나 연걸된다'는 통신 서비스의 슬로건을 달성할 방침이다. 다른 경쟁업체는 아직 이러한 서비를 계획하지 못하고 있다.KDDI는 미국 스페이스X(SpaceX)와 협력해 위성 통신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스페이스X가 운용하는 스타링크(Starlink)가 KDDI의 au통신망과 연결돼 스마트폰과 LTE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참고로 스페이스X는 2024년 1월3일 스마트폰과 직접 통신서비스가 가능한 안테나를 탑재한 스타링크 위성 6대를 발사했다. 미국의 T-모바일(T-Mobile)도 스페이스X의 위성을 활용해 KDDI와 유사한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
필리핀 정보통신기술부(DICT)에 따르면 2018년 4분기까지 제3이동통신회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현재 PLDT와 클로브텔레콤(Globe Telecom)의 양강체제로서는 소비자를 보호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일부 기업들이 통신시장에 관심을 표명하고 있지만 정부가 제안한 일정은 너무 촉박하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는 중이다. 최소한 2~6개월 정도 연장해 달라고 요구한다.하지만 두테르테 대통령이 2018년 3월까지 제3이동통신회사를 선정하겠다고 공언했기 때문에 더이상 늦추기는 어려운 실정이다.정보통신기술부(DICT)는 2018년 9월26일까지 제안서를 접수할 예정이다. 정부는 소비자 대표, 통신회사의 대표자, 외국 대사관 관계자 등의 의견을 청취해 결론을 내릴 방침이다.현재 관심을 표명하고 있는 국내 업체들은 Converge ICT Solutions, EasyCall Communications Philippines, NOW Corp., PT&T(Philippine Telegraph and Telephone Corp.), TierOne, Transpacific Broadband Group 등이다.해외 업체로는 차이나텔레콤(China Telecom), 한국의 KT Corp. and LG Uplus, 노르웨이의 텔레노(Telenor), 미국의 AT&T를 포함해 일본과 베트남 통신업체도 참가 의향을 표명한 상태다.▲두테르테 대통령 사진(출처 : 대통령궁)
-
2018-06-29필리핀 정보퉁신기술부(DICT)에 따르면 제3이동통신회사를 선택할 기준을 발표했다. 새로운 회사는 가능한 많은 소비자에게 가능한 빨리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향후 5년 동안 필리핀 국민들에게 최소한 평균 속도에 맞는 광대역통신 서비스를 맞춰야 한다. 국민의 30% 이상을 커버하면서 최소 초당 5메가비트의 속도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구축하려면 P400억 페소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통신위원회는 재정부와 주파수를 경매에 부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가장 높은 금액을 적어내는 기업이 선정될 것으로 판단된다.두테르테 대통령은 이동통신시장에 2개 업체가 독점하면서 통신요금이 높게 형성돼 있다고 판단해 제3이동통신 회사를 허가하는 방법으로 경쟁을 유도할 방침이다.▲정보퉁신기술부(DICT)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