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83
" 국제"으로 검색하여,
82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남아프리카공화국 소매업체인 픽엔페이(Pick n Pay)의 슈퍼마켓에 위치한 테이크어랏(Takealot)의 물품 배송 픽업 포인트(Pickup Points)의 모습. [출처=테이크어랏 홈페이지]2025년 7월31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물류와 금융, 통계를 포함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전자상거래 기업인 테이크어랏 그룹(Takealot Group)에 따르면 2025년 7월 국제 무역에 집중한 새로운 자회사인 TFS(Takealot Fulfilment Solutions)를 론칭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싱크탱크인 PMBEJD(Pietermaritzburg Equity Justice and Dignity)에 따르면 2025년 7월 브라이 지수(Braai Index)는 2025년 6월 대비 0.9%로 근소하게 감소했다. ◇ 남아공 스탠다드 은행, 2025년 고객 평균 매월 식품 배달 및 포장 지출액 R 775랜드 집계남아프리카공화국 전자상거래 기업인 테이크어랏 그룹(Takealot Group)에 따르면 2025년 7월 국제 무역에 집중한 새로운 자회사인 TFS(Takealot Fulfilment Solutions)를 론칭했다.그룹의 로지스틱과 공급체인, 국제 화물 물류 등을 담당할 계획이다. 남아공 국내의 전자상거래 기업에서 기술 기반의 글로벌 풀필먼트(Fulfilment)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풀필먼트(Fulfilment)는 물류업에서 고객의 주문에 맞춰 물류 창고 포장에서 배송까지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새로운 독립 사업체를 통해 수입과 수출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남아프리카공화국 은행 기업인 스탠다드 은행(Standard Bank)에 따르면 2025년 고객 평균 매월 식품 배달 및 포장 지출액은 R 775랜드로 집계됐다. 식료품과 슈퍼마켓의 포장 음식 지출은 제외했다.주요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 14개와의 금융 거래를 기준으로 산출되었다. 은행 이용객의 대부분이
-
▲ 국정원, 사이버 서밋 코리아(CYBER SUMMIT KOREA) 제1기 서포터즈 모집 포스터 [출처=국가정보원]국가정보원(원장 이종석, 이하 국정원)에 따르면 2025년 9월8일(월)부터 11일(목)까지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국제사이버안보행사 'CSK 2025' 홍보활동을 수행할 서포터즈를 모집한다.CSK(CYBER SUMIMIT KOREA) 2025는 국정원과 국가보안기술연구소(NSR)과 공동 주최하는 행사다. 선발된 서포터즈는 2025년 8월부터 9월까지 약 1개월간 CSK 홍보 콘텐츠 제작 및 온라인 홍보활동을 하게 된다.서포터즈 모집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으며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CYBER SUMMIT KOREA 제1기 서포터즈 모집 • 지원자격 : 사이버안보에 관심 있는 누구나• 모집일시 : 2025년 7월 30일(수) ~ 8월 5일(화)• 주요활동 : CSK 홍보 콘텐츠 제작 및 온라인 홍보활동• 활동기간 : 2025년 8월 ~ 9월(약 1개월)• 활동혜택 : 소정의 활동비 지급, 서포터즈 활동 수료증 수여 등• 지원방법 : 첨부된 지원서(첨부1) 및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첨부2)를 작성하여 이메일(csk.supporters@ncsc.go.kr) 제출• 합격발표 : 8월 8일(금) * 개별연락• 발대식 : 8월 12일(화) * 별도공지▲ 국정원, 사이버 서밋 코리아(CYBER SUMMIT KOREA) 포스터 [출처=국가정보원]
-
