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key"으로 검색하여,
2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년 6월19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반도체 제조업체는 트럼프 행정부의 국내 투자 계획에 따라 대규모 투자를 결정하고 있다.캐나다 에너지업체는 미국 기업으로부터 동부와 서부에 위치한 천연가스 사업을 인수할 방침이다. 국내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다.브라질 국영항공기 제조업체는 동유럽 리투아니아로부터 군용 수용기 주문을 받았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소속된 다수 국가에서 동일 기종은 운영 중이다.▲ 브라질 국영항공기 제조업체인 엠브라에르(Embraer)의 C-390 수송기 [출처=위키피디아]◇ 미국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는 국내에서 반도체 US$ 600억 달러 투자할 계획미국 반도체 제조업체인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는 국내에서 반도체 US$ 600억 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텍스사와 유타주에 있는 3개 장소를 선정해 7개 반도체 제조 설비를 짓거나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미국 반도체 역사상 가장 큰 투자 규모이며 6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마이크론(Micron)를 포함한 다른 반도체 제조업체들도 200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경제 활성화를 위해 국내에 반도체 제조공장을 건설하라고 독려 중이다.◇ 캐나다 케에라(Keyera), 미국 플레인즈(Plains)의 천연가스액화(NGL) 사업을 C$51억5000만 달러에 인수할 계획캐나다 에너지 인프라업체인 케에라(Keyera)는 미국 플레인즈(Plains)의 천연가스액화(NGL) 사업을 C$51억5000만 달러에 인수할 계획이다.인수 대상에는 엠프레스 포트 사스캐치완, 사르니아 등과 같은 핵심 허브에 위치한 천연가스 채굴, 저장, 파이프라인, 터미널 시설 등을 모두 포함한다.이번 인수가 완료되면 캘거리에 기반한 케에라의 사업이 서부와 동부로까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에너지 인프라와 에너지 안보를 높이고 경제적 회복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
2025-03-25▲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출처=LG에너지솔루션]LG에너지솔루션(대표이사 김동명)에 따르면 폴란드 국영전력공사 PGE(Polska Grupa Energetyczna)와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폴란드 국영전력공사가 추진하는 대규모 ESS 프로젝트의 사업 파트너로 선정됐다.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이날 계약식에는 야쿱 자보로프스키(Jakub Jaworowski) 국유재산부 장관, 안드제이 도만스키(Andrzej Domański) 재무부 장관, 임훈민 주폴란드 대한민국 대사 등 양국 정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또한 PGE 최고경영자(CEO) 다리우시 마제츠(Dariusz Marzec) 회장, PGE 운영관리위원회 마키에 고르스키(Maciej Górski) 부회장, LG에너지솔루션 김형식 ESS전지사업부장, 이장하 브로츠와프법인장 등도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폴란드 국영전력공사 PGE는 현지 북부 자르노비에츠(Żarnowiec) 지역에 약 1기가와트시(GWh) 규모의 ESS 시설을 건설할 예정이다.재생에너지 활용도를 높이고 지역 전력망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추진되는 프로젝트로 2027년 본격 상업 가동이 목표다.LG에너지솔루션이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에서 생산하는 ESS용 LFP 배터리를 2026년부터 공급할 예정이다.특히 ESS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단순 배터리 셀 공급을 넘어 유럽 파트너사와 협력해 △컨테이너형 ESS 배터리 시스템 △설계·조달·시공(EPC) 서비스 등을 종합 제공하는 ‘턴키(Turn-Key)’ 방식으로 계약을 체결했다.PGE는 600만 가구 및 기업, 공공기관에 발전·송배전·전력 판매 등 전력 부문의 전 과정에서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폴란드 최대 국영전력공사다. 최근 재생에너지 확대를 목표로 ESS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Made in Europe’ ESS용 LFP 배
