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매트릭스"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미국의 화가겸 발명가인 새뮤얼 핀리 브리즈 모스(Samuel Finley Breese Morse)는 1844년 모스 부호(Morse Code)를 개발했다.모스 부호는 짧은 발신 전류와 긴 발신 전류로 전신부호를 구성한 후 문장으로 만들어 송수신한다. 도달 거리가 상상한 것보다 길고 정확한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다.대부분의 국가에서 모스 부호의 사용을 중단했지만 아직도 북한, 중국, 한국 등 일부 국가에서 명맥을 유지 중이다. 어찌되었건 모스 부호의 등장으로 인편이나 봉화, 파발 등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시대는 종말을 고했다.◇ 6G 통신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 원격의료 및 자율주행자동차 등 미래 기술 실현 가능1세대 이동통신(1G)은 음성통화만 가능한 아날로그 통신을 말하며 1980년대 초반에 등장했다. 1990년대 초반부터 2세대 이동통신 기술(2G)이 개발됐으며 1996년 한국에서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했다.2G는 디지털 통신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음성통화 외에 문자메시지, e메일까지 가능해졌다. 3세대 이동통신(3G)은 영상통화, 인터넷 사용까지 허용한다. 4세대 이동통신(4G)은 이동전화 하나로 유/무선 전화, 위성통신, 무선랜, 디지털 방송 등이 연동된 서비스를 제공한다.5세대 이동통신(5G)은 4G와는 차원이 다를 정도로 속도가 빠르다. 원격진료,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 통제, 원격수술 등이 가능해졌다.6G는 5G보다 약 100배 빠른 속도를 제공하도록 초당 최대 1Tbps(테라비트)의 전송 속도를 목표로 하며 지연 시간은 1밀리초 이하로 감소된다.이를 통해 6G 통신망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 원격 의료, 고해상도 실시간 스트리밍과 같은 서비스가 더욱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특히 6G는 5G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테라헤르츠(THz) 대역까지도 활용할 계획이다. 초광대역 대역폭을 통해 더욱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확보할 수 있지만 고주파는 더 짧은 거리에서 신
-
미국 소셜 NFT 플랫폼 니프티(Nifty)에 따르면 워너 브라더스(Warner Bros)와 협력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매트릭스 아바타(Matrix Avatars)를 출시하기로 결정했다.양사의 NFT 프로젝트는 2021년 연말 상영 예정인 워너 브라더스의 매트릭스 4번째 영화 '매트릭스 : 부활(The Matrix: Resurrections)'을 홍보하기 위한 목적이다.12월 중순 판매를 시작으로 아바타 구매자들은 파란색 알약과 빨간색 알약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매트릭스의 평범헌 사람을 닮은 기본 아바타들이 랜덤 형태로 생성된다.파란색 알약을 선택한 구매자의 아바타는 현재의 상태와 디지털 환경에 고정된다. 반면 빨간색 알약을 선택한 구매자의 아바타는 매트릭스 저항군의 전투가로 변환된다.향후 니프티는 지속적인 플랫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NFT를 획득하고 구매자의 아바타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미션을 추가할 계획이다. 구매자의 온라인 활동 커뮤티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다.영화계 역시 다양한 기업들이 NFT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Fox는 NFT부서를 신설하고 $US 1억달러를 투자했으며 블록체인 기반 애니메이션 시리즈 출시, WWE와 NFT 파트너십을 체결해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했다.디즈니 역시 VeV와 손을 잡고 디지털 수집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워너브라더스는 블록버스터 영황 Dune 상영을 앞두고 NFT를 출시했다.최근 대형 영화 프로모션 캠페인의 일환으로 개봉에 NFT를 출시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주요 프로덕션 기업들이 NFT 분야에 속속 진출하고 있는 것이다.▲ 영화 매트릭스 4(매트릭스:부활)의 홍보영상중 한 장면(출처 : 워너 브라더스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