2025-07-29▲ 동국제강그룹이 최근 재매입한 페럼타워 [출처=동국제강그룹]동국제강그룹(회장 장세주)에 따르면 철강법인 2개사 동국제강(대표이사 최삼영)과 동국씨엠(대표이사 박상훈)이 2025년 2분기 잠정 실적을 밝혔다.동국제강은 2분기 K-IFRS 별도 기준 매출 8937억 원, 영업이익 299억 원, 순이익 92억 원을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 각각 23.2퍼센트(%), 603.1%, 274.6% 상승했고, 전년 동기 대비는 5.0%, 26.1%, 60.3% 감소했다.상반기 누적 기준 매출 1조6192억 원, 영업이익 342억 원, 순이익 116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3%, 63.3%, 77.8% 감소한 수치다.동국제강은 상반기 야간가동·제한출하·셧다운 등 생산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디케이 그린바’(DK Green Bar), ‘디-메가빔’(D-Mega Beam) 고부가 철강재를 개발하고 수출 조직을 신설하는 등 수요 침체에도 수익성을 유지했다.동국제강은 장기화된 업황 불황에도 차입 등 부채 축소 관리를 지속해 왔으며 분할 시점 대비 낮은 부채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동국제강은 안정적인 현금창출력을 기반으로 재무적 탄력성을 유지하며 전략적 투자와 성장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다.동국씨엠은 2분기 K-IFRS 별도 기준 매출 5018억 원, 영업적자 150억 원, 순손실 276억 원을 기록했다. 전분기대비 매출 4.7% 감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모두 적자 전환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0.8% 감소,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적자 전환했다.상반기 누적 기준 매출 1조284억 원, 영업이익 1억 원, 순손실 179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 8.1% 감소, 영업이익 99.9% 감소, 순이익은 적자로 전환했다.동국씨엠은 열연강판 반덤핑 제소로 인한 원가 변동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 어려워 수익 악화를 겪었다. 건설 가전 등 철강 전방 산업 업황 부진 장기화 및 주요 수출국 관
-
2025-07-29▲ 동국제강그룹 본사 페럼타워 [출처=동국제강그룹]동국제강그룹 동국제강(대표이사 최삼영)에 따르면 2025년 7월25일(금) 임시이사회를 통해 서울특별시 중구 수하동 소재 ‘페럼타워’(Ferrum Tower) 매수를 의결하고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매도·매수측 상호 입회하 ‘부동산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동국제강은 당일 공시를 통해 삼성생명으로부터 유형자산 페럼타워를 6450억6000만 원에 취득해 10년 만에 페럼타워를 되산다.페럼타워는 동국제강그룹의 상징과 같은 건축물이다. 1954년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동 공장에서 시작한 동국제강그룹은 1974년 당시 을지로 소재 3층 규모 옛 청계초등학교로 본사를 이전했다. 이후 2007년 재개발을 위해 잠시 떠날 때까지 33년간 본사로 사용해왔다.동국제강그룹은 2010년 8월 사옥 신축을 마무리하고 재입주했다. 신사옥은 서울 중심업무지구(CBD) 대지 3749평방미터(㎡, 1134평), 지하 6층·지상 28층 규모 랜드마크다.명칭도 철강 그룹 정체성을 반영해 라틴어 철(Ferro)을 담아 ‘페럼’(Ferrum)으로 정한 바 있다. 임직원 참여를 통해 결정한 이름이다. 현재까지 총 49년간 머물러 온 공간이다.그룹 상징 페럼타워는 재건의 토대가 됐다. 동국제강그룹은 2010년대 중반부터 지속된 업황 침체에 따른 실적 악화로 신용등급 조정을 겪으며 2014년 산업은행 등 채권단과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체결하기에 이른다.이후 △동국제강-유니온스틸 통합 △유아이엘 매각 △후판 사업 재편 등 구조 변화에 이어 2015년 4월 페럼타워 매각을 끝으로 재무구조개선약정을 2년 만에 조기 졸업한다.이후 동국제강그룹은 철근·형강·컬러강판 등 수익성 중심의 철강 사업 포트폴리오로 전환했다. 사업 재편을 지속하며 △중국법인(DKSC) 정리 △브라질 CSP 제철소 매각 등 불확실성을 줄이고 핵심역량을 강화했다.2015년 말 투기 등
-
