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보육"으로 검색하여,
1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21▲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 미혼모자시설 등에 TV·쇼파 등 기부[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강한승·박대준)에 따르면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가 2025년 3월19일(수) 경기도 용인시 소재 미혼모자시설 ‘생명의 집’과 한부모가족시설 ‘모성의 집’을 방문해 최신 대형TV·쇼파·테이블·놀이매트·유모차 등을 기부했다.CLS는 미혼모자시설 등에 TV·쇼파 등을 기부해 새단장을 돕고 산책로 조성 등 환경개선 봉사를 진행했다. 지원 물품은 산모와 영유아들에게 필요하고 도움이 되는 물품으로 구성됐다.이번 활동으로 해당 시설들의 노후화된 일부 시설이 최신시설로 교체됐다. 산모와 영유아들의 편안한 휴식을 돕는 공간에 널찍한 쇼파 3개와 테이블 2개를 설치했다.거실에는 대형 놀이매트를 설치해 아이들이 안전하게 놀 수 있는 공간을 조성했다. 교육과 상담을 진행하는 프로그램실엔 대형TV(86인치)를 설치했다. TV와 쇼파·테이블·놀이매트는 쿠팡과 CLS의 ‘로켓설치’ 서비스를 통해 설치됐다. 성 빈센트 드뽈 자비의 수녀회 ‘생명의 집’은 출산 여건이 열악해 어려움에 처한 미혼모를 돕기 위해 설립된 미혼모자시설이다.또한 임산부 출산, 양육, 자립은 물론 미혼모 아동의 양육보호까지 지원하며 아이와 산모의 미래를 상담하고 설계하는 곳이다. 한부모가족시설 ‘모성의 집’ 또한 미혼모자가족의 생활안정 및 자립기반을 지원 중이다.임산부들이 안전히 다닐 수 있도록 경사로 평탄화 등 산책로를 조성하고 환경 미화 등 생활환경 개선 지원에도 나섰다. 홍용준 CLS 대표이사를 비롯한 CLS 임직원 26명이 참여했다.CLS는 2024년에도 후원금 지원이 넉넉지 않았던 양로원과 아동보육시설 등을 찾아 생활공간을 새단장을 지원하고 최신 물품으로 교체하는 기부 및 봉사를 해왔다.
-
2025-01-02▲ 하나금융그룹 로고[출처=하나금융그룹] 하나금융그룹 함영주 회장이 2025년 신년사를 발표했다. 다음은 신년사 전문이다.사랑하는 하나가족 여러분!2025년, 을사년(乙巳年)의 희망찬 새아침이 밝았습니다. 올 한 해도 하나가족 모두 지혜롭고 유연한 마음으로 뜻깊은 성과를 이루고, 건강과 행복이 함께하기를 기원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24년! 세상을 향한 하나의 진심경상북도 봉화군은 대한민국에서도 대표적인 인구 과소지역입니다. 여기에 어린이집을 짓겠다고 했을 때, 많은 이들이 의아한 시선을 보냈습니다.그러나 우리는 그곳에 단 한명의 아이만 있더라도 그 아이가 누려야 할 양질의 보육환경은 반드시 필요하다 믿었습니다.나아가 이러한 보육인프라가 저출생과 지방 인구소멸이라는 국가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마중물이 될 수 있다면 그 도전은 충분히 가치 있는 일이라 생각했습니다.그렇게 6년이라는 시간과 15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 ‘하나의 진심’이 결실을 맺으며 ‘100호 어린이집 건립 프로젝트’의 대장정이 마무리됐습니다.자영업자, 소상공인, 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민생금융 지원에도 소홀히 하지 않았습니다. 대출이자캐시백, 수수료와 보증료 지원, 청년 창업가를 위한 사무공간 임차비용을 비롯해 취약계층 에너지 비용 지원까지 약 3500억원 규모의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성실히 이행했습니다.또한 개인사업자 고금리 대출, 위기 징후 중소법인의 금리 감면 등 기존에 시행중인 상생금융 프로그램 역시 지속하며 우리 사회의 기업시민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하나금융그룹에 대한 시장의 평가도 확연히 달라진 한 해 였습니다. 연초대비 주가가 큰폭으로 상승하며 오랜 기간 지속된 저평가 국면에서 벗어나 최고점을 갱신했습니다.이러한 변화는 지주 설립이래 글로벌 금융위기를 제외하고, 국내 금융지주사중 유일하게 매년 중간배당을 실시하고, 업계 최고 수준의 배당수익률을 꾸준히 유지해온 우리의 진심 어린 주주환원정책이
-
