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113
" E"으로 검색하여,
11,12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11-03▲ 두산에너빌리티 로고 [출처=두산에너빌리티]두산에너빌리티(대표이사 회장 박지원)에 따르면 동반성장위원회(이하 동반위)가 발표한 ‘2024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동반성장지수 평가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공정한 거래관계 구축 및 다양한 분야의 협력을 통해 동반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이 평가는 동반위의 동반성장 종합 평가와 공정거래위원회의 공정거래 협약 이행 평가 결과를 동일 비율로 합산해 최우수,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등 5개 등급으로 구분한다.2025년 총 230개 기업이 평가에 참여했으며 두산에너빌리티를 포함한 40개 기업이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023년 동반성장 펀드를 240억 원에서 890억원 으로 확대해 1·2차 협력사에 저금리 대출을 지원했다.‘파트너스 데이’를 열어 협력사와 소통을 강화하고 원전·SMR·가스터빈 등 수출 시 강화되고 있는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공급망 실사법(CSDDD) 등 ESG(환경·사회·거버넌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협력사 대상 교육과 컨설팅을 실시했다.또한 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와 오픈이노베이션 사업을 통해 창업·벤처기업 생태계 조성에도 힘썼다.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2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두산에너빌리티는 협력사와의 선순환적 파트너십을 목표로 상생 강화에 나서고 있다. △동반성장 펀드 대출 지원 △협력사 ESG 역량 강화 △오픈이노베이션 사업 지원 △성과공유제 활성화와 경쟁력 강화 지원 등을 통해 협력사와 적극 소통하고 실효성 있는 동반성장 활동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두산에너빌리티 김동철 관리 부문장은 “이번 선정은 두산에너빌리티와 협력사들이 함께 노력해 거둔 성과라 더욱 의미가 크다, 앞으로도 협력사와의 상생 협력을 강화해 함께 성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2025-11-03▲ 삼성전자 본사 전경 [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10월31일(금) 엔비디아와 전략적 협력을 통해 반도체 제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반도체 AI 팩토리’를 구축한다.◇ 업계 최고 수준 반도체 AI 팩토리 구축… 글로벌 제조 패러다임 전환삼성전자는 메모리·시스템반도체·파운드리를 아우르는 업계 최대 수준의 반도체 제조 인프라를 갖춘 종합 반도체 기업이다.삼성전자는 종합 반도체 기업으로서 역량과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 인공지능(AI) 기술의 시너지를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AI 팩토리’를 구축, 반도체를 비롯한 글로벌 제조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해 나갈 계획이다.이를 위해 삼성전자는 향후 수년간 5만 개 이상의 엔비디아 GPU를 도입해 AI 팩토리 인프라를 확충하고 엔비디아의 시뮬레이션 라이브러리 옴니버스(Omniverse) 기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제조 환경 구현을 가속할 예정이다.삼성전자가 추진하는 AI 팩토리는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생성되는 모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는 지능형 제조 혁신 플랫폼이다.AI 팩토리는 △설계 △공정 △운영 △장비 △품질관리 등 반도체 설계와 생산을 아우르는 모든 과정에 AI를 적용해 스스로 분석·예측·제어하는 ‘생각하는’ 제조 시스템이 구현된 스마트 공장이다.삼성전자는 AI 팩토리 구축을 통해 차세대 반도체 개발·양산 주기를 단축하고, 제조 효율성과 품질 경쟁력을 혁신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HBM4 등 차세대 메모리 기술력으로 AI 생태계 혁신에 기여할 계획삼성전자는 AI 팩토리 구축과 함께 엔비디아에 △HBM3E △HBM4 △GDDR7 △SOCAMM2 등 차세대 메모리와 파운드리 서비스도 공급해 글로벌 AI 생태계에서 삼성전자와 엔비디아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
-
