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3
" 석유공사"으로 검색하여,
12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1979년 3월 설립된 한국석유공사(KNOC)는 국내외 석유 자원을 개발해 안정적인 석유 수급을 도모하고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설립 목적으로 한다. 2023년 12월 말 기준 16개국의 32개 사업을 통해 일일 13만5600배럴의 석유·가스를 생산한다고 밝혔다.주요 사업으로는 △석유개발 사업 △석유비축 사업 △유통 구조 개선 사업 △저탄소 신에너지 사업 △국내 탐사 사업 등을 운영한다.석유공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석유공사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2013년 윤리경영평가 요약... 세계적인 메이저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보다 부정부패 의지가 높아◆ Leadership(리더십, 오너/임직원의 의지)석유공사는 설립목적을 달성하기 위해‘GREAT KNOC 3020’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 세운다. GREAT 는 Globalization, Respect, Ethics, Action, Trust라는 5가지의 가치를 의미하며, 3020은 2012년까지 일 생산량 30만 배럴, 매장량 20억 배럴 확보라는 계량적인 목표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세계적인 석유메이저로 도약하기 위한 정당한 수익성 확보와 윤리적 위험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윤리경영 목표로 정했다. 윤리경영 추진전략은 개인차원, 시스템 차원, 조직문화 차원 등 3가지 차원으로 구분돼 있다. ◆ Code(윤리헌장) 윤리헌장은 정직하고 공정한 자세로 업무 처리, 국민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 상호신뢰와 협력관계 구축, 임직원의 인격을 존중하고 차별대우 금지,
-
2025-04-16▲ 한전, 베트남과 손잡고 원전 및 신사업 협력 강화(응우옌 안 투안(Nguyen Anh Tuan) 베트남전력공사 회장과 김동철 한전사장)[출처=한국전력공사]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에 따르면 2025년 4월11일(금)부터 14일(월)끼지 김동철 사장이 베트남을 방문해 베트남 정부, 국영 기업들과 원자력 발전 및 에너지 신사업 분야에서 폭넓은 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한전은 4월11일(금) 베트남 하노이에서 양국 정부 관계자, 한전 및 팀코리아, 원전 유관기관 등 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원전 및 전력 신기술 파트너십 워크숍’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한전을 포함한 팀코리아는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사업의 경험과 주요 성과를 소개하고 베트남의 주요 관심 분야인 원전 사업구도, 재원조달, 금융지원제도, 인력양성, 기술이전 등에 대해 설명하고 이에 대해 상호 논의했다.김동철 사장은 4월14일(월) 양국 장관급 협의체인 한-베 산업공동위원회에 참석해 베트남 정부 및 산업계 고위 인사들과 면담하고 한국의 베트남 원전 사업 참여 의지를 표명하며 적극적인 협조와 지원을 요청했다.이번 산업공동위원회에서 한전은 베트남송전공사(EVNNPT)와 전력망 및 에너지 신사업 분야 MOU를 체결하고 초고압 직류 송전)HVDC), AC 송전망 구축 및 운영 등 전력망 전반에 대한 공동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더불어 한전은 베트남 주요 국영 에너지 기업 회장과의 면담을 통해 양국 간 파트너십을 한층 강화하는 성과를 거뒀다.베트남 닌투언-1 원전사업자인 베트남전력공사(EVN) 및 닌투언-2 원전사업자인 베트남석유공사(PVN) 회장과의 면담을 통해 한국의 원전사업 역량을 적극 홍보하고 향후 원전사업 추진을 위한 합동 워크샵 개최 등 후속 조치를 취해 나가기로 했다.또한 탄소저감 기술, 지능형 디지털 발전소(IDPP) 등 에너지 전환을 위한 신기술 분야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한전, 베트남과 손잡고 원전 및 신사업 협력 강화(김동철 한
-
