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level 3"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자율주행차 적용 기술 ADAS 개요 [출처=iNIS]1982년부터 1986년까지 미국 NBC TV에서 방송했던 전격 Z작전(원제 : Knight Rider)는 인공지능(AI)가 탑재된 자율주행자동차의 활약상을 다루고 있다. 주인공이 손목에 찬 시계로 호출하면 원하는 장소까지 스스로 이동했다. 당시에는 상상에 불과하다고 치부됐지만 미국 테슬라는 꿈을 현실화시키기 위해 노력 중이다.자율주행자동차(autonomous driving car)란 운전자의 조작이 없이도 카메라와 센서, 위성항법장치(GPS) 정보 등을 활용해 스스로 주위 환경을 인식하고 목적지를 향해 이동이 가능한 자동차를 말한다. 자율주행차는 1925년 미 육군의 전기 기술자였던 프랜시스 후디나에 의해 개발된 '아메리칸 원드(American Wonder)'가 시초다.우리나라에서도 1990년대 후반부터 국책 교통연구기관과 고려대 한민홍 연구팀을 중심으로 자율주행차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됐다. 국내 최대 자동차 제조업체인 현대자동차는 2023년 레벨 3(Level 3) 자율주행기술이 적용된 G90 모델을 출시할 계획이었으나 계속 연기되고 있다. 자율주행차의 기술, 서비스, 기대효과 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다양한 센서를 활용해 자율주행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자율주행차는 장애물과 표지판을 식별하고 사각지대없이 주변 지역을 파악하려면 카메라(Camera), 레이더(Radar), 라이더(Lidar), 소나, GPS, 주행거리 측정장치, 관성 측정장치 등 다양한 센서가 필요하다. 다수 센서를 활용해 사물과 사물의 거리를 측정하고 위험을 감지하여 최적의 운전경로를 제시한다.자율주행차에 적용되는 기술의 구분은 각 제조사마다 다르지만 크게 외부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기술과 자동차 내부의 네트워크를 통해 부분 자율주행을 지원하는 ADAS((Advanced Driving Assistance System
-
일본 글로벌 자동차제조업체인 혼다(Honda)에 따르면 2021년 3월에 자율주행 기술 레벨 3 표준을 충족하는 자율주행 차량을 최초로 양산할 계획이다.자율주행 장치가 구비된 혼다의 레전드(Legend) 고급 세단 버전을 생산 및 판매할 예정이다. 기존 혼다의 "Pro Pilot Assist"는 자율주행 기술 레벨 2의 기능을 구현한다.레벨2는 속도와 조향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지만 운전대 뒤에 있는 운전자는 계속해서 수동 작업을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했다.이에 반해 자율주행 기술 레벨 3은 대부분의 전문가가 실제로 자율적이라고 생각하는 범주에 속하는 첫 번째 범주에 해당된다. 자율주행 기술 레벨 3 표준이 장착되면 운전자는 실제로 도로에서 눈을 뗄 수 있다.레벨 3은 시스템이 요청할 때 운전자가 운전을 이어받을 수 있어야 하지만 자율주행 기술 레벨 4와 5는 그러한 요구 사항이 없다. 이와 같이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기술 혁신은 더욱 더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혼다(Honda)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