▲ 시즈오카현(静岡県)의 위치(출처 : 구글맵)일본 시즈오카현 마키노하라시 가와사키보육원(川崎幼稚園)에 따르면 통원버스 여아 사망 사건의 책임으로 9월 말 부원장이 퇴직 의사를 표명했다. 해당 보육원에 다니는 3세 여아는 9월5일 통원버스 내에서 5시간 동안 방치돼 열사병으로 사망했다. 당시 통원버스 운전을 담당한 이사장 겸 원장은 먼저 사임한 상황이다. 부원장은 2021년 7월 후쿠오카현의 보육원에서 5세 원아가 통원버스 내에서 사망한 사건이 일어났음에도 메뉴얼을 재검토하지 않은 책임을 지고 싶다고 말했다. 원아의 결석을 빠르게 부모에게 문의하지 않은 담임 선생님도 퇴직 의사를 표명했다. 9월23일 진행된 보호자 설명회에서 10월3일부터 보육원 운영을 재개할 방침이지만 안전이 확보되기 전까지 통원버스 운행은 중단된다.통원버스 운행이 재개하면 보육원에서 200미터 떨어진 주차장을 사용하지 않고 보육원 근처에 주차하는 것으로 변경할 방침이다.
-
일본 도쿄도 특별구인 가쓰시카구(葛飾区)에 따르면 사립 인가 보육원에 오지급된 보조금 총 약 5억엔의 전액 반환을 요구했다. 당초에는 구측의 실수이기에 보조금을 적절하게 이용한 보육원에는 청구하지 않을 계획이었다. 반환 규모가 수천만엔인 보육원도 있어 기한 연장을 검토하고 있다. 이번 반환 요구는 구에서 파트타임 보육사 고용 지원금을 잘못 계산했음이 2022년에 발견됐기 때문이다. 2018년에서 2021년까지 4년간 약 70곳의 보육원에 약 5억1000만엔 과다 지급됐다. 민법상 보육원이 받은 지원금이 부당이득이 될 수 있기에 전액 반환으로 방침을 수정했다. 행정 소송 가능성과 당장 금액을 마련하기 어려운 보육원의 사정을 고려해 특례 조치를 도입하는 등 신중하게 조치할 방침이다. ▲가쓰시카구(葛飾区)의 구장인 Katsunori Aoki가 발표하는 장면(출처 : 구 홈페이지)
-
1980년대부터 전세계를 휩쓴 신자유주의는 시장 참여자들의 무한 자유와 경쟁을 추구했다. 개인과 기업은 능력에 따라 마음껏 부를 축적할 수 있었지만 양극화의 비극을 피하지는 못했다.한국은 1997년 IMF 외환위기 이후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면서 신혼집을 구하지 못한 청년들이 결혼을 기피했고, 결과적으로 출산율의 저하로 이어졌다.과감한 결단으로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아도 맞벌이 가정은 정상적인 보육은 꿈도 꾸기 어렵다. 양가 부모가 아이의 보육을 떠맡아주면 좋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높은 비용을 들여 가정 보모를 구하거나 어린이집에 아이를 보내야 한다.어린이집은 만 0~2세 아이들의 보육을 담당하는 교육시설이다. 어린이집의 안전을 평가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K-Safety 진단모델’을 적용해 보면 다음과 같다.▲ K-Safety 진단 모델로 어린이집 종합평가 결과 [출처=iNIS] ◇ 후진적 유형의 안전사고가 많아 ‘오늘도 무사히’라고 기도할 수밖에 없어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 동안 어린이집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는 총 3만7,369건으로 집계됐다. 1일 평균 20.5건이 발생했으며 사망사고만 38건에 달했다. 2014년에는 5,827건을 기록했지만 2016년 8,539건으로 늘어났다가 2017년 8,467건, 2018년 7,739건으로 점차 줄어들고 있다.동기간 발생한 안전사고의 유형은 부딪힘, 넘어짐, 끼임, 떨어짐과 같은 낙상사고, 화상사고, 이물질 삽입사고, 통학버스 교통사고, 식중독∙급식 사고 등으로 나타났다.낙상사고가 2만8,618건으로 전체의 76.6%를 점유했다. 원인 미상인 사고도 6,891건으로 18.4%나 차지해 안전사고 관리가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았다.담당공무원과 관계자 모두 안전사고가 줄어드는 이유를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어린이집 보육교사와 원장에 대한 안전사고 관리요령 교육에 효과를 발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또한 안전사고
-
미국 글로블 소프트웨어 업체인 마이크로 소프트(MS)에 따르면 중국 동부의 장시성 난창(南昌)에 인공지능(AI)과 가상현실(VR)을 중심으로 한 창업보육센터를 설립했다.창업보육센터를 통해 MS 클라우드, 모바일 기술 인큐베이션 프로그램을 신생 기업 및 기존 제조회사에 서비스할 방침이다. 관련 기술기업에 교육 및 기타 지원이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장시성은 중국 최초의 VR 산업기지를 설립해 가상현실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현실과 흡사한 가상 3D 환경을 시뮬레이트하기 위해 헬멧과 안경이 사용된다.아직까지 시장이 활성화되지는 않았지만 VR은 교육, 훈련, 의학, 게임, 관광 및 온라인 쇼핑에 널리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중국의 VR 시장은 2017년 ¥160억위안, 약 $US 2억7000만 달러에 도달했다. 