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공동연구개발"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10-28▲ 정재욱 GC녹십자 R&D 부문장(왼쪽)과 박상규 노벨티노빌리티 대표이사(오른쪽)가 공동연구개발 계약식에서 함께 기념 촬영[출처=GC녹십자]GC녹십자(대표 허은철)에 따르면 2024년 10월25일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본사에서 항체 신약 개발 전문기업 노벨티노빌리티(대표 박상규)와 지도모양위축증(Geographic Atrophy, 이하 GA) 치료제 공동연구개발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는 항체 기반 단백질 치료제 개발을 위한 후보물질 도출부터 비임상, 임상, 상업화까지 모든 개발 단계를 포괄하는 협력 관계를 구축하게 된다.공동 연구의 첫 단계로 GA의 주요 병리적 요인이 되는 타깃 단백질을 선정하고 이를 저해하는 치료제 후보물질을 발굴해 개념검증 확인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노인 실명의 가장 대표적인 원인인 나이관련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이하 AMD)은 크게 건성(dry)과 습성(wet)으로 구분되는데 GA는 건성 AMD의 심화된 형태다.GA는 주로 AMD 말기에 발생해 망막 조직을 손상시켜 실명을 유발하며 미국에서만 150만 명 이상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023년 미국에서 최초의 GA 치료제가 출시됐으나 이미 감퇴한 시력을 회복시키지 못하고 GA의 진행을 일부 늦추는 정도의 제한적인 효과를 보였다.또한 약물 투여 시 상당수의 환자에서 습성 AMD가 발생하거나 염증을 일으키는 등의 부작용이 보고됐다. 따라서 GA 치료에서는 여전히 효능과 안전성이 개선된 치료제에 대한 시장의 미충족 수요가 존재한다.박상규 노벨티노빌리티 대표이사는 “당사는 다년간 자체 개발한 항체를 활용해 차세대 습성 AMD 치료제를 개발해왔으며 이번 기회를 통해 GA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자 한다”고 말했다.정재욱 GC녹십자 R&D 부문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노벨티노빌리티의 항체 기반 망막 질환 치료제 개발 경험과 당사의 단백질 치료제 기술력이 시너지를 발휘할 것이라 기대
-
2019-01-18영국 옥스퍼드대(University of Oxford)에 따르면 중국 화웨이(Huawei)로부터 자금을 지원받거나 공동연구개발을 중단할 계획이다.최근 미국 정부가 화웨이가 미국 기업의 첨단기술을 절취했다는 내용이 공개됐기 때문이다. 지난주 대학측은 교수들에게 관련 사실을 이메일로 통지했다.총리, 국방장관 등 주요 정부 관계자들도 화웨이 장비를 5G 통신망에 사용하는 것을 반대하고 있다.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독일, 뉴질랜드 등도 화웨이 통신장비애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는 중이다.참고로 현재 옥스퍼드대가 화웨이로부터 지원받고 있는 금액은 2개 프로젝트, £ 69만2000파운드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화웨이는 영국 20여개 대학과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다.▲옥스퍼드대(University of Oxford)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