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
" 증산"으로 검색하여,
6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11-25▲ 세넥스에너지의 아틀라스가스전 가스처리시설[출처=포스크인터내셔널]포스코인터내셔널(대표이사 이계인)에 따르면 2024년 11월24일(일요일) 오스트레일리아(이하 호주) 퀸즐랜드주에 위치한 세넥스에너지 아틀라스 가스전에서 가스처리시설 1호기의 완공을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했다.포스코인터내셔널은 자회사 세넥스에너지를 통한 증산 계획을 순조롭게 이행하며 호주 천연가스 사업 확장의 결실을 맺어가고 있다.행사에는 수잔 맥도널드 호주연방 상원의원 겸 예비내각 자원부 장관 등 호주 정부 인사를 비롯해 세넥스에너지의 공동주주사 대표인 이계인 포스코인터내셔널 사장과 지나 라인하트 핸콕 회장 등이 참석했다.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22년 핸콕과 함께 세넥스에너지를 인수하며 천연가스 연간 생산량을 기존 20페타줄(PJ, 국제에너지 열량측정 단위)에서 60페타줄로 3배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60페타줄의 천연가스는 LNG 약 120만톤을 생산할 수 있는 물량이다.세넥스에너지는 호주 에너지수요가 밀집된 동부에 위치해 지역에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호주 연방정부 경쟁소비자위원회(Australian Competition and Consumer Commission)는 6월 발간한 ‘동호주 가스시장 보고서(Gas Inquiry)’를 통해 이르면 2027년부터 내수가스 공급부족에 직면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세넥스에너지는 증산가스에 대해 2023년 8개의 구매자와 151페타쥴(PJ) 규모의 최대 10년 장기 가스공급계약을 체결해 증산 이후 수익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내수가스 공급부족 해결에 나서고 있다.이번에 시운전에 돌입하는 가스처리시설은 가스판매에 필수적인 인프라로 생산된 천연가스는 불순물을 제거해 고압으로 압축 후 가스 수송관을 통해 동호주 발전소 및 도시가스 등으로 판매된다.특히 금번 가스처리시설 1호기의 완공은 증산개발 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안정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정표다.세넥스에너지는 20
-
2022-04-11사우디 아라비아 국영석유공사인 아람코(Saudi Aramco)에 따르면 2021년 순이익은 US$ 1100억달러로 전년 490억달러 대비 124%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침체됐던 세계 원유 수요는 코로나-19 장기화로 반등했다. 이에 따라 정제 및 화학 사업의 마진이 증가했다. 또한 유가 상승도 아람코의 순이익 확대에 기여했다. 2022년 4월 초 브렌트유 가격은 14년 만에 최고치인 1배럴당 139달러까지 치솟았다. 이후 1배럴당 100달러로 떨어졌지만 2021년 12월 초에는 1배럴당 70달러를 밑돌았다. 아람코는 세계 석유 수요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세계 석유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새로운 투자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기후변화를 저지하는 단체 및 환경 운동가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다.사우디 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는 최근 며칠 동안 서방 정부들로부터 러시아로부터의 에너지 공급에 대한 의존을 끝내기 위해 더 많은 석유를 생산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왔다.아람코는 증가하는 세계 석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석유 증산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2022년 자본 지출을 400억달러에서 500억달러 사이로 전년 대비 50% 늘릴 예정이다. 서방 국가들의 러시아 제재조치가 연장된다면 2025년까지 자본 지출을 추가로 늘려야 한다. 2021년 자본 지출액은 320억달러로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사우디 아람코(Saudi Aramco) 로고
-
영국 비정부단체인 쉐어액션(ShareAction)에 따르면 2021년 4월부터 2022년 2월까지 글로벌 주요 은행들이 석유 및 가스 회사들에게 £240억파운드(US$ 330억달러)를 대출한 것으로 집계됐다.25개 글로벌 주요 은행들은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배출가스 감축협약에 서명했다. 하지만 대규모 석유 및 가스 확장 계획을 가진 50개 기업들에게 자금을 투자하거나 대출해준 것이다. HSBC, 바클레이(Barclays), BNP 파리바(BNP Paribas) 등의 유럽 최대 은행들은 탄소배출 제로(0)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공약한 지 1년도 안 돼 환경에 역행하는 기업들에게 투자했다. 2021년 4월 국제연합(UN)이 지원하는 탄소중립은행연합(Net-Zero Banking Alliance, NZBA)에 많은 은행들이 서명했다. 국제연합(UN)은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목표를 세우도록 금융기관들에게 요구해왔다.2021년 4월 당시 은행들 역시 화석연료에서 벗어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야한다고 공약했다. 2016년 이후 유럽 은행들은 4060억달러 규모의 금융자금을 제공했다.2021년 4월 이후 은행들이 에너지개발업체들에게 자금을 지원해 새로운 유정을 시추하고 가스 매장량을 늘리는 것은 국제 협약에 위배되는 것이다.신재생 에너지원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려는 다른 기업들의 노력을 저해하기 때문이다. 미국의 글로벌 석유기업인 엑손모빌(ExxonMobil),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석유공사인 사우디 아람코(Saudi Aramco), 영국의 글로벌 석유기업인 쉘(Shell)과 BP 등은 최근 몇 달간 국제 유가 상승으로 큰 수익을 올렸다. 2005년 영국 런던에 본사를 두고 설립된 쉐어액션은 전 세계 환경 및 거버넌스 문제에 대한 정부 및 기업의 책임있는 투자를 장려하는 자선단체이다. ▲쉐어액션(ShareAction) 로고