▲ 삼성물산, 카타르 탄소 압축·이송설비 개요도 [출처=삼성물산]삼성물산 건설 부문(이하 삼성물산)에 따르면 카타르 에너지 LNG(QatarEnergy LNG)가 발주한 탄소 압축·이송 설비 건설공사에 대한 낙찰 통지서를 수령했다.초대형 탄소 압축·이송 설비 건설공사를 수주한 것이다. 삼성물산은 설계·조달·시공에 해당하는 설계·조달·시공(EPC) 금액만 1조9100억 원 규모다.카타르 수도 도하 북쪽 80킬로(km) 지점 라스라판(Ras Laffan) 산업단지에 위치한 이번 프로젝트는 같은 단지의 액화천연가스(LNG) 액화플랜트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압축하고 이송하는 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이다.2030년 준공 예정인 이번 시설은 LNG 액화플랜트에서 발생되는 연간 410만 톤(t)의 이산화탄소를 압축하고 수분을 제거해 20킬로미터(km) 연장의 지중 배관을 통해 폐 가스전의 지하 공간으로 이송, 영구 격리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이산화탄소를 단순히 압축하는 기술뿐만 아니라 안전한 이송을 위한 압력·온도조절 등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이번 공사를 삼성물산은 설계부터 시공까지 전 과정 단독으로 수행한다.공사 관리에 차별화된 경쟁력을 발휘할하기 위해 △기존 카타르 LNG 프로젝트 경험 인력 활용 △검증된 협력업체와의 협업 △산업단지 내 기존 시설과의 간섭 최소화 등을 추진한다.삼성물산은 이번 수주를 계기로 신재생에너지(태양광, 배터리 저장장치) 뿐만 아니라 탄소 압축·이송 분야로 사업을 확대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의 리더십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삼성물산 이병수 해외 영업 실장(부사장)은 “카타르 시장 내 다수의 대형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쌓아온 경험을 기반으로 이번 수주를 통해 삼성물산이 수행한 태양광 사업과 더불어 카타르의 지속 가능 정책 실현에 핵심 역할을 담당하게 됐다”고 강조
-
2025-11-03▲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과학기술청과 미래 모빌리티·첨단 기술 협력 체결(왼쪽부터 성 김 현대차그룹 전략기획담당 사장, 박현성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 법인장, 김일범 현대차그룹 GPO 부사장, 찬 샨(Chan Tsan) HTX 청장, 심 앤(Sim Ann) 싱가포르 외교부 및 내무부 선임국무장관) [출처=현대차그룹]현대차그룹(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싱가포르 내무부 산하 과학기술청(Home Team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이하 HTX)과 ‘모빌리티 협력을 바탕으로 한 혁신 기술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2025년 10월31(금)일 ‘2025년 APEC 정상회의’ 주간 경주엑스포대공원 내 ‘K-테크 쇼케이스’ 행사장에서 체결식이 진행됐다. 협약식에는 성 김 현대차그룹 전략기획담당 사장, 김일범 현대차그룹 GPO 부사장, 박현성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yundai Motor Group Innovation Center Singapore, 이하 HMGICS) 법인장과 찬 샨(Chan Tsan) HTX 청장, 심 앤(Sim Ann) 싱가포르 외교부 및 내무부 선임국무장관 등 현대차그룹 및 싱가포르 정부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HTX는 2019년 싱가포르 과학기술 역량 개발을 통한 안보 강화를 목적으로 설립된 싱가포르 내무부 산하 연구기관이다. 치안, 국경 안보, 화생방, 보안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첨단 기술을 연구·개발하며 글로벌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현대차그룹과 HTX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싱가포르 정부가 운영하는 플릿(Fleet) 차량을 대상으로 한 기술 실증 협력을 시작으로 로보틱스와 수소 등 미래 핵심 기술 전반에 걸쳐 공동 연구 및 적용 가능성을 함께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싱가포르 내무부, HMG ‘다목적 모듈형 전동화 플랫폼’ 기반 플릿 통합 ·효율화 실증현대차그룹
-
2025-11-03▲ KB국민은행 본사 전경 [출처=KB국민은행]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에 따르면 ‘2025년 인도네시아 디지털금융 페스티벌(FEDKI)’에서 한국-인도네시아 간 QR 결제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시연했다.‘인도네시아 디지털금융 페스티벌(FEDKI)’은 디지털 금융 및 경제 생태계 조성과 혁신을 목표로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ank Indonesia)과 현지 금융당국이 주최하는 행사로 KB국민은행은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의 초청을 받아 참여했다.이번 행사에서 KB국민은행은 금융결제원의 ‘국가 간 QR 결제서비스’ 구축 사업에 참여해 개발한 QR코드를 활용한 결제서비스를 선보이며 현지 관계자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KB국민은행은 이르면 2025년 연말까지 ‘KB스타뱅킹 해외 결제 서비스’를 인도네시아 전역으로 확대 적용해 현지 방문 고객들의 결제 편의성을 한층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KB스타뱅킹 해외 결제 서비스’는 2025년 9월 필리핀 확대와 함께 현재 태국, 일본, 대만, 라오스, 괌, 사이판, 하와이 등 11개 국가 및 지역에서 QR코드를 활용한 간편하고 안전한 현지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KB국민은행은 "이번 시연으로 더 많은 고객들이 해외에서 보다 편리한 결제를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해외 결제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고객 중심의 서비스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
