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안전기준"으로 검색하여,
1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2-01-25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상훈)에 따르면 전기차 보급 활성화를 위해 선제적 안전기준을 마련하기로 결정했다. 전기차 무선충전기의 시장 출시가 적기에 이뤄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무선으로 전기차를 충전하는 무선충전 기술을 상용화하려면 실증사업을 진행해야 한다. 그동안 전기차 무선충전기에 대한 안전기준이 없어 실증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따라서 국표원은 제정작업이 진행 중인 IEC국제표준(안)을 토대로 지난 2021년 9월부터 예비 안전기준 마련에 착수했다. 12월중 예비안전기준을 우선 제정해 실증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지원할 예정이다.또한 모발 손질기기, LED조명기기 등 32개 품목의 안전기준을 개정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제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원격 자동복구 누전차단기와 같은 융복합 신제품의 출시도 지원하기로 했다.특히 고데기와 같은 모발 손질용 제품은 사용 중 부주의로 인해 가열판에 얼굴·손 등이 닿아 화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발열이 없는 손잡이 부분을 시각·촉각적으로 식별되도록 규정하고 주의사항을 기재토록 할 계획이다.천장조명, 전기스탠드 등의 LED 조명기기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청색광 노출로 인해 사용자의 눈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제품별로 청색광 위험등급에 따라 관리하고 주의사항을 표시하도록 관련 안전기준을 개정할 예정이다.원격 자동복구 누전차단기는 낙뢰 등으로 인하여 무인 통신중계소·기지국 등의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 원격으로 정전복구가 가능한 제품이다.하지만 현행 안전기준에는 관련 규정이 없어 현장에 적용할 수 없었으나 개선하기 위해 규제샌드박스 임시허가를 진행 중으로 `22년 상반기 중 안전기준을 개정해 현장의 불편함을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국가기술표준원 이상훈 원장은 "신산업 활성화와 융복합 신제품 출시를 지원하는 한편, 위해 제품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한다는 제품안전의 기본 취지를 지켜나가겠다."고 밝
-
인도 식품안전기준청(FSSAI)은 식품첨가물에 대한 안전기준 강화로 고부가가치 시장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영양강화를 통해 프리미엄 우유도 생산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새로운 규정에 따르면 우유에 770개 종류의 비타민A, 550개 종류의 비타민D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식용유도 15개 종류의 비타민A, 비타민 D 등에도 넣을 수 있게 됐다.
-
2016-05-29태국 최대 축산업체인 CPF(Charoen Pokphand Foods)는 식품축제인 'THAIFEX - WORLD of Food ASIA 2016'에 참석해 고품질의 통조림제품을 대거 선보였다고 밝혔다. 지속가능한 주방을 목표로 식품안전기준을 향상시킬 방침이다.
-
2016-05-20베트남 식품보건안전부는 7개의 생수업체의 물이 식품안전기준을 위반했다고 발표했다. 거명된 기업은 ▲NP Bottled Water Benefits ▲SUPER bottled water ▲Rooster bottled water 등이다.
-
인도 과학기술부가 40초 이내에 우유순도를 측정하는 새로운 스캐너 개발해 보급... 인도식품안전기준청(FSSAI)은 2011년 기준 우유 68%의 순도가 법정기준에 부적합하다고 판정
-
베트남 식품위생안전국(ATVSTP), 2016년 3월 현재 호치민시에 총 518개의 생수 생산공장 및 영업소 존재... 2015년 적발한 식품안전기준 미달 시설은 총 128곳·이중 58개시설이 부과받은 벌금 총 4억5100만 동 이상
-
[태국] 이스턴폴리머그룹(EPG), 2015년 4~12월까지 제품개발과 혁신에 투자한 금액 1억바트...2016/17년까지 글로벌 안전기준에 맞추기 위해 EPG 산하 3개 그룹에 투자
-
베트남 식품위생안전국(ATVSTP), 시판 생수 조사결과 식품안전기준 미달 사례 많자 생수 공장에 특별지시... 1단계서 물질적·화학적·세균관련 14개 요소검사 및 2단계서 필터링 후 병에 추출하기 전 28개 요소검사 실시 지시
-
인도 정부, 2014/15년 3월 시판 중인 우유·생수의 품질검사 결과 23%가 '식품안전기준 미충족'으로 평가... 대부분 생산업체의 설비·위생 등 시스템 미비와 안전의식 결여가 주요인
-
러시아 농업부, 우유 생산업체들에게 2016년 3월부로 수의안전문서 발급 지시... 새로 변경된 낙농제품 안전기준에 따르지 않을 경우 생산 중단 명령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