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마쯔다 자동차"으로 검색하여,
2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인 마쯔다주식회사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자동차 제조업체인 마쯔다주식회사(マツダ株式会社)에 따르면 2030년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을 2013년도 대비 69% 삭감할 계획이다. 2050년 공급체인 전체에서 탄소중립을 실현하려는 목표를 정했다.2030년 경영방침은 에너지절약노력, 재생가능에너지 도입, 탄소중립연료의 도입 등 3가지다. 국내공장과 사업소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실천 전략을 수립 중이다.에너지절약노력은 설비투자를 판단하며 인터널 카본 프라이싱을 도입한다. 장래의 탄소 가격을 고려해 CO2 배출량 삭감의 효과가 높은 방안에 투자를 늘린다. 기존에 실시한 생산 및 인프라 영역을 포함한 전사 영역이 대상이다.재생가능에너지 도입은 히로시마현에 있는 본사공장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 연료를 석탄에서 암모니아로 전환한다. 또한 전력회사로부터 비화석으로 생산한 전력의 구입을 추진할 방침이다. 2030년 기준 비화석 잔기사용 비율을 75%로 설정했다.탄소중립연료의 도입은 사내 수송 등에 사용하는 차량의 연료를 경유에서 차세대 바이오연료 등으로 전환한다. 연료전환이 곤란한 에너지원은 CO2 흡수를 촉진하는 산림보전, 재조립 등에 투자하며 보완할 계획이다.마쓰다자동차는 자동차 제조업체로서 자동차 제조, 운행, 폐차 등 전과정에서 CO2 배출량을 줄여 지구온난화 억제에 공헌할 예정이다. 아름다운 지구와 영속적으로 공존할 수 있는 미래를 실현하기 위함이다.현재 히로시마자동차산학과 제휴 등을 통해 2035년 글로벌에서 운영하고 있는 모든 공장에서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도전을 멈추지 않고 있다.
-
일본 도요타자동차에 따르면 마쯔다자동차와 공동으로 미국 앨라배마주 헌츠빌에 총 투자규모 $US 16억달러의 신공장을 건설하기로 합의했다.새롭게 신설되는 공장은 2021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규 채용규모는 약 4000명, 연간 생산능력은 30만대에 달한다.도요타의 승용자동차 '코롤라'와 북미시장에 투입되는 마쯔다의 신형차종을 각각 15만대씩 생산하게 된다. 마쯔다는 지난 2012년 미국 생산에서 철수한 이후 약 9년만에 다시 미국 시장에 진출하게 됐다.▲ Japan_Toyota motors_Logo▲도요타자동차 로고
-
일본 마쯔다자동차의 중국법인 마쯔다차이나(马自达中国)는 2016년 9월 중국 내 신규 자동차 판매량이 2만9043대로 전년 동월 대비 48.7% 증가 및 4개월 연속 판매기록을 경신했다고 밝혔다.또한 8월 신차판매량 2만3635대 대비 5408대 늘어났으며 전월 증가율 47.9% 대비 0.8%P 증가했다.중국이치자동차그룹(中国第一汽车集团公司)과 합작한 이치마쯔다(一汽马自达)의 판매량이 1만43대로 전년 동월 대비 53.4% 증가했다.창안자동차(长安汽车)와 합작한 창안마쯔다(长安马自达)의 9월 판매량은 1만9000대로 전년 동월 대비 46.3% 늘어났다.2016년 1~9월 총 판매량은 19만1711대로 전년 동기 대비 14.1% 확대됐다. 아텐자(Atenza), 악셀라(Axela), CX-5가 시장 주도했으며 신형 SUV CX-4투입에 따른 판매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다.특히 9월에는 마쯔다3 악셀라(Axela), SUV CX-4 등의 견인으로 판매세가 급증했다.▲ China_Mazda China_Homepage 2▲마쯔다차이나(马自达中国) 홈페이지
-
