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type"으로 검색하여,
3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글루코(Glooko)의 홍보자료[출처=홈페이지]미국 내분비계 의료 기기 기업 글루코(Glooko)에 따르면 건강정보신탁연합(HITRUST) 인증을 갱신하고 정보 보안 국제표준 SOC 2 Type II 인증을 획득했다.글루코는 만성 질환자를 위한 커넥티드 케어 플랫폼인 Glooko®을 통해 환자의 건강을 향상시키고 있다. 특히 글루코는 환자와 의료 제공자간의 연결을 혁신하고 디지털 치료를 통해 환자 참여 및 순응도를 높여 환자의 삶을 개선한다.글루코는 HITRUST 인증 갱신을 통해 엘리트 조직 그룹에 포함돼 환자 건강 데이터 보호에 대한 정보 보안 관리 표준을 충족한 것으로 평가된다.또한 글루코는 제3자 감사회사의 독립적인 검증을 통해 SOC 2 Type II 인증을 획득했다. 고객 데이터, 소프트웨어 및 회사의 보안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이다.이와 같이 엄격한 제3자의 검증을 통해 글루코가 HITRUST 및 SOC23 type II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데이터 보호 및 정보 보안에 대한 표준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평가된다.글루코의 이번 인증 획득은 정보 위험 관리 및 규정 준수를 위한 업계 모범 사례로 분석된다. 더불어, 글루코가 판매하는 제품은 30개 이상의 국가와 8000개 이상의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
영국 산업 온도 측정 전문기업 프로세스 파라미터즈(Process Parameters Ltd)는 BS EN 60584 표준을 적용받는 열전대 유형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파라미터즈는 각 열전대 유형에 특정 합급 조합을 지정하기 위해 문자 코드가 할당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열전대는 온도 측정 센서로 가장 자주 사용되는 코드 문자는 K, J, T, N 이며 R, S, E, B, C, W는 희귀한 종류이다.이 센서는 한 쪽 끝에는 서로 다른 금속 와이어가 연결돼 있다. 다른 쪽 끝에는 열전대 온도계 또는 다른 열전대 지원 장치가 연결돼 있다.설정에 따라 열전대는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서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스 파라미터즈는 준수해야 하는 국제 표준에 따라 신중하게 선택되고 교정되는 각 열전대 유형마다 고유한 합금쌍을 갖고 있다.이 표준은 영국과 유럽에서 열전대를 관리하는 BS EN 60584 표준으로 다양한 열전대 유형에 대한 특성, 공차, 색상 코드를 지정하고 있다. 유형에 따라 열전대 온도 범위는 -200 ℃ ~ +1800 ℃이며 특정 용도로 선택시 다양한 요소들이 고려된다.첫째, 열전도의 수명을 고려해야 된다. 극한의 온도에서 프로세스 외부에서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적외선 고온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둘째, 열전대 프로브를 연장 케이블 또는 균형 케이블에 연결하는 것은 열전대 케이블로 가능하다. 각 커넥터의 핀은 올바르게 연결되도록 편광돼 있다.셋째, 열전대 및 백금 저항 온도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열전대 커넥터를 제공한다.파라미터즈는 200℃, 350 ℃, 650 ℃의 온도 범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2개 또는 3개의 핀이 있는 미니어처 및 표준 크기가 제공된다. 설계에 관계없이 모든 커넥터의 요구를 수용하고 있다.프로세스 파라미터즈(Process Parameters Ltd)는 열전대 및 백금 저항 온도계를 포함해 산업계 온도 센서를 제조
-
나이지리아 스타트업인 카다나(Cadana)에 따르면 2022년 6월 29일 자사의 SOC 2 Type 2가 ISO/IEC 27001:2013 인증을 획득했다. 카다나는 급여 관리 플랫폼이다.ISO/IEC 27001:2013은 정보보호 관리체계에 대한 국제 표준이자 정보보호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제 인증이다. 정보보호정책, 물리적 보안, 정보접근 통제 등 정보보안 관련 11개 영역, 133개 항목을 심사한다.카다나는 아프리카 근로자를 위한 현대적 급여 플랫폼이다. 근로자들은 플랫폼을 통해 월말까지 급여를 기다리지 않고 언제든지 자신이 일한만큼 급여를 인출할 수 있다. 이자는 없다.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기업들이 회원으로 참여해 근로자의 급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고용주 입장에서는 급여 관리 소프트웨어를 구축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미국 공인회계사회(American Institute of CPAs, AICPA)가 캐나다의 SOC 2 Type 2가 사용자의 데이터를 완벽하게 보호한다고 인증했다.