2025-07-28▲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 근로자에게 온열질환 예방수칙 안내(인천항만공사 직원들)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사장 이경규, 이하 IPA)에 따르면 2025년 7월25일(금) 국제여객터미널 입주기관 및 부두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폭염기간 중 안전한 터미널 작업여건을 함께 만들어가기 위한 온열질환 예방 캠페인을 개최하고 폭염 지원물품을 전달했다.이번 안전 캠페인은 최근 폭염이 지속되는 가운데 혹서기 온열 질환 예방의 일환으로 야외작업이 많은 국제여객터미널 입주기관 및 국제여객부두 작업자 등 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마련됐다.온열질환은 예방조치가 가능한 만큼 야외작업 시 규칙적인 물섭취, 그늘막·냉방장치 설치 등 온열 질환 예방을 위한 5대 수칙을 안내했다.또한 함께 준비된 제조 음료 및 다과를 즐기며 야외작업 중 휴식의 중요성을 함께 상기하는 시간을 가졌다. 체감온도 33도씨(℃) 이상 폭염작업 시 매 2시간 이내 20분 이상 휴식을 권장하고 있다.▲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 및 부두 현장 근로자에게 온열질환 예방 캠페인 실시(인천항만공사 직원들) [출처=인천항만공사]이와 함께 IPA는 온열질환의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여객터미널 야외 작업 일용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쿨링 패치 등 ‘온열질환 예방 물품’을 지급할 계획이다.인천항만공사 김상기 운영부문 부사장은 “금번 안전 캠페인 및 물품 지원은 무더위 속에서도 인천항의 물류와 해양관광 발전을 위해 힘쓰는 근로자들을 위해 준비한 것이다”며 “앞으로도 인천항 여객터미널 현장 근로자들이 혹서기 폭염을 극복하는데 함께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 및 부두 현장 근로자에게 지원 물품 전달(인천항만공사 직원들) [출처=인천항만공사]
-
▲ 국내외 중소?중견기업 대상 탄소 중립 지원을 위한 전략적 업무 제휴 협약식(SK AX 김민혁 Global/제조사업부문장(왼쪽)과 ASEIC 정광천 이사장) [출처=SK AX]SK AX(사장 윤풍영)에 따르면 2025년 7월22일(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SK AX 본사에서 ASEIC(이사장 정광천)와 ‘국내외 중소·중견기업 대상 탄소중립 지원을 위한 사업 협약(MOU)’을 체결했다.열린 이날 협약식에는 SK AX 김민혁 Global/제조사업부문장과 ASEIC 정광천 이사장을 비롯한 사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SK AX가 아시아·유럽 51개국에서 친환경 협력을 주도하는 공식 국제협력기관 아셈중소기업친환경혁신센터(ASEM SEMs Eco-Innovation Center, 이하 ‘ASEIC’)와 손잡고 국내외 중소·중견 제조기업 대상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ASEIC는 2011년 설립된 ASEM(아시아·유럽 정상회의) 산하 협력 기관으로 51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친환경 기술 협력과 ESG 확산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470여 개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ESG 교육, 컨설팅, 기술 보급 등을 진행 중이며, 이를 더욱 확대 가속화할 예정이다.이번 협약을 통해 공급망 탄소 배출 관리 등 ESG 실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외 중소·중견 제조기업들은 SK AX의 디지털 플랫폼인 ‘클릭 ESG’를 통해 보다 손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클릭 ESG’는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이행 계획을 수립·관리할 수 있도록 온실가스 인벤토리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이 솔루션을 통해 탄소 감축 시나리오와 연도별 로드맵을 등록하고 전력 사용량, 감축 투자비, 이행 현황 등 주요 데이터를 입력하면 실시간으로 목표 이행률과 주요 통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기후 공시, 공급망 실사 등 고도화된 ESG 대응이