2024년 10월7일 개최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국석유공사는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에 관련된 이슈를 곤혹스러워했다. 의원들이 각종 의혹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척박한 땅에서 세계 10위 무역 대국으로 성장한 우리나라는 세계사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빠른 경제성장을 달성했다.태양광·풍력·조력·수력·지력 등 신재생 에너지원을 개발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중이지만 에너지 자립 국가로 부상하려면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1859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에서 석유 채굴을 위해 유정을 굴착한 이후 인류는 에너지원을 석탄에서 석유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1908년 이란 마스제드 솔레이만에서 석유가 발견되며 중동은 강대국의 자원쟁탈 전장으로 전락했다.세계 2차 대전 이후 아랍에서 민족주의 바람이 불고 세계 각국이 석유자원 확보에 국운을 걸면서 석유는 전쟁의 불쏘시개로 부상했다.우리나라는 1·2차 오일 쇼크를 경험한 후 1979년 한국석유개발공사를 설립했다. 1999년 한국석유공사(KNOC)로 개칭한 이후 자원외교 실패로 영욕의 세월을 견디고 있다.▲ 한국석유공사의 경영혁신 관련 핵심 이슈 [출처=iNIS]◇ 무차별 해외 자원개발 투자로 자본 잠식... 에너지 안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생존 가능해1978년 12월 시작된 2차 오일 쇼크는 중화학 중심의 산업화에 전력을 기울이던 우리나라 경제에 큰 타격을 입혔다. 정부는 자체적으로 해외에서 석유탐사·개발·생산·비축·유통에 관련된 사업을 영위할 필요성을 체감했다.‘에너지 안보와 탄소전환을 선도하는 글로벌 에너지 기업’이라는 비전을 정립한 석유공사의 경영이 실패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우선 한국전력공사·한국수력원자력·한국가스공사 등의 에너지 관련 공기업과 마찬가지로 내부에서 승진된 인사가 1명에
-
2025-02-04▲ 인도 트리베니 엔지니어링(Triveni Engineering & Industries Ltd)의 설탕 제조공정 이미지[출처=트리베니 엔지니어링 홈페이지]2025년 2월4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방글라데시를 포함한다. 인도 트리베니 엔지니어링의 회계연도 2025년 3분기 운영이익은 160억3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한 실적을 나타냈다.방글라데시 파트마 오일의 2024년 7월~12월 6개월 간의 매출은 24억9000만 타카로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했다.◇ 인도 트리베니 엔지니어링(Triveni Engineering & Industries Ltd), 회계연도 2025년 3분기 순이익 Rs 4억26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69% 감소인도 설탕 및 주류 생산업체 트리베니 엔지니어링(Triveni Engineering & Industries Ltd)는 2024년 12월31일 마무리된 분기에 대해 순이익 Rs 4억2600만 루피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순이익 13억7400만 루피와 비교해 69% 감소했다.반해 회계연도 2025년 3분기의 운영이익은 160억3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155억3600만 루피보다 3% 확대됐다. EBITDA는 19억300만 루피에서 60% 하락한 7억7100만 루피다.◇ 방글라데시 파드마 오일(POCL), 회계연도 2024-25년 2분기 매출 Tk 12억5000만 타카로 전년 동기 대비 76% 증가방글라데시 석유공사(BPC, Bangladesh Petroleum Corporation)의 자회사 파드마 오일(POCL, Padma Oil Company Limited)의 회계연도 2024-25년 2분기 매출은 Tk 12억5000만 타카로 전년 동기 대비 76% 증가했다.2024-25년 2분기 영업이익은 2억6000만 타카로 전년 동기보다 800% 이상 급증한 실적을 보였다. 2024년 7월부터 12월까지의 매출은 24억9000만 타카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와 비교해 53% 성장했다.
-
▲ 2024년 9월 샤르자 국제공항 국제 자유무역지대(SAIF Zone)는 보석전시회인 방콕 젬&주얼리 페어(Bangkok Gems and Jewelry Fair)에 참여했다. [출처=SAIF Zone 홈페이지] 2025년 1월21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의 서비스와 정부 정책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샤르자(Sharjah)의 함리야 자유무역지대(HFZA)에 따르면 2024년 동안 유치한 기업 및 사업체 수는 900곳으로 집계됐다.사우디아라비아 상업부(MOC)에 따르면 2024년 4분기 동안 시행한 조사 건수는 20만건 이상으로 집계됐다.◇ 아부다비 국영석유공사(ADNOC), 2024년 아랍에미리트에서 가장 가치 있는 브랜드로 평가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국영석유공사(ADNOC)에 따르면 2024년 아랍에미리트에서 가장 가치 있는 브랜드로 평가됐다. 7년 연속으로 1위를 유지했다.