일본 마쯔다자동차의 중국법인 마쯔다차이나(马自达中国)는 2016년 9월 중국 내 신규 자동차 판매량이 2만9043대로 전년 동월 대비 48.7% 증가 및 4개월 연속 판매기록을 경신했다고 밝혔다.또한 8월 신차판매량 2만3635대 대비 5408대 늘어났으며 전월 증가율 47.9% 대비 0.8%P 증가했다. 2016년 1~9월 총 판매량은 19만1711대로 전년 동기 대비 14.1% 확대됐다. 마쯔다3 악셀라(Axela), SUV CX-4 등이 판매를 주도했기 때문이다.▲ China_Mazda China_Homepage 2▲마쯔다차이나(马自达中国) 홈페이지
-
일본 마쯔다자동차의 중국법인 마쯔다차이나(马自达中国)에 따르면 2016년 8월 중국시장의 자동차 판매량은 2만3635대로 전년 동월 대비 47.9% 급증했다. 3개월 연속 증가했다.또한 8월 판매량은 7월 신차판매량 2만1510대 대비 2125대 늘어났으며 전월 증가율 30.2% 대비 17.7%P 확대됐다.2016년 1~8월 총 판매량은 16만2668대로 전년 동기 대비 9.6% 늘어 났다. 7월과 마찬가지로 아텐자(Atenza), 악셀라(Axela), CX-5가 시장을 주도했으며 신형 SUV CX-4투입으로 판매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China_Mazda China_Homepage 2▲마쯔다차이나(马自达中国) 홈페이지
-
베트남 자동차산업협회(VAMA)의 자료에 따르면 베트남시장에서 마쯔다의 마쯔다3 세단이 가장 인기 있는 모델인 것으로 드러났다.매월 800대 이상이 판매되고 있으며 라이벌인 혼다 시빅과 토요타의 코롤라 등과 비교해서도 인기를 더 끌고 있다.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가장 인기있는 차는 토요타의 코롤라이며 2016년 상반기 동안 전세계에서 63만4298대가 판매됐다.
-
일본 자동차업체 마쯔다(Mazda PH)의 자료에 따르면 JD파워가 평가한 2016년 필리핀 고객서비스지수(CSI)는 845점으로 1위를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필리핀에는 약 50개에 달하는 자동차와 트럭업체들이 경쟁하고 있다.JD파워가 발표한 고객서비스지수(CSI)는 822점으로 2015년 837점에서 하락했다. 201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며 1000점이 만점이다. 2위는 혼다로 831점, 3위는 니산으로 827점을 각각 기록했다.
-
싱가포르 육상교통청(LTA)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상반기 신차등록대수 승용차부문에서 일본업체가 1~3위를 독점했다.상세 내용을 살펴보면 1위는 토요타의 '코롤라'가 2816대였으며 이어 마쯔다 '마쯔다3'가 1791대, 닛산의 '캐시카이'가 1641대로 각각 2, 3위였다.한국 현대자동차의 '엘란트라'가 1154대로 4위를 차지했으나 5위는 다시 토요타의 '위시'로 1036대를 기록했다.LTA에 따르면 상반기 전체 신차등록대수는 4만3423대로 전년 동기 대비 68 % 증가했으며 1위는 토요타, 2위는 혼다였다.▲싱가포르 육상교통청(LTA) 홈페이지
-
싱가포르 육상교통청(LTA)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상반기 신차등록대수 승용차 부문에서 일본업체가 1~3위를 독점했다.1위는 토요타 '코롤라'였으며 마쯔다의 '마쯔다3'와 닛산의 '캐시카이'가 각각 2, 3위로 뒤를 이었다. 4위는 한국 현대자동차의 '엘란트라'가 차지했으나 5위는 다시 토요타의 '위시'로 나타났다.
-
일본 자동차제조업체인 마쯔다(マツダ)는 2016년 7월 픽업트럭의 자사개발 및 생산을 철수한다고 발표했다.태국공장에서 다루는 'BT-50'의 생산을 수년 후에 종료하고 이스즈자동차로부터 OEM조달로 전환한다. 철수로 인해 발생하는 연 4만대 정도의 생산여력은 다목적스포츠차량(SUV)로 돌린다. 세계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SUV에 경영자원을 집중하기 위한 목적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