-
▲ 대한전선이 싱가포르에 공급한 230kV OF케이블[출처=대한전선]대한전선(대표이사 송종민)에 따르면 싱가포르 전력청(SP PowerAssets Limited)과 230킬로볼트(kV) 초고압 전력망 공급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했다. 수주 금액은 1400억 원에 이르는 대형 프로젝트다.이번 프로젝트는 230kV급의 초고압 전력망을 구축하는 풀 턴키(Full Turn-Key) 사업으로 대한전선은 230kV OF(Oil-Filled) 케이블 및 전력기기 등 관련 자재의 생산과 포설, 접속, 시험까지 전 과정을 일괄 수행한다.2024년 11월과 12월 미국과 스웨덴에서 총 2200억원 규모의 수주에 이어 이번 수주를 확보하면서 대한전선은 4분기에만 1조2000억 원 이상의 수주고를 올리게 됐다.대한전선은 2024년 10월 총 8400억 원 규모의 400kV급 초고압 전력망 공급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국내 사상 최고 금액의 초고압 케이블 수주 기록을 달성한 바 있다.OF (Oil-Filled) 케이블은 케이블 내부에 절연유를 채워 절연체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우수한 전기적 성능과 높은 안정성을 자랑한다.하지만 복잡한 생산 공정과 까다로운 유지보수로 국내외 소수의 기업만이 생산할 수 있어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꼽힌다.대한전선은 1970년대 국내 최초로 OF 초고압 케이블을 개발 및 상용화하며 대한민국 초고압 시장을 선도해왔다.
-
▲ 2022년 5월부터 2024년 5월까지 월별 불고용율 통계 그래프. [출처=튀르키예 통계청(TurkStat) 홈페이지] 2024년 8월 1주차 튀르키예 경제는 통계를 포함한다. 극심한 인플레이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튀르키예 통계청(TurkStat)에 따르면 2024년 7월 소비자가격지수(CPI)는 61.78%로 전월 71.6%와 대비해 완화됐다.○ 튀르키예 농업상공회의소인 TZOB(Union of Chambers of Agriculture of Turkey)에 따르면 2024년 7월 생산자와 시장 가격 비교에서 당근이 420.5%나 차이를 보였다.당근 외에도 양파, 토마토, 건조 살구 등의 시장 가격이 생산자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순서대로 △당근 420.5% △레몬 333.9% △사과 328.6% △건조 무화과 313.9%의 7월 생산자와 시장 가격의 차이가 높았다.7월 생산자 가격이 가장 크게 오른 농산물은 레몬과 달걀이었다. 반면 수박은 생산자와 시장 가격이 모두 큰 폭으로 인하됐다.29개 품목 중 생산자 가격이 오른 것은 7개, 생산자 가격이 떨어진 것은 13개, 가격 변동이 없었던 품목은 9개로 각각 집계됐다. ○ 튀르키예 이스탄불 상공회의소(ICOC)에 따르면 2024년 7월 이스탄불 근로자 생활비 지수는 전월 대비 4.21%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이스탄불 근로자 생활비 지수는 이스탄불의 소매가격 이동을 보여주는 지표다. 7월 소매가는 4.21%, 도매가는 1.04%로 전월 대비 각각 올랐다.2024년 7월 소매가는 전년 동월 대비 72.80% 상승했으며 도매가는 전년 동월 대비 55.12%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튀르키예 통계청(TurkStat)에 따르면 2024년 5월 불고용률은 8.4%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2023년 5월과 비교해 1.1포인트 내린 것이다.고용되지 않은 인구 수는 301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2024년 5월 15세 이상 인구 중 고용되지