영국 마케팅 컨설팅 회사인 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는 ADNOC가 2024년 글로벌 석유 및 가스 브랜드 순위는 6위로 집계했다.글로벌 대형 석유 기업인 토탈에너지(TotalEnergies)와 BP(BP plc) 등을 인수하며 2023년과 비교해 2순위 상향했다.2025년 ADNOC의 브랜드 가치는 US$ 189억 달러로 2024년과 비교해 25% 증가했다. 2017년과 대비해 300% 급증한 것으로 중동 지역에서 2번째로 가치가 높은 브랜드로 조사됐다.아랍에미리트 샤르자(Sharjah)의 함리야 자유무역지대(HFZA)에 따르면 2024년 동안 유치한 기업 및 사업체 수는 900곳으로 집계됐다. 특히 중동과 아프리카의 철과 강철 제조업 부문 기업체를 유치한 것으로 조사됐다.샤르자 국제공항 국제 자유무역지대(SAIF Zone)은 2024년 동안 국제 및 국내 기업 700곳을 유치했다. 금과 보석류, 원석 산업의 지역 투자처로서의 입지를 강화했다.금 정제소 55곳과 금속 제조 및 무역에 특화된 기업체가 205곳 이상을 유치해 걸프협력회의(GCC
-
▲ 케냐 몸바사(Mombasa) 항구에 도착한 연료 선박. [출처=우간다석유공사(UNOC) 엑스(X) 계정] 2024년 8월 4주차 우간다 경제는 유통을 포함한다. 우간다 국영석유기업인 우간다석유공사(UNOC)에 따르면 연료 수입분 부족으로 탄자니아에도 추가로 석유를 수입했다.○ 우간다 국영석유기업인 우간다석유공사(UNOC)에 따르면 연료 수입분 부족으로 탄자니아에서 추가로 석유를 수입했다.2024년 7월부터 케냐 몸바사(Mombasa)항에서 우간다 수도 캄팔라(Kampala)로 직접 연료 수입을 시작했음에도 내수 수요를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이다.추가 비용을 들여 탄자니아 다르에스살람(Dar es Salaam)에서 추가로 연료를 수입해 국내 석유 수요 17만4000톤(MT)를 충족시킬 계획이다.우간다 국내의 1일 석유 제품 소비량은 700만 리터로 전년 대비 7% 상승했다. 경제가 회복되며 석유 소비량이 확대되는 중이다.
-
▲ 케냐 몸바사(Mombasa) 항구에 도착한 연료 선박. [출처=우간다석유공사(UNOC) 엑스(X) 계정] 2024년 8월28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이집트와 남수단, 우간다의 통계를 포함한다. 남수단 국영 석유 및 가스 회사인 나일 석유(Nilepet)에 따르면 중국 성리 유전 키어 건설회사(Sokec)와 현대식 석유 정제소 및 저상 시설 건설 계약을 체결했다.우간다 국영석유기업인 우간다석유공사(UNOC)에 따르면 연료 수입분 부족으로 탄자니아에도 추가로 석유를 수입했다.◇ 이집트 관광청(ETA), 2024년 관광객 1500 만명 초과에 관광 매출 US$ 140억 달러 이상 전망이집트 관광청(ETA)에 따르면 2024년 관광객 수는 1500만 명을 초과하고 관광 매출은 US$ 140억 달러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2023년 관광객 수가 역대 최고 기록인 1490만 명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1월부터 7월까지 관광객 수가 800만 명을 상회했기 때문이다.2024년 상반기 관광 매출은 66억 달러로 전년 동기간 63억 달러와 비교해 상승했다. 2024년 상반기 관광객 수는 706만9000명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남수단 나일 석유(Nilepet), 중국 성리 유전 키어 건설회사(Sokec)와 현대식 석유 정제소 및 저상 시설 건설 계약 체결남수단 국영 석유및가스 회사인 나일 석유(Nilepet)에 따르면 중국 성리 유전 키어 건설회사(Sokec)와 현대식 석유 정제소 및 저상 시설 건설 계약을 체결했다.앙해각서(MoU)를 체결하며 남수단의 석유 인프라시설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이다. 근시일에 투자를 진행해 생산량과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기존 석유시설 현황을 살피기 위해 Sokec 측에서 유니티 주(Unity State) 타지아스(Tharjiath)의 유전을 방문했다.◇ 우간다 우간다석유공사(UNOC), 연료 수입분 부족으로 탄자니아에서 추가로 석유 수입우간다 국영석유기업인 우간다석유공사(UNOC)에 따르면 연료 수입분 부
-
▲ 파키스탄 레이디즈 펀드 에너지(Ladies Fund Energy) 홍보 이미지[출처=레이디즈 펀드 에너지 홈페이지]2024년 8월 2주차 파키스탄 경제는 팍스즈키의 카라치 공장 가동 무기한 중단, 국영석유회사의 실적, 수전력개발청의 수력발전 프로젝트를 다룬다.○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스즈키의 파키스탄 법인 팍스즈키(Pak Suzuki Motor Company Limited, PSMCL)는 2024년 8월9일 완전분해조립(Completely-Knocked Down, CKD) 방식에 대한 승인이 지연됨에 따라 카라치 공장 가동을 무기한 중단했다.PSMCL에 따르면 자사 공장 폐쇄로 인해 몇십억 상당의 억류 및 연체료를 충당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 생산 및 판매 부족으로 인해 정부는 관세와 세금을 잃고 있다고 분석했다.