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알레르기"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7-10▲ 동아제약 ‘알레르기성 염증완화 도움’ 영유아 피부염 치료제 디판큐어 출시 [출처=동아제약]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백상환)에 따르면 영유아 피부염 치료제 디판큐어를 출시했다. 디판큐어는 스테로이드 성분인 하이드로코르티손과 덱스판테놀을 함유해 알레르기성 염증과 피부 자극 진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하이드로코르티손은 스테로이드 성분 중 가장 저자극으로 우수한 항염 효과가 있다. 덱스판테놀은 피부 자극을 방지하고 피부 재생을 촉진시켜 피부재생과 건조함을 개선한다.영유아는 피부장벽이 얇아 외부 물질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 피부 질환에 쉽게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2023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영유아 다빈도 질병 TOP 20에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포함한 4개의 피부질환이 랭크되며 영유아 피부 질환 영역이 점차 넓어지고 있다.따라서 동아제약은 영유아들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존제 △항생제 △향료 △색소를 무첨가했다. 쉐어버터를 첨가해 부드럽고 끈적임 없는 제형으로 발림성이 좋으며 원터치캡 튜브 형태로 사용이 편리하다.디판큐어는 동아제약의 어린이 피부 외용제 디판라인업 중 하나다. 동아제약은 △디판테놀(피부염/기저귀 발진) △디판큐어(알레르기성 염증/가려움) △디판버그(벌레물림) △디판셉틱(상처) 라인업을 구성해 어린이 피부 질환별 증상에 맞는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디판큐어는 일반의약품으로 가까운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다.동아제약은 "피부염 증상 완화와 보습력까지 챙긴 디판큐어는 야외 레저 활동이 늘어나는 여름철 영유아를 둔 가정에 꼭 필요한 상비 의약품이다"며 "우수한 성분과 보관이 편리한 디판큐어로 알레르기성 피부염으로부터 우리 아이 피부 건강을 챙기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
▲ 일본 요코하마시(横浜市) 전경 [출처=위키피디아]일본 요코하마시(横浜市)에 따르면 2026년도 시내 모든 중학교에서 전원 급식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카나자와구의 카나자와산업진흥센터 부지에 국내 최대 급식공장을 신설한다.2023년 8월 사업자 공모를 통해 민간공장과 함께 공급 체제를 준비했다. 기존 공장과 새로 신설하는 공장에서 1일 약 8만1000식을 제공할 예정이다. 학생과 교직원 모두가 급식 대상이다.예를 들어 새로운 공장은 하베스트넥스가 건설을 담당하며 1일 약 2만8000식을 조리해 4시간 이내에 남부 7구의 56개 학교에 배송한다.공장의 조리 라인은 2개로 구분되며 급작스러운 고장이 발생해도 대처가 가능해지도록 배치할 방침이다. 각종 알레르기를 가진 학생을 위한 도시락을 조리할 수 있는 전용 공간도 만든다.요코하마시는 도시락은 조리 후 4시간 이내에 배송해야 한다는 위생관리 기준을 정했다. 배송 과정에서 부패하거나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
최근 국가기술표준원은 어린이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액체괴물’ 100개 제품을 리콜조치했다. 붕소, 방부제(CMIT∙MIT), 프탈레이트 가소제 등 유해물질이 검출됐기 때문이다. 단순 알레르기와 같은 피부질환을 넘어서 간과 신장 등 장기손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물질이다.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만화, 게임, 영화 등의 주인공이나 등장인물을 장난감으로 만들어 판매하는 것은 장난감 제조사들의 대표적인 상술이다. 겨울왕국2(Frozen 2)와 같은 미국 애니메이션이 개봉할 예정이라 각종 캐릭터와 장난감도 수 없이 시장에 쏟아져 아이들의 구매를 부추길 것으로 전망된다.어린이 장난감의 안전을 평가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K-Safety 진단모델’을 적용해 보면 다음과 같다.▲ K-Safety 진단 모델로 어린이 장난감 종합평가 결과 [출처=iNIS]◇ 안전사고의 70%는 가정에서 발생해 부모의 관찰이 중요백과사전을 찾아보면 장난감은 ‘어린아이들이 노는데 쓰는 여러 가지 놀이도구’로 정의돼 있다. 하지만 최근 키덜트(kidult)라고 유년 시절에 갖고 놀던 장난감, 만화, 과자, 의복 등에 대한 향수를 버리지 못해 성인이 되어서도 유사한 취미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구매력이 높은 성인들이 장난감 시장에 기웃거리면서 키덜트 시장 규모도 커지고 있다.장난감을 어린이용 장난감과 성인용 장난감으로 구분해야 하는 이유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17년 6월 기준 3년간 14세 이하 어린이 장난감 안전사고는 총 4,336건으로 연평균 1,445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품목별로 보면 완구류에 의한 사고는 3,113건으로 72%, 놀이장비 및 액세서리류가 664건으로 15%, 블록 및 조립완구류가 470건으로 11%, 휴대용 게임용구류가 68건으로 2% 등으로 나타났다.사고가 발생한 장소를 구분해 보면 가정이 2,953건으로 68%, 여가 및 문화놀이시
-
오스트레일리아 슈퍼마켓체인운영 대기업인 울워스(Woolworths)에 따르면 인기 있는 잉햄(Ingham’s Enterprises Pty Ltd)의 칠면조 가슴살 로스트제품을 리콜 조치한 것으로 드러났다.포장재가 섞이면서 소비자가 잠재적인 우유 알레르기 유발 항원에 노출될 가능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고객들에게 이 제품을 섭취하지 말고 구입처로 반품하고 전액 환불 받도록 알렸다.뉴사우스웨일즈(NSW)주, 빅토리아(Vic)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SA)주, 노던테리토리(NT)주 등 울워스매장에서 2019년 3월19일부터 판매된 제품에는 우유가 들어갔다. 참고로 잉햄은 국내 최대 닭고기 및 칠면조 고기 가공식품업체이다.▲'잉햄의 칠면조 가슴살 로스트' 제품(출처 : 홈페이지)
-
일본 외식체인업체인 알레프(アレフ)는 2016년 9월 자사 운영 햄버거점인 빗쿠리동키에서 음식알레르기를 고려한 햄버그상품을 발매한다고 발표했다. 원료로 유제품과 밀가루가 아닌 쌀가루 등을 쓴다.상품의 원료에 대한 문의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알레르기에 대응한 제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신상품은 우유, 밀가루, 달걀을 쓰지 않는 햄버그로 가격은 기존 상품과 동일하다.
-
일본 가구업체 이케아재팬(イケアジャパン)은 2016년 알레르기물질 중 ‘우유’ 표시가 불충분한 국내 8개 점포에서 판매하는 초콜렛을 회수했다고 밝혔다. 다크초콜렛과 카카오70% 다크초콜렛 등 2종류로 약 72만 개가 회수대상이다.
-
스웨덴가구업체인 이케아재팬(イケア・ジャパン)은 2016년 국내 8개 점포에서 판매하는 초콜릿을 자발적으로 회수한다고 발표했다.알레르기 물질 가운데 '우유'에 대한 표시가 미흡했던 것이 이유다. 4월에 9세 남아가 먹고 알레르기 반응이 나왔다고 고객이 알려옴에 따라 회수조치를 결정한 것이다.
-
일본 치바대학(千葉大学)은 2016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샌디애고캠퍼스와 공동으로 감염 및 알레르기의 신형 백신을 개발한다. 면역력향상과 감염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