2025년 10월31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연방기관은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된 약품 50만 병 이상을 리콜 조치햇다고 밝혔다.캐나다는 미국이 관세전쟁을 촉발하면서 경제가 침체되고 있으며 실업률이 증가했다. 농업과 임업과 같은 산업에서 구인 일자리가 증가했지만 정보통신, 문화산업, 소매업 등은 구인 인자리가 줄어들었다.브라질은 정부 부문의 부채액이 국내총생산(GDP) 대비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중앙정부 뿐 아니라 주정부, 지방정부, 주정부 소유 공기업 등에서도 부채가 확대되고 있다.▲ 브라질 중앙은행 빌딩 [출처=위키피디아]◇ 미국 식품의약품청(FDA), 고혈압 치료제인 프라조신염산염(Prazosin Hydrochloride)이 함유된 약품 50만 병 이상 리콜조치미국 연방기관인 식품의약품청(FDA)은 고혈압 치료제인 프라조신염산염(Prazosin Hydrochloride)이 함유된 약품 50만 병 이상을 리콜 조치했다고 밝혔다.2025년 10월 초 뉴저지 기반의 테바(Teva Pharmaceuticals USA)와 약품 유통업체인 아메리소스 헬스 서비스(Amerisource Health Services)는 파라조신 캡슐이 포함된 58만 병을 리콜했다.리콜된 약품 중에는 잠재적으로 암을 유발할 수 있는 니트로사민 불순물(nitrosamine impurities)을 포함하고 있다. 관련 약품의 목록을 온라인에 게시했다.의사들은 혈압을 낮추기 위해 혈관의 압력을 유연하게 만드는 프라조신을 처방한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STD)에 의해 초래되는 악몽이나 수면 장애가 있는 환자에게도 적용한다. ◇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 2025년 8월 구인 일자리 45만7400개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은 2025년 8월 구인 일자리는 45만7400개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일자리 숫자는 시업율 상승
-
2025년 10월30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 에너지 규제기관이 자료에 따르면 전기와 가스 가격이 상승하면서 이를 제때 납부하지 못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프랑스 항공기 제조업체는 엔진공급이 원활해지며 2025년 3분기 매출액이 증가했다. 고객에게 인도한 항공기는 전년 동월 대비 크게 늘어났다.아일랜드는 미국 정부가 유럽을 대상으로 관세전쟁을 벌이고 있어 외국인 관광객의 유입이 크게 줄어들었다. 관광객이 국내에 머무를 일수도 감소했지만 지출액은 더 축소됐다.▲ 프랑스 항공기 제조업체인 에어버스그룹(Airbus Group)가 제조한 항공기 [출처=홈페이지]◇ 영국 오프젬(Ofgem), 에너지 가격의 상승에 따라 미납 요금 £44억 파운드 집계영국 정부 산하 에너지규제기관인 오프젬(Ofgem)은 에너지 가격의 상승에 따라 미납 요금이 £44억 파운드에 달한다고 밝혔다. 일부 국민이 납부하지 못한 에너지 요금을 면제해줄 방침이다.만약 정부가 2026년부터 미납 요금 5억 파운드를 탕감해줄 경우에 약 20만 명의 이상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모든 가구에 부과되는 가스와 전기요금에 5파운드를 추가로 부과해야 한다.혜택을 받을 가구는 2022년 4월부터 2024년 3월까지 100파운드의 요금을 연체한 경우에 해당된다. 에너지 공급사는 부채를 탕감해주거나 추가로 내야 하는 에너지 소비 비용으로 대체하게 된다.◇ 프랑스 에어버스그룹(Airbus Group), 2025년 3분기 매출액 €178억3000만 유로프랑스 항공기 제조업체인 에어버스그룹(Airbus Group)은 2025년 3분기 매출액이 €178억3000만 유로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민간항공기 사업부는 130억5000만 유로의 매출액을 올려 전년 동기 대비 12%확대됐다. 2025년 3분기에만 201대의 항공기를 고객에게 인도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174대와
-
2025년 10월31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은 정부가 부동산에 각종 세금을 도입하려고 시도하고 있지만 낮은 대출 금리로 평균 주택가격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프랑스 대형 유통업체는 혼란한 정치 상황, 경기 침체에도 매출액이 소폭 오름세를 기록했다, 업체는 점포의 리뉴얼과 취급 상품을 늘려 영업 부진을 극복할 방침이다.아일랜드는 자동차 사고에 대한 수리비가 상승해 자동차 보험료가 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로 상해를 입어 청구하는 보험료는 2019년보다 낮았지만 보험사의 영업이익을 하락했다.▲ 영국 금융기관인 네이션와이드(Nationwide) 점포 전경 [출처=홈페이지]◇ 영국 네이션와이드(Nationwide), 2025년 10월 주택 평균가격 전월 대비 0.3% 상승영국 금융기관인 네이션와이드(Nationwide)은 2025년 10월 주택 평균가격은 전월 대비 0.3%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9월 £27만1995파운드가 10월 27만2226으로 올랐다.10월 주택 평균가격은 연간 기준으로 보면 전년 동월 대비 2.4% 확대됐다. 9월과 비교하면 2.2% 상승했다. 