파키스탄 자동차제조업체협회(PAMA)와 자동차부품조합(PAAPAM) 등은 정부로 하여금 2021-2026년 자동차 정책을 따를 것을 요구했다.○ 파키스탄 국영석유공사(PSO)의 회계연도 2022-23 재정비용은 Rs 434억 루피로 전년 대비 628% 증가했다. 순이익은 Rs 98억2000만 루피로 90% 감소했다.PSO의 마케팅 및 관리 비용이 24% 증가했음에도 휘발유, HSD, furnace oil의 가격은 각각 17%·25%·94%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매출 총이익은 Rs 848억1000만 루피로 전년 Rs 1780억 루피와 비교해 53%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Rs 740억 루피로 55% 감소했다.이는 회계연도 2023-24년을 위한 회계연도 2022-23년 연례 회계 검사를 출처로 한다.○ 파키스탄 레이디즈 펀드 에너지(Ladies Fund Energy)는 후사이니 고아원 지붕에 24kW(킬로와트)를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을 설치했다. 파키스탄에서는 최초로 여성 기술자들이 솔라루프를 설치한 것이다.레이디즈 펀드 에너지의 기술자 28인은 NED공학기술대학교
-
▲ 코트라(KOTRA) 빌딩[출처=홈페이지]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코트라, 사장 유정열)에 따르면 2024년 8월12일 서울특별시 강남구 염곡동 KOTRA 본사 국제회의장에서 해외사무소를 운영하는 12개 공공기관과 ‘해외사무소 내부통제 선진화를 위한 감사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공동 협약식에는 한국가스공사, 한국관광공사, 한국국제협력단, 한국남부발전,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석유공사, 한국전력기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한전KPS,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 12개 공공기관의 감사, 감사실장 등 주요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했다.공동 협약식에서는 △해외사무소에 대한 감사기법 공동 개발 △우수사례 벤치마킹 △부패취약 분야 내부통제 강화방안 △교차·합동감사 등 감사협력제도 모색 △주재국 주요 법규 공유 등을 통한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해외사무소는 주재국별로 제도와 법규가 다양해 본사 차원의 통제와 관리가 어려운 측면이 있다. 따라서 이번 협약식은 공공부문 감사 강화가 요구되는 글로벌 추세를 반영했다.12개 공공기관 상임감사 및 주요 관계자들이 함께 모여 해외사무소에 대한 내부통제 체계를 고도화하고 감사역량 강화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
2024-08-08▲ 쿠웨이트 국영석유공사(KPC) 국제 자회사인 KPI(Kuwait Petroleum International, Q8)의 이탈리아 자회사 모습. [출처=Q8 홈페이지]2024년 7월 중동 광업 주요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의 광업 통계를 포함한다.독일 시장조사업체인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천연가스회사인 사우디 아람코(Aramco)의 석유 및 가스 보유 규모 예상치는 2590억 배럴로 입증된 보유 규모 면에서 글로벌 1위 기업으로 평가했다. ○ 아랍에미리트 석유 및 가스 탐사업체인 샤르자석유공사(SNOC)에 따르면 이머지(Emerge Ltd)와 샤르자에 60MWp 태양열 발전소 건설을 시작했다.샤르자에서 가장 대규모의 태양열 발전소 계획으로 건설 위치는 SNOC의 사자 가스 시설(Sajaa Gas Complex)이다. 향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연간 6만6000톤(t)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랍에미리트 칼리파 경제구역 아부다비(KEZAD 그룹)에 따르면 KEZAD A구역인 알 마모우라(Al Ma’mourah)에 새로운 천연가스 네트워크를 개발했다.새롭게 개발된 천연가스 네트워크의 총 길이는 30킬로미터(km)로 전체 수용량은 하루 31만1100MMBTU이다.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가스 네트워크 82km와 연결된다. 자본 투자금은 AED 3억 디르함(US$ 8167만달러)로 집계됐다.○ 독일 시장조사업체인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천연가스회사인 사우디 아람코(Aramco) 석유 및 가스 보유 규모 예상치 2590억 배럴로 입증된 보유 규모 면에서 글로벌 1위로 드러났다. 2016년부터 2023년까지 이익 US$ 7162억 달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쿠웨이트 국영석유공사(KPC) 국제 자회사인 KPI(Kuwait Petroleum International),는이탈리아
1
2
3
4
5
6
7
8
9
10
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