-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국영기업인 테콤 그룹(TECOM Group)과 러시아 제약회사인 OZON 제약(OZON Pharmaceuticals)은 AED 2억9300만디르함(US$ 8000만달러) 규모의 제조시설 건설 계약을 체결했다. [출처=두바이 산업도시(Dubai Industrial City) 엑스(X) 계정]2024년 8월5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튀르키예의 통계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국영기업인 테콤 그룹(TECOM Group)과 러시아 제약회사인 OZON 제약(OZON Pharmaceuticals)은 AED 2억9300만디르함(US$ 8000만달러) 규모의 제조시설 건설 계약을 체결했다.튀르키예 농업상공회의소인 TZOB(Union of Chambers of Agriculture of Turkey)에 따르면 2024년 7월 생산자와 시장 가격 비교에서 당근이 420.5%나 차이를 보였다.◇ 아랍에미리트 VFS 글로벌(VFS Global), 2024년 8월1일부터 UAE 시민 대상의 일본비자승인센터 개설아랍에미리트 비자 및 여권 관리 아웃소싱 회사인 VFS 글로벌(VFS Global)에 따르면 2024년 8월1일부터 UAE 시민 대상의 일본비자승인센터를 개설했다.UAE 일본 대사관과 두바이(Dubai)의 일본 영사관과 협업했다.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일본의 해외 관광객 수를 6000만 명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해당 센터에서 단기간과 장기간 비자에 대한 문서 신청 등을 처리하며 온라인으로도 무료 신청할 수 있다. 2024년 9월1일부터 일본에 가기 위한 전자비자(eVISA) 자격이 있는 여행자는 관광객 전자비자를 신청할 수도 있다.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국영기업인 테콤 그룹(TECOM Group)에 따르면 러시아 제약회사인 OZON 제약(OZON Pharmaceuticals)과 무사타하(Musataha) 계약을 체결했다.계약에 따라 테콤 그룹의 두바이 산업도시(Dubai Industrial City)에 15만700평방피트
-
나이지리아 키스톤 은행(Keystone Bank)에 따르면 '키스톤 스타트업 어드밴티지(KSA) 프로그램'을 공개했다. 국내 스타트업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특화된 인큐베이터 제도이다.국내 소규모 및 중소기업(MSME), 스타트업 등을 보다 확실하게 지원해주기 위해 설계했다. 또한 보조금 및 기타 권한 부여 제도로 스타트업인 신생 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많은 스타트업 수를 자랑한다. 아프리카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외국인 벤처 캐피털 투자 유치가 증가하고 있다.2021년 아프리카 스타트업에서 벤처 캐피털 자금은 US$ 22억5000만~28억달러 사이로 증가했다. 2021년 8월 기준 지난 7개월 동안 나이지리아 스타트업은 2억7650만달러를 모금했다.키스톤 스타트업 어드밴티지(KSA)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 생산적인 고용, 양질의 일자리 창출 등이 촉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키스톤 은행(Keystone Bank) 홈페이지
-
2022-01-04미국 뉴저지주 몬머스카운티 키포트 자치구 의회는 도시 내 대마초 사업에 대한 표준을 채택했다. 대마초 사업을 운영할 수 있는 설치 장소에 관한 조례, 대마초 사업 운영자가 면허를 받을 수 있는 표준 등을 채택했다.지난 2020년 뉴저지주 유권자들은 마리화나를 합법화하기 위한 헌법 수정안을 승인했다. 이후 2021년 2월 주 의원들은 A-21 법안을 통과시켰다.A-21 법안은 뉴저지 대마초 규제(New Jersey Cannabis Regulatory), 집행 지원(Enforcement Assistance) 및 시장 현대화법(Marketplace Modernization Act) 등의 내용으로 구성됐다.해당 법률은 특정 성인이 마리화나를 레크레이션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허용한다. 또한 소량의 마리화나 및 해시시(마리화나 농축액) 소지를 인정한다. 마리화나를 스케줄 I(Schedule I) 약물에서 제외했다. 스케줄 I이란 남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약물을 말한다.또한 법안에는 허가된 마리화나 사업을 영위하기 위한 경작자, 제조업체, 도매업체, 유통업체, 소매업체, 배송업체 등 6개 이해관계자의 사업 조건이 명시됐다.6개 이해관계자는 특정 구역과 적절한 위치에서 대마초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대마초 소매업체와 배송업체는 고속도로 상업지구, 산업지구, 일반 상업지구의 정해진 장소에서만 영업해야 한다.▲ keyport▲ 뉴저지 키포트(Keyport) 시 홈페이지