-
미국 유전서비스기업 베이커휴즈(Baker Hughes)에 따르면 지난주 미국의 리그카운트가 861개로 전주 대비 3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리그카운트가 증가함에 따라 미국의 원유생산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석유수출국기구(OPEC)도 연말까지 결정된 석유증산 계획을 연장할 가능성이 높다.하지만 공급과잉에 대한 우려보다는 공급부족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도 다수 있다. 미국의 이란제재로 인한 이란산 원유의 수출감소, 리비야의 혼란으로 인한 생산감소, 베네수엘라의 경제위기로 인한 생산감소 등이다.글로벌 원유가격은 상승세로 전환됐다. 2018년 7월 30일 기준 북해산 브렌트유 기준가격은 1배럴당 75.51달러, 서부 텍사스 중질유는 70.08달러를 각각 기록했다.▲베이커휴즈(Baker Hughes) 로고
-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따르면 1일 30~60만배럴을 증산해 글로벌 석유가격을 안정시킬 계획이다. 하지만 이는 러시아가 주장한 1일 150만배럴 증산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치이다.2018년 5월말부터 러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가 석유생산량을 늘려 글로벌 공급부족 현상을 해소하겠다고 주장하면서 석유가격은 하락하고 있다.하지만 이란, 베네수엘라, 이라크 등은 석유증산에 반대하고 있어 향후 대응방안이 주목을 받고 있다. 7월 인도분 텍사스중질유는 1배럴당 64.7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북아프리카의 대표적인 산유국인 리비아의 경우 무장단체의 공격으로 인해 Ras Lanuf원유 터미널의 재고가 40% 줄어들었다고 밝혔다.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의 정치적 불안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국제유가의 불확실성은 높아지고 있다. 미국과 유럽 선진국의 이란 핵제재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석유수출국기구(OPEC) 로고
-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따르면 6월 2일 쿠웨이트에서 향후 석유증산을 논의하기 위해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최근에 사우디 아라비아와 러시아가 석유증산을 논의했는데 후속조치를 논의하기 위한 목적이다.증산을 결정할 경우에 생산 여유가 많은 쿠웨이트와 아랍에미리트가 유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쿠웨이트가 회의를 호스트하고, 아랍에미리트, 사우디 아라비아, 오만 등이 참석한다. 하지만 카타르는 이번 회의에 불참한다.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가 비회원국을 포함한 산유국들은 2016년 1일 180만배럴의 생산량을 줄이기로 합의했다. 2017년 초부터 2018년 12월까지 생산량 감소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석유수출국기구(OPEC) 로고
-
석유수출국기구(OPEC)에 따르면 2018년 3분기 러시아와 협력해 1일 100만배럴의 원유 증산을 검토 중이다. 국제유가가 1배럴당 80달러에 근접하면서 인플레이션과 글로벌 경제성장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기 때문이다.세계 최대 생산국인 사우디아바리아와 러시아가 생산량 확대를 위해 보조를 맞출 방침이다. 미국의 셰일오일 생산량이 줄어들지 않고 있는 것도 증산에 나서게된 배경이다.2018년 5월 25일기준 1주일간 미국 에너지회사들은 15개의 탐사플랫폼을 늘려 총 859개에 달한다.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며 미국의 오일생산량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최근 80달러까지 치솟았던 국제유가는 75달러 이하로 내려가면서 안정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 텍사스산 중질유의 가격은 1배럴당 66.22달러로 5월 하순에 접어들면서 하향세를 나타내고 있다.▲석유수출국기구(OPEC) 로고
-
말레이시아 석유생산업체 히비스커스(Hibiscus)에 따르면 2019년 상반기까지 1일당 원유생산량을 5000배럴로 증산할 계획이다.약 2년간 세운 목표치 생산량은 기존에 비해 약 56% 증가한 수치다. 2017년 6월 기준 당사의 1일당 원유생산량(bpd)은 3204배럴이다.당사 경영진들은 향후 브렌트유 기준으로 유가가 1배럴당 US$ 58~68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증산계획의 핵심적 요인이다.게다가 유가반등에 따른 실익을 증대하기 위해 2018년 6월까지 원유생산비용을 1배럴당 15.8달러까지 낮추는 데에 집중할 계획이다.시장전문가들은 유가동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지속적으로 병행돼야 이번 증산 프로젝트에서 실효를 거둘 수 있다고 조언했다.▲히비스커스(Hibiscus) 홈페이지
-
일본 운송용기기업체인 가와사키중공업(川崎重工業)에 따르면 2017년 중국에서 산업용 로봇의 생산을 확대할 방침이다.중국에서는 인건비 상승과 인력난을 배경으로 로봇을 도입하는 업종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가와사키중공업은 단가를 낮춘 중소형을 중점으로 개발해 새로운 수요를 발굴할 계획이다.중소형 로봇의 조립라인을 순서대로 신설하고 2017년 산업로봇의 판매대수를 8000대로 2016년 대비 70% 늘리는 것이 주요 목표다.▲가와사키중공업(川崎重工業) 홈페이지
-
일본 종합가전업체인 샤프(シャープ)에 따르면 2017년 9월 통신기기 및 광학기기에 사용하는 반도체레이저를 증산할 계획이다.사물인터넷(IoT)의 보급을 배경으로 광통신 등 통신기기에 내장하는 반도체 레이저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총 투자액은 100억엔 이상이 될 전망이며 레이저를 생산하고 있는 후쿠야마 공장에 새로운 설비를 도입할 계획이다.참고로 샤프는 빨간색과 파란색 레이저만을 판매하고 있었지만 녹색이 더해지면서 삼원색을 갖추게 됐다. 프로젝터의 광원으로 채용해 고화질의 제품을 투입할 예정이다.▲샤프(シャープ) 홈페이지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