-
2025-07-22▲ 서울공대 건설환경공학부 김태하 박사과정생·김라연 석사과정생, 구조물 안전 및 신뢰성 국제학술대회 ICOSSAR’25 최우수논문상 수상(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김태하 박사과정생(왼쪽에서 두 번째), 김라연 석사과정생(가운데)) [출처=서울대학교 공과대학]서울대(총장 유홍림) 공과대학(학장 김영오)에 따르면 건설환경공학부 김태하 박사과정생과 김라연 석사과정생이 최근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에서 열린 ‘제14회 구조물 안전 및 신뢰성 국제학술대회(ICOSSAR’25,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tructural Safety and Reliability)’에서 각각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ICOSSAR는 ‘국제 구조물 안전 및 신뢰성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Structural Safety and Reliability)’가 1969년부터 4년 간격으로 개최해 온 구조 신뢰성 분야 최고 권위 학술대회다.학문적 우수성과 혁신성이 뛰어난 논문을 선정해 최우수논문상(Student best paper awards)을 수여하고 있다.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송준호 교수가 지도하는 구조신뢰성연구실 소속 김태하 박사과정생은 ‘Bayesian Filter and Smoother for Joint Input-state Estimation of Hysteretic Structures’ 제하의 논문을 발표해 최우수논문상을 받았다.해당 논문은 동 연구실에서 박사과정을 거쳐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미국 라이스 대(Rice University)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인 이상리 교수와 공동지도를 통해 발표됐다.비선형 이력 거동(Hysteretic Behavior)을 보이는 구조물에 대한 입력-상태 동시 추정 문제 해결을 위한 베이지안 필터링-스무딩 통합 프레임워크를 제안했다.이 연구는
-
▲ 나무에 열린 마카다미아의 모습. [출처=케냐 정부 농업및식품당국(AFA) 홈페이지] 2025년 7월21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나이지리아와 케냐의 교통과 정부 정책을 포함한다. 나이지리아 라고스(Lagos)주에 따르면 2025년 10월4일부터 10월5일까지 국제 전기 모터보트 경주 대회인 E1 챔피언십(E1 Championship)을 개최할 예정이다. 케냐 항만청(KPA)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화물 운송량은 2130만톤(t)으로 2024년 상반기 1970만톤 대비 8.1% 증가했다. ◇ 나이지리아 라고스주, 2025년 10월4일부터 10월5일까지 국제 전기 모터보트 경주 대회인 E1 챔피언십(E1 Championship) 개최 예정나이지리아 라고스(Lagos)주에 따르면 2025년 10월4일부터 10월5일까지 국제 전기 모터보트 경주 대회인 E1 챔피언십(E1 Championship)을 개최할 예정이다.아프리카 대륙 내 도시 중 처음으로 E1 챔피언십을 주최한다. 청정 에너지와 지속가능성, 혁신적인 해운 운송에 대한 논의를 진척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E1 챔피언십은 전기 모터보트 경주 시리즈로 도시 해안선 내에 지속가능한 수상 운송 수단의 도입을 가속화하는 것을 지원하고자 한다.라고스주는 2025년 6월 내륙 수운 개발 계획인 오미 에코(Omi Eko) 프로젝트의 구현 단계에 돌입했다. 2030년까지 페리호 노선과 터미널, 전기 페리호 등을 완공할 계획이다. ◇ 케냐 농업식품청, 2025년 7월 케냐 국내의 생 마카다미아 견과류 수출과 수송 금지 조치 케냐 농업식품청(AFA)에 따르면 2025년 7월 케냐 국내의 생 마카다미아 견과류 수출과 수송을 금지한다고 밝혔다.국내 견과류 가공 산업을 강화하고 현지 농가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껍질을 벗기지 않은 마카다미아와 건조 혹은 건조시키지 않은 마카다미아의 수출도 금지됐다.케냐 국내산 마카다미아 뿐만이 아닌 타 국가에서