-
2021-10-05미국 바이오기업인 바이오마린(BioMarin)에 따르면 R&D 및 기술 운영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할 업계 베테랑 인재를 고용했다. 최고 의료 책임자 및 임상 개발 책임자 수석 부사장인 번스타인 박사(Harold S. Bernstein)와 기술 개발 수석 부사장인 베단담 박사(Ganesh Vedantham)이다.번스타인 박사는 산업계와 학계 모두에서 전이 의학(translational medicine) 및 임상 개발(clinical development) 분야에서 30년 이상의 경험을 갖고 있다. 그는 초기 단계에서 후기 단계까지 임상 개발을 강화하고 연구원과 원활하게 협력하고 후기 단계 및 수명 주기 제품을 감독하는 책임을 맡을 예정이다. 이들의 고용은 바이오마린의 기업 가치와 일치하는 사람들을 식별하는 계획에 따른 것이다. 두 사람은 바이오마린의 미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전문성, 열정 및 공감을 구비하고 있다.바이오마린은 유전 질환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을 위해 잠재적으로 변형 가능한 의약품 파이프라인을 계속 발전시킬 계획이다. ▲ 바이오마린(BioMarin)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1-09-23영국 교통부에 따르면 M1 고속도로의 '스마트 자동차 도로'는 오히려 정체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동 시간도 더 늦추었으며 £2억2500만파운드의 손실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M1 고속도로가 스마트 자동차 도로 방식인 '유연한 갓길 운행'으로 바뀐 이후인 2012년 12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M1의 10번과 13번 교차로를 분석한 결과이다.유연한 갓길 운행은 고속도로가 피크 시간대에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갓길이 추가 차선으로 이용 가능하다는 것이다. M1은 Luton과 Milton Keynes 사이의 고속도로이다.교통부는 상기 스마트 자동차 도로가 지역 경제를 9억9600만파운드까지 끌어올릴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 5년 간 결과에서는 오히려 교통흐름 역효과에 따르는 손실 2억2500만파운드가 발생할 것으로 드러났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교통부는 스마트 자동차 도로의 긍정적인 면만 홍보하며 낙관적인 면만 주장하고 있어 비난이 거세게 일고 있다.▲M1 고속도로의 '스마트 자동차 도로' 홍보 영상 (출처 : 교통부)
-
2021-05-21국제 환경보호단체인 그린피스(Greenpeace)에 따르면 2020년 영국 정부가 재활용되고 있다고 말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50% 이상은 해외로 수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2017년 이전까지는 중국이 영국 쓰레기의 주요 수입국이다. 하지만 2017년 중국 정부가 쓰레기 수입을 금지한 이후 영국 플라스틱 쓰레기의 주요 수입국은 터키가 됐다.터키로 영국의 플라스틱 쓰레기 수출량은 2016년 1만2000톤에서 2020년 20만9642톤으로 증가했다. 2020년 영국 플라스틱 쓰레기 수출량의 30%를 터키가 차지했다.더욱 큰 문제는 터키로 수출된 영국의 플라스틱 쓰레기는 재활용되지 않고 대부분 소각된다. 소각된 재도 산에 쌓였다가 강이나 바다로 유입되면서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으로 조사됐다.영국은 2020년 68만8000톤의 플라스틱 쓰레기를 수출했다. 이는 1일 평균 180만킬로그램에 달하는 양이다. 2020년 영국 국내에서 재활용된 플라스틱 쓰레기는 48만6000톤으로 조사됐다. 2021년 1월부터 터키 정부는 많은 종류의 플라스틱 쓰레기 수입 금지를 발표하고 플라스틱 쓰레기 수입에 대한 단속을 실시하고 있다.하지만 실질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린피스는 각국의 정부에게 더욱 강력한 플라스틱 쓰레기 줄이기 및 재활용을 촉구했다.▲그린피스(Greenpeace)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