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IIHS"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17▲ 현대자동차 투싼[출처=현대자동차그룹]현대차그룹(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이하 IIHS, 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가 발표한 충돌 평가에서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이하 TSP+, Top Safety Pick+)’ 등급 11개, ‘톱 세이프티 픽(이하 TSP, Top Safety Pick)’ 등급 1개 등 총 12개 차종이 선정됐다.이는 글로벌 자동차그룹 중 최다 선정으로 브랜드별로는 현대차·기아가 전체 2위와 7위, 제네시스는 고급 브랜드 1위를 차지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에서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TSP+ 등급에는 △아이오닉 5 △아이오닉 6 △코나 △투싼 △싼타페 등 현대차 5개 차종과 △GV60 △GV70 △GV70 전동화 모델 △GV80 등 제네시스 4개 차종 △EV9 △텔루라이드 등 기아 2개 차종이 이름을 올렸다. TSP 등급에는 제네시스 G90이 선정됐다.특히 현대차 투싼과 제네시스 GV70·GV80은 2021년부터 5년 연속 TSP+를 획득했다. 기아 텔루라이드는 2019년 북미 시장 처음 출시 이후 7년 연속 TSP+ 또는 TSP에 선정되며 뛰어난 안전성을 입증했다.IIHS는 충돌 평가에서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갖춘 차량에 TSP+ 등급을, 양호한 성적을 거둔 차량에 TSP 등급을 부여한다.이번 현대차그룹 12개 차종 선정은 특히 뒷좌석 승객 안전 평가 기준이 한층 강화되면서 전체 TSP+ 또는 TSP 선정 차종이 2024년 같은 시기의 71개에서 48개로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 거둔 성과라는 점에서 의미를 더한다(※ TSP+ 36개 차종, TSP 12개 차종).IIHS는 전면 충돌 평가(updated moderate overlap front test)에서 운전자 뒷좌석에 작은 체구의 여성 또는 12세 아동을 대표하는 더미(인체 모형)를 새롭게 배치했
-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에 따르면 자율주행차량이 주행 시 충돌사고의 3분의 1정도만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연구팀은 자동차 사고조사에서 경찰이 보고한 충돌사고 5000건을 조사했다. 연구팀은 사례 파일을 검토하고 충돌에 기여한 드라이버 관련 요인을 5가지 범주로 분리했다.5가지 범주에는 "감지 및 인지(Sensing and perceiving)"오류, “예측(Predicting)”오류, "계획 및 결정(Planning and deciding)"오류, "실행 및 성능(Execution and performance)"오류, “능력 상실(Incapacitation)”가 포함된다.감지 및 인식 오류로 인한 충돌은 전체의 24 %, 무능력은 10 %를 각각 차지했다. 연구팀은 차량 고장으로 인한 충돌과 같은 일부 충돌은 피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또한 연구팀은 연구를 위해 도로상의 모든 차량이 자율주행하는 미래를 상상했다. 자율주행차량이 대부분의 충돌을 제거하려면 서로 충돌할 때 운전자의 선호보다 안전에 중점을 두도록 설계돼야 한다.완전 자율주행차량은 사람들보다 위험을 더 잘 식별할 수 있지만 많은 충돌을 막을 수 없다. 다른 3분의 2에 해당하는 충돌을 피하려면 속도와 편의성보다 안전을 우선시하도록 특별히 프로그래밍해야 한다. ▲ USA-IIHS-AutonomousCar▲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