-
2025-07-18▲ 2025 항공보안주간 개막식에 초청받은 주요 인사 단체사진(오른쪽 첫 번째 황호원 항공안전기술원 원장) [출처=항공안전기술원]항공안전기술원(KIAST, 원장 황호원)에 따르면 2025년 7월16일(수)부터 18일(금)까지 인천국제공항에서 개최된 ‘2025년 항공보안주간(Aviation Security Week)’에 참가해 항공보안 기술 혁신과 인증 제도 운영 관련 주요 내용을 대외에 소개했다.이번 행사는 국토교통부와 국가정보원이 공동 주최하고 관련 협회 및 학회가 주관했다. 항공안전기술원은 전시관 부스를 설치 및 운영해 ‘국민과 함께 만드는 항공보안’을 주제로 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에 참여했다.항공안전기술원은 전시관을 운영하며 항공보안장비 성능인증 제도의 운영 체계를 소개하고 최근 기술 동향 및 관련 정보를 공유했다. 이를 통해 제도에 대한 대국민 인지도 제고와 산업계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개막식에 참석한 황호원 원장은 항공보안 결의대회와 주요 일정을 소화하며 현장 종사자들을 격려하고 정부와 산업 간의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또한 보안장비 개발 기업과 소통의 시간을 통해 기술 상용화의 장애 요인을 청취하고 정책 개선을 위한 실무적 제안을 직접 수렴했다.▲ 황호원 항공안전기술원 원장(오른쪽에서 두 번째)이 항공보안주간 행사장에서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출처=항공안전기술원]황 원장은 전시된 부스를 둘러보며 관련 기술의 적용 가능성과 제도 운영의 연계 방안에 대해 관계자들과 의견을 나눴다. 전시관 현장에서는 항공안전기술원 관계자들이 인증 업무와 기술 지원 체계에 대해 방문객에게 안내했다.항공안전기술원은 항공보안장비 성능인증 제도를 운영하는 국가 공인 인증기관으로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평가 체계를 바탕으로 보안장비 품질 향상과 기술 자립에 기여하고 있다. 앞으로도 실효성 있는 인증 제도 운영을 통해 항공보안 생태계 고도화에 앞장설 계획이다.항공안전기술원 황호원 원장은 &ldqu
-
2025-07-14▲ LS전선 직원들이 데이터 케이블을 생산하고 있다 [출처=LS전선]LS전선(회장 구자엽, 대표이사 구본규)에 따르면 반복적인 움직임에도 견딜 수 있는 고유연성(High-Flex)의 산업용 USB 케이블을 국내 최초로 출시했다.신제품은 고속 데이터 전송 기능과 함께 100만 회 이상의 반복 구부림에도 단선이나 성능 저하 없이 작동하는 높은 내구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기존 독일, 대만 등 해외 수입 제품이 30만~40만 회 수준에서 단선이 발생한 것과 비교해 약 3배 이상 수명이 길어졌다.산업 자동화 확산과 함께 고신뢰 통신이 필요한 공정 장비용 케이블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이번 제품은 국산화와 기술 경쟁력 측면에서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된다.특히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생산라인과 같은 자동화 설비를 비롯해 인터넷 프로토콜(IP) 카메라, 페쇄회로 TV(CCTV), 사물인터넷(IoT) 장비 등 반복 동작이 많은 설비에서의 활용이 기대된다.이 제품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국제 인증을 받았다. 또한 내구성뿐만 아니라 접속력, 절연 및 접촉 저항, 충격, 진동 등 10여 개 항목에서 국제 기준을 충족해 품질 신뢰성을 확보했다.제품 개발은 LS전선과 강원전자의 공동 협업으로 진행됐다. LS전선이 케이블 설계와 생산을 맡고 강원전자는 고객 피드백과 시장 수요를 반영해 제품 실용성과 완성도를 높였다.LS전선은 "산업 자동화와 스마트팩토리 확대에 따라 고내구성 USB 케이블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제조 환경에 특화된 고신뢰 데이터 전송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