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모래"으로 검색하여,
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07▲ 인천항만공사 CI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www.icpa.or.kr, 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2025년 4월7일(월)부터 5월22일(목)까지 인천광역시 남항 모래부두 운영사 선정 모집공고를 실시한다.공사에 따르면 수도권 해사(海沙) 물류의 중심인 모래부두는 1996년 조성된 이후 수도권 건설산업의 거점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인천항 해사 물동량의 대부분을 처리하고 있다.대상시설은 전체 면적 1만2934제곱미터(㎡)로 모래부두 1선석, 에이프런(Apron) 900㎡, 비포장 야적장 1만2034㎡이며 연간 사용료는 약 3800만 원이다. 참고로 에이프런은 부두 배후에 있는 화물의 하역작업을 위한 크레인 작업공간을 말한다.이번 공고는 인천항에서 바다 골재 채취허가 승인을 받은 업체를 대상으로 추진된다. 해운·항만, 건설, 회계 등의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통해 사업계획서를 평가하고 우선협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협상 대상자로 선정된 운영사는 공사의 부두운영조건에 따라 시설을 개선하고 선정일로부터 2개월 이내에 부두운영을 시작해야 한다.공고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공고 안내문의 △입찰자격 △사업계획서 제출절차 △사업계획서 평가 기준 △시설물 운영 조건 등 세부사항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자세한 공고 내용은 공사 홈페이지(정보공개-입찰정보-항만 입찰정보 안내) 또는 온비드(www.onbid.co.kr)에 게시된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인천항만공사 김상기 운영부문 부사장은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통해 적합한 운영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많은 기업의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
▲ 왼쪽부터 아룬 히라난다니 처치앤드와이트 부사장과 강용수 동원F&B DNB본부장이 동원그룹 본사에서 업무협약을 맺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출처=동원F&B]동원F&B(대표이사 김성용)에 따르면 글로벌 소비재 기업 처치앤드와이트(Church&Dwight)와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동원F&B는 2025년 3월12일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동원그룹 본사에서 처치앤드와이트와 반려동물용품 브랜드 암앤해머(Arm&Hammer)의 국내 독점 공급계약을 맺었다.이날 행사에는 강용수 동원F&B DNB본부장과 아룬 히라난다니(Arun Hiranandani) 처치앤드와이트 부사장 등 양사 임직원들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에 따라 동원F&B는 고양이 모래를 비롯한 암앤해머의 반려동물용품을 국내에 단독으로 판매한다. 암앤해머는 17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미국 1등 베이킹 소다 브랜드다.북미와 유럽 등 탄탄한 유통망을 바탕으로 주방, 청소, 반려동물용품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동원F&B는 향후 탈취제, 산책용품 등 전반적인 반려동물제품으로 제품군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1991년부터 30년 이상 반려묘용 습식캔을 만들어 일본, 미국 등으로 수출하고 있는 동원F&B는 펫푸드를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제품군 확장과 생산설비 증설 등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동원F&B는 "동원만의 펫푸드 제조 역량과 수출 확대에 힘입어 글로벌 소비재 기업과 협업 관계를 맺게 됐다. 앞으로도 믿을 수 있고 우수한 품질의 펫푸드와 반려동물용품들을 선보일 것이다"고 밝혔다.
-