독립 감사업체인 Barr Advisory가 카다나의 클라우드 인프라, 조직적 프로세서를 포함해 서버와 시스템에 대한 감사를 진행했다. 정보보안실행, 정책, 절차, 운영이 엄격한 SOC 2 표준에 적합하지 판단하기 위함이다.모든 기업은 ISO/IEC 27001:2013 인증을 발기 위해서 고객 데이터를 완벽하게 보호한다는 신뢰를 얻어야 한다. 조직 내부에 정보보안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실행하며 유지 및 지속적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현재 카다의 CEO는 공동 설립자인 Albert Owusu-Asare가 맡고 있다. 또한 CTO는 Ameer Shujjah로 미국 그린넬 칼리지에서 컴퓨터 사이언스를 전공했다.참고로 카다나는 2021년 설립된 스타트업이며 가나와 나이지리아에서 수백개의 기업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근로자들이 월말까지 급여를 기다리지 않고 중간에 자신이 일한만큼 급여를 사전에 받아
-
2022-06-23유럽의회(European Parliament,에 따르면 2024년 가을까지 15개의 제품들에 대해 USB Type-C 충전단자를 표준으로 사용하는데 잠정 동의했다. 또한 내부시장 및 소비자보호위원회는 개정된 무선 장비 지침을 45표 중 43표의 찬성으로 채택했다.따라서 휴대폰, 태블릿, 디지털 카메라, 헤드폰 및 헤드셋, 휴대용 비디오 게임 콘솔, 휴대용 스피커 등 유선 케이블로 충천이 가능한 전자 제품은 제조사에 관계없이 USB Type-C 단자를 표준으로 장착해야 된다.다만 스마트워치, 헬스 트래커, 일부 스포츠 장비 등 장치가 너무 작아 장착이 안되는 제품은 USB Type-c 포트를 장착하지 않아도 된다.유럽의회는 무선 충전기 사용이 증가하고 있어 유럽위원회가 2026년 말까지 새로운 충전 솔루션의 상호 운용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도록 했다.유럽에서 매년 출하되는 휴대용 기기의 충전기는 약 5억개에 달한다. 매년 충전기가 전자 폐기물로 배출되는 양은 1만1000톤~1만3000톤이다.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단자를 통일함으로서 소비자의 편의 증대뿐 아니라 폐기물 감소에 따른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됐다.유럽연합집행위원회(EC)는 2021년 9월 충전기 표준화 법안을 체출했다. 미국 애플사는 엄격한 규제로 혁신 억압, 소비자 불이익 등의 이유로 반대했다.이번 결정으로 기존 제품은 제외되지만 애플 역시 아이폰, 아이패드, 노트북 등 유럽에 출시하는 제품들에 대해 표준화 규격을 따라야 한다.충전단자의 표준화 채택으로 향후 기업과 소비자 모두에게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사용의 불편 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럽의회(European Parliament) 홈페이지
-
2020-08-27미국 우주로켓 기업인 블루오리진(Blue Origin)에 따르면 미항공우주국(NASA)에 풀 스케일 프로토 타입 달착륙선을 전달했다. 2024년까지 미국 우주 비행사를 달 표면으로 태우기 위한 인간 착륙 시스템(HLS) 프로그램의 일환이다.프로토타입 달착륙선은 주로 장비 및 보급품을 차량에 싣고 내리는 승무원 작업을 테스트하는 플랫폼 역할을 수행한다. 객실 인체 공학, 객실에서의 시야각, 우주복을 입고 차량에 출입하는 것을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프로그램을 위해 2020년 4월 미항공우주국은 3개 회사와 계약을 체결했다.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 블루오리진은 US$ 9억6700만 달러를 받았다.다이넥티스(Dynetics)와 스페이스엑스(SpaceX)도 각각 2억5300만 달러와 1억3500만 달러를 받았다. 스페이스엑스는 슈퍼헤비로켓(Super Heavy rocket)을 사용하는 거대한 우주선인 'Starship'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이다.이와 같은 민간기업의 우주기술 개발 경쟁에 따라 우주를 향한 인류의 도전이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다. 참고로 러시아와 중국도 정부 차원에서 우주개발을 가속화하고 있다.▲ USA-BlueOrigin-Robot▲ 블루오리진(Blue Origin)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북섬 웰링턴지역의 도시인 헛시티(Hutt City) 시의회에 따르면 플라스틱 유형 3에서 7까지를 재활용플라스틱으로 허용하지 않을 계획이다.