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車 통신부품"으로 검색하여,
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7-22▲ LG이노텍, 차세대 디지털키 솔루션[출처=LG이노텍]LG이노텍(대표 문혁수)에 따르면 최첨단 ‘디지털키(Digital Key) 솔루션’을 앞세워 차량용 통신부품 시장 공략에 드라이브를 건다.‘디지털 키’는 무선통신 기술로 차량과 연결된 스마트폰을 이용해 차문을 열고 잠그거나 시동을 걸 수 있는 차세대 자동차 키로 각광받고 있다.차 키를 별도로 들고다닐 필요가 없어 잃어버릴 염려가 없는 데다 디지털 키와 연결된 스마트폰이 있어야만 시동을 걸 수 있어 도난 위험도 적다.최근 카셰어링, 렌터카 등 차량 공유 산업이 성장하며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퍼시스턴스 마켓 리서치(Persistence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차량용 디지털키 시장은 2023년 30억1670만 달러(약 4조1594억원)에서 2033년 113억8130만 달러(약 15조6925억 원) 규모로 4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2021년 차량용 ‘디지털키 모듈’을 처음 출시한 이후 제품의 성능을 지속 고도화해 오며 탑승자의 안전 및 편의성을 대폭 강화한 ‘차세대 디지털키 솔루션’을 개발했다.이 제품은 안테나, 회로 등을 탑재한 디지털키 모듈뿐 아니라, 디지털키 구동을 위한 소프트웨어까지 모두 내장하여 패키징한 제품이다. 이를 통해 차량 통신 부품 시장 선점에 더욱 유리한 고지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위치 정확도∙보안성∙호환성, 세마리 토끼 모두 잡아LG이노텍의 ‘차세대 디지털키 솔루션’은 40년 이상 회사가 축적해온 독보적 무선통신 기술 역량이 집적된 차량 통신 제품이다.BLE(Bluetooth Low Energy, 저전력 블루투스), NFC(Near-Field Communication, 10cm 이내 근거리 무선통신) 및 UWB(Ultra Wideband, 초광대역) 등 근거리 통신 기술이 모두 탑재됐다. UWB는 BLE 대비 전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