고가 주택의 판매가 하락하고 있음에도 주택 가격의 상승세는 유지됐다.정부는 50만 파운드 이상의 주택을 판매할 때 새로운 세금을 부과할 계획이지만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리면서 대출 이자가 하락한 것도 주택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카지노(Casino), 2025년 9월 기준 3분기 매출액 전년 동기 대비 0.2% 상승프랑스 최대 유통업체 중 하나인 카지노(Casino)에 따르면 2025년 9월 기준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0.2% 상승한 것으로 드러났다.2023년 영업 실적이 하락한 이후 2028년까지 회복할 계획을 추진 중이었지만 2030년까지 연장했다. 브랜드 현대화, 프랜차이즈 개발 등으로 통해 새로운 사업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유통매장인 모노
-
2025-10-31▲ LS일렉트릭, 영국 배전반 제조사 일렉시스(Elecsis)와 업무협약 체결 [출처=LS일렉트릭]LS일렉트릭(구자균 회장, 사장 김종우)에 따르면 2025년 10월29일(수, 현지 시각) 영국 배전반 제조사 일렉시스(Elecsis)와 ‘영국 데이터센터 향(向) 저압(LV) 배전반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일렉시스 본사는 영국 브리스톨 시(市)에 위치하고 있다. LS 일렉트릭은 글로벌 파트너사와 전략적 협력관계를 맺으며 글로벌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최근 미국 하니웰(Honeywell)에 이어 영국 배전반 업체와도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현지 네트워크와 기술 역량을 활용한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일렉시스는 2001년 설립된 영국 현지 배전반 제조사로 저압 배전반 직접 설계 및 제작 역량을 보유한 전문 기술 회사다.양사는 LS일렉트릭의 데이터센터용 전력기기 솔루션 및 사내 전력 시험기술원(PT&T)을 통한 시험·개발 역량과 일렉시스의 현지 표준 배전반 설계·제작 역량을 결합해 영국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요구가 확대되는 높은 차단용량과 안전성의 고사양 배전반 솔루션을 공동 개발키로 합의했다.향후 일렉시스의 영국 현지 배전반 제작·기술지원 역량을 기반으로 영국을 시작으로 유럽 주요국에서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이번 협약은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영국 데이터센터 시장을 타깃으로 현지에서 배전 솔루션 및 네트워크를 보유한 기업과 협력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본 협약을 통해 LS일렉트릭은 국내에서 축적해 온 데이터센터 사업 역량을 기반으로 영국 시장에 교두보를 확보하고 향후 영국 배전 계통 사업자(DNO) 시장 참여 및 유럽 시장 진출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영국 배전 계통 사업자(DNO; Distribution Network Operator)는 영국·아일랜드에서 지역 배전망의 운영 주체다
-
▲ 삼성전자 본사 전경 [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86조1000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15퍼센트(%) 증가해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동기간 영업이익은 12.2조 원을 달성했다.DS부문은 HBM3E와 서버 SSD 판매 확대로 분기 최대 메모리 매출을 달성하며 전 분기 대비 매출이 19% 증가했다. 특히 HBM3E는 전 고객 대상으로 양산 판매 중이고 HBM4도 샘플을 요청한 모든 고객사에게 샘플을 출하했다.DX부문도 폴더블 신모델 출시 효과와 견조한 플래그십 스마트폰 판매 등으로 전 분기 대비 매출이 11% 성장했다.삼성전자는 미래 성장을 위해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하며 3분기 누계 기준 역대 최대 26.9조 원의 연구개발비를 집행했다.환율의 경우 전 분기 대비 원화 강세로 달러 거래 비중이 높은 DS부문에서 소폭 부정적 영향이 있었으나 DX부문에서 일부 긍정적 영향이 발생해 전사 전체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 3분기 실적▶ DS(Device Solutions)부문 매출 33.1조원, 영업이익 7조원메모리는 HBM3E(High Bandwidth Memory 3E) 판매 확대와 DDR5(Double Data Rate 5), 서버용 SSD(Solid State Drive) 등의 수요 강세로 사상 최고의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영업이익은 제품 가격 상승과 전 분기 발생했던 재고 관련 일회성 비용이 감소하면서 큰 폭으로 개선됐다.시스템LSI는 주요 고객사의 프리미엄 라인업에 SoC(System on Chip)를 안정적으로 공급했으나 시장 전반의 재고 조정과 계절적 수요 둔화로 실적은 정체됐다.파운드리는 첨단공정 중심으로 분기 최대 수주 실적을 달성했으며 일회성 비용이 감소하고 라인 가동률이 개선되면서 전 분기 대비 실적이 큰 폭 개선됐다.▶ DX(Device eXperience)부문 매출 48.4조원, 영업이익 3.5조원MX(Mobile eXperience)는 갤럭시 Z 폴드7 판매
1
2
3
4
5
6
7
8
9
10
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