▲ 필리핀 신 마닐라 국제공항(NMIA)의 모습[출처=신 마닐라 국제공항 페이스북]2024년 8월28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을 포함한다.말레이시아 트로피카나 퍼스트와이드(Tropicana Firstwide Sdn Bhd)는 일본 NTT데이터그룹(NTTグループ) 자회사를 대상으로 조호루바루 지역의 토지 27.7헥타르를 3억8300만 링깃에 매각하고자 한다.필리핀 산 미구엘 그룹(SMC)는 원자재 부족으로 인해 신 마닐라 국제공항(NMIA)의 건설이 지연됨에 따라 수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기존에 투자한 7356억3000만 페소에서 추가적으로 비용을 들일 계획이다.◇ 말레이시아 트로피카나 퍼스트와이드, 조호루바루 지역 토지 3억8300만 링깃에 매각말레이시아 트로피카나 코퍼레이션(Tropicana Corporation Bhd)의 자회사 트로피카나 퍼스트와이드(Tropicana Firstwide Sdn Bhd)는 조호르바루 겔랑 파타 지역의 자유보유 토지 27.7헥타르를 3억8300만 링깃에 매각한다. 대상은 일본 NTT데이터그룹(NTTグループ) 자회사다.트로피카나는 이번 거래에 대해 데이터 센터 개발과 관련된 자국의 엄격한 토지 요건을 준수하면서도 디지털 경제를 위한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역량을 보여준 것이라고 분석했다.전기와 및 수자원 인프라를 지닌 전략적 토지를 제공하는 기업으로서 데이터 센터 운영자 혹은 다국적 기업(MNC)들과 파트너십을 맺는다. 트로피카나는 조호르에 728에이커스(약 294만6111m²)의 땅을 소유하고 있다.◇ 필리핀 산 미구엘 그룹(SMC),2028년 1분기로 신 마닐라 국제공항(NMIA) 완공 연기돼필리핀 산 미구엘 그룹(SMC)에 따르면 신(新) 마닐라 국제공항(NMIA)의 건설 지연에 대응하기 위해서 기존에 투자한 7356억3000만 페소에 더해 더 많은 금액을 투자할 방침이다.2023년 SMC은 대통령으로부터 마닐라 베이에서의 토지 개간 프로젝트를 중단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매립에 사용했던
-
삼국시대부터 한민족이 가장 사랑한 술은 탁주라고 불리는 막걸리다. 일제 강점기 동안 조선총독부가 주세법을 제정해 허가 없이 술을 빚지 못하도록 통제하자 밀주가 성행했을 정도다. 과거 전국 방방곡곡에 막걸리를 제조하는 소규모 술도가가 산재했지만 제대로 된 브랜드를 가진 곳은 드물었다.경기도 포천시는 지명보다 ‘이동 막걸리’와 ‘이동 갈비로 더 잘 알려진 도농복합도시다. 6·25 전쟁 당시 북한군과 치열하게 교전을 벌였던 강원도 철원군과 인접해 군부대가 많이 배치돼 있다. 각종 규제로 수도권에서 밀려난 중소형 공장이 둥지를 틀며 난개발이 진행돼 골머리를 앓고 있다.포천가구단지로 유명한 포천시는 2029년 지하철 7호선이 연장되면 서울특별시 강남지역까지 1시간 이내에 도달할 수 있어 새로운 도약의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6·1 지방선거에서 포천시장 후보자가 제시한 선거공약을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가 개발한 ‘오곡(五穀)밸리혁신(5G Valley Innovation)-선거공약’ 모델을 적용해 평가해 봤다. ◇ 시장은 공약보다 소속 정당으로 당선역대 민선 포천군수·시장은 이진호·박윤국·서장원·김종천·백영현이다. 민선1·2기 군수 이진호는 경찰공무원으로 공직생활을 시작했으며 3대 경기도의원을 거쳤다. 3기 군수와 3·4·7기 시장을 지낸 박윤국은 1대 포천군의원과 4대 경기도의원으로 정치적 기반을 닦았다.4기 보궐·5·6기 서장원은 2·3대 포천군의원으로 민심을 얻은 후 박윤국과 경쟁하며 성장했다. 서장원은 6기에 불미스러운 행동으로 유죄 판결을 받아 시장직을 상실했다. 6기 보궐 김종천은 2·3대 포천시의원을 지냈으며 다양한 시민단체에서 활동했다. 8기 백영현은 포천시 공무원으로 퇴직한 후 7기부터 시장직에 도전하
-
자회사 급여차별 심각… 6월 7명 입사에 6명 퇴사끊임없는 비리… ESG경영 나섰지만 성과는 미미경상남도 울산시가 특정공업지역으로 지정되면서 1963년부터 운영을 시작한 울산항은 원자재 반입과 제품 수송을 담당한다. 올해 기준 부산항에 이어 국내 두 번째로 큰 규모를 자랑하며 울산본항·미포항·온산항·울산신항으로 구성돼 있다.미포항이 현대중공업 부지 내에 위치해 조선업을 지원하는 것처럼 개별 항구는 배후 공업단지의 수출입 화물을 처리한다. 울산항은 자동차·조선·석유화학을 기반으로 성장했지만 이른바 ‘중후장대’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쇠퇴하며 성장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울산항만공사(UPA)는 2007년 7월5일 항만공사법에 따라 울산항의 개발 및 관리·운영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설립됐다. UPA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스카이데일리·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 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UPA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윤리·인권경영에 필요한 규범 정립지난해 6월 UPA는 지속 가능한 ESG 경영 선포식을 개최하고 2025년까지 공기업 ESG 경영 선두주자로 발돋움하기 위한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했다. 추진 전략은 2020년을 도입기로 보고 2021~2022년 정착기, 2023년 이후를 성숙기로 나눴다.2007년 공정한 업무·부패방지·깨끗한 클린 UPA 구현을 위해 윤리헌장을 제정한 후 5회 개정했다. 윤리경영위원회 운영지침·감사규정·감사규정 시행세칙·임직원 행동강령·임원
-
2016-03-16[방글라데시] 북부도시 사이드푸르(Saidpur) 경찰, 니팔마리(Nilphamari) 소재의 강에서 불법으로 모래 채취를 한 사업가에 대해 벌금 5만타카 부과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