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시멘트협회"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인도네시아 시멘트협회(ASI)에 따르면 2017년 1~5월 국내 시멘트 소비량은 2526만톤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에 비해 4.1% 증가됐다.해당기간 부동산 및 SOC 인프라 개발사업이 활성화되면서 국내 시멘트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동시에 시멘트 수출량도 크게 확대됐다.현재 조코위도도 대통령이 강조한 공공주택 및 물류인프라 프로젝트로 건설업이 성장하고 있다. 시멘트 수출량도 연간 목표치 대비 약 50%에 달했다.참고로 국영시멘트업체 PT Semen의 주관으로 국내에 시멘트 공장 2개가 추가로 건설되고 있으며 최대 시멘트 생산지역으로 수마트라가 급부상하고 있다.해당 협회는 향후 5년간 국내 시멘트 생산량이 약 200만톤 증가될 것으로 전망했다. 2017년 4000만톤, 2021년 4200만톤으로 각각 추산했다.
-
인도네시아 시멘트협회(ASI)는 2016년 상반기 국내 시멘트 판매량이 2948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다고 발표했다.6월 단월 판매량은 511만 톤으로 1.8% 증가했으며 주요인은 제련소 및 발전소 건설이 견인했다고 밝혔다. 또한 인프라 건설 사업이 진행 중인 자바섬 이외의 지역에서 수요증가도 두드러졌다.ASI측에 따르면 6월 국내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1.8% 증가한 511만 톤이다. 지역별로는 술라웨시섬이 전년 동월 대비 25.7% 증가한 43만4000톤으로 최대 성장을 기록했다.이어 ▲파푸아 9.1% 증가 12만4000톤 ▲수마트라 8.4% 증가 108만 톤 등이었으며 감소한 지역은 ▲칼리만탄 11% 감소 31만5000톤 ▲발리 3.3% 감소 27만7000톤 ▲자바 1.5% 감소 288만 톤 등이다.협회측은 상반기에도 국내 시멘트 시장의 공급과잉 현상이 보였기 때문에 앞으로도 수입없이 국내산으로 충당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인도네시아 시멘트협회(ASI) 홈페이지
-
인도네시아 시멘트협회(ASI)는 2016년 상반기 국내 시멘트 판매량이 2948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2016년 6월 단월 판매량은 511만 톤으로 1.8% 증가했으며 제련소 및 발전소 건설이 성장을 견인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