플라스틱 사용을 줄여 플라스틱 폐기물이 늘어나지 않도록 강제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번 정책은 향후 몇달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며 시의회는 폐기물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주민들은 플라스틱 유형 3~7까지인 식품포장랩, 요구르트 용기, 제품포장 가방, 기타 부드러운 플라스틱 등을 재활용플라스틱 분리수거함에 넣을 수 없다.차도 가장자리에 위치한 재활용수집장소를 포함해 지역 전역에 걸쳐 5곳의 재활용수집센터 등이 이번 정책 변화로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헛시티(Hutt City)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교통부에 따르면 2019년 연말 뉴사우스웨일즈(NSW)주의 새로운 도시 간 열차의 실물크기 모델열차 1대를 운행할 예정이다.총 512대의 새로운 열차로 교체될 예정인데 그 중 1대를 40년이 넘은 V-세트 열차에서 교체해 운행하는 것이다. 센트럴코스트(Central Coast)에서 뉴캐슬(Newcastle)까지 노선이다.2020년 중반까지 한국(South Korea)에서 제작 중인 새로운 열차는 블루마운틴(Blue Mountains)노선에서 시작돼 마운트빅토리아(Mount Victoria)까지 운행될 계획이다.4개월 후 리스고우(Lithgow)가 이어지는 운행을 시작한다. 그 이후 울릉공(Wollongong)에서 키아마(Kiama)까지의 사우스코스트(South Coast)노선에서 운행된다. ▲교통부 로고
-
뉴질랜드 오클랜드 시정부에 따르면 오클랜드항에 대형 크루즈선이 정박할 수 있도록 수상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2017년 1분기에 관련 시설을 구축하는데 $NZ 1200만달러를 투자한다. 일부 대형크루즈선의 경우 너무 길어서 오클랜드항에 정박할 수 없기 때문이다.현재 오클랜드항에 정박할 수 없을 정도로 큰 크루즈선박은 많지 않지만 향후 늘어날 것을 감안한 것이다. 크루즈선박으로 인한 경제유발효과는 연간 2억달러가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크루즈선박 'Ovation of the Seas' 이미지(출처: Royal Caribbean 홈페이지)
-
LS가 단기간에 급성장한 것은 대단한 성과이지만 LG그룹에서 독립한 이후 LS만의 기업문화를 정립하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인화(人和)를 중시한 LG그룹의 장점도 명확하게 남아있지 않고, 전선과 산전 등 LS의 사업에 특화된 기업문화도 구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중견그룹으로서 다양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색채를 드러내지 못하면서 규모에 비해 존재감이 약한 것도 LS의 약점이다. LS의 기업문화를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기업문화 측정과 혁신도구인‘SWEAT Model’에 적용해 5-DNA 10-Element의 성취도, 기업문화 위험관리, 혁신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평가해 보자. ◇ 5-DNA 10-Element의 성취도 분석▲ [그림 24-1. 5-DNA 10-Element 분석]LS의 기업문화를 SWEAT Model의 5-DNA 10-Element를 점수로 평가해 보면 [그림 24-1]과 같다. LS의 기업문화 평가결과를 한 마디로 요약하면 LS는 전선과 산전사업을&n
-
농심의 신춘호 회장은 일본에서 사업적으로 크게 성공한 형인 롯데그룹 신격호 회장 밑에서 일을 하다가 형의 반대도 무릅쓰고 창업을 해 성공했다. KCC그룹의 정상영 회장이 형인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으로부터 독립해 일가를 이룬 것과 유사한 역사를 갖고 있다.비록 KCC가 범현대가 그룹과 사업적으로 중복되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것과는 달리 농심과 롯데그룹은 사업적으로 중첩되며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농심의 기업문화를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기업문화 측정과 혁신도구인‘SWEAT Model’에 적용해 5-DNA 10-Element의 성취도, 기업문화 위험관리, 혁신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평가해 보자. ◇ 5-DNA 10-Element의 성취도 분석▲ [그림 23-1. 5-DNA 10-Element 분석]농심의 기업문화를 SWEAT Model의 5-DNA 10-Element를 점수로 평가해 보면 [그림 23-1]과 같다. 농심은 라면제조라는 명확한 사업목표를 갖고 창업을 해 목표는 명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