전년 대비 164 퍼센트 증가됐으며2020년까지 900억 위안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China-Microsoft-Innovation Center▲ 마이크로소프트의 학생 멤버 실습 프로젝트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교육사업체 이볼브(Evolve)에 따르면 자사의 가정 내 보육 사업인 Porse를 출시하고 판매할 예정이다. 2018년 2월 매출액이 예상치에 크게 못미쳐 이를 확대하기 위한 목적이다.현재 Porse는 전체 사업에서 5%이하를 점유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다른 홈 기반 사업은 유지할 방침이다. 2014년 공모로 NZ$ 1억3200만달러를 확보해 보육 및 가정 지원사업을 인수했다.2014년 기업공개(IPO) 당시 주식가격은 주당 1달러를 기록했지만 현재는 52센트로 하락했다. 지난 2월 사업 불확실성이 높아진 이후 주가는 20% 정도 추락했다.▲이볼브(Evolve) 로고
-
독일 경영컨설팅기업 롤랑 베르제(Roland Berger)에 따르면 중국 육아용품 서비스 산업이 2020년 3조6000억위안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또한 2015~2020년까지 연간 성장률은 1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에서 제 4차 베이비붐이 도래하고 있기 때문이다.지난 1980~1990년대에 태어난 중국인들이 결혼 및 출산 적령기를 맞이 했으며 2016년 중국의 한 자녀정책 폐지로 인해 출산률 상승이 예상된다.중국의 경제성장으로 소득수준이 상승하면서 육아용품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것도 주요인이다. 따라서 관련 업계의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롤랑 베르제(Roland Berger) 홈페이지
-
2016-12-07▲ 일본 통신서비스업체 소프트뱅크 로고일본 통신서비스업체 소프트뱅크(ソフトバンク)에 따르면 2016년 12월 보육산업에 정보통신기술(ICT)을 도입하는 새로운 회사 ‘hugmo’를 설립했다.당사는 보육사나 보호자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으로 아이의 건강상태나 활동내용 등을 직접 연락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해 부담경감, 질의 향상, 효율화 등이 목적으로 한다.
-
경제협력기구(OECD)의 자료에 따르면 뉴질랜드를 취학 전 아동 보육비 30개국 중 두 번째로 높은 국가로 선정했다. 첫 번째는 영국이다. 뉴질랜드 부모들은 가계수입의 29%를 취학 전 자녀의 보육비로 지출하고 있다. 이는 오스트레일리아의 2배, 스웨덴의 6배 보다 많다. 첫 번째인 영국 부모들은 33.8%나 사용한다. 그러나 뉴질랜드 교육부는 OECD 보육비 비교가 공정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3세~5세 사이의 아동에 대한 20시간 무료 보육비가 누락됐기 때문이다. 논란에도 불구하고 뉴질랜드의 실질적인 보육료는 계속해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OECD report: NZ one of the most expensive places to have preschoolers 23NZ is the second most expensive country for daycare, the OECD says.PHIL CARRICK/AFRNZ is the second most expensive country for daycare, the OECD says.New Zealand is one of the most expensive places to raise preschoolers, according to an OECD report.Kiwi families have to pay some of the highest amounts for childcare, in the western world, the report finds.New Zealand rated the second most expensive country for childcare in most of the western world, second only to the United Kingdom.However the Minister of Education disputed the findings, saying the OECD data was flawed.READ MORE:* Future costs of schooling tipp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