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closure"으로 검색하여,
1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7-18▲ HS효성첨단소재, 2024 CDP 공급망 참여 평가 ‘A-List’ 선정 [출처=HS효성]HS효성(대표이사 부회장 조현상)에 따르면 HS효성첨단소재(대표이사 임진달, 성낙양)가 ‘2024 공급망 참여 평가(Supplier Engagement Assessment, 이하 SEA)’에서 최고 등급인 A등급을 획득해 ‘A-List’에 선정됐다.SEA는 글로벌 ESG 평가 기관 CDP(Carbon Disclosure Project)가 주관하고 있다. HS효성첨단소재가 A등급을 획득해 국내를 넘어 글로벌 ESG 경영 리더로 자리매김했다. 2025년 SEA 평가에서는 전 세계 91개국, 2만2777개 기업 중 단 1395개 기업들이 A-List에 선정됐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HS효성첨단소재를 포함한 64개 기업만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HS효성첨단소재는 △과학 기반 감축목표(SBT)를 바탕으로 한 기후 전략 수립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로부터의 공식 승인 △신규 평가 항목인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에서의 A등급 획득 등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2025년 1월 HS효성첨단소재는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 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로부터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공식 승인 받은 바 있다. CDP는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 프로젝트로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탄소 경영 전략, 기후 관련 리스크와 기회를 종합적으로 평가한다. DJSI(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와 함께 가장 권위 있는 ESG 평가 지표로 손꼽힌다. 한편 HS효성첨단소재는 ESG 경영 전반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2024년 10월 글로벌 공급망 ESG 평가기관 에코바디스(EcoVadis)로부터 전 세계 상위 1퍼센트(%) 기업에만 수여되는 ‘플래티넘 메달
-
▲ 아모레퍼시픽 로고[출처=아모레퍼시픽]아모레퍼시픽(회장 서경배)에 따르면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 이하 CDP) 평가에서 기후변화 대응(Climate Change) 및 수자원 관리(Water Security) 부문 모두 최고 등급인 A를 획득했다.CDP는 전 세계 금융투자기관이 주도해 기업에게 환경 관련 경영정보공개를 요청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다. 매년 기업들이 공개한 정보를 바탕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환경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다.전 세계 금융기관이 기업 투자와 대출 등의 의사결정에 의미 있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게 지원해 저탄소 사회와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기반을 만들어가고 있다.CDP는 기후 및 물 관련 리스크에 대한 대응, 도전적인 감축 목표, 리더십과 관리체계 등을 기반으로 기업을 평가하며 매년 전 세계 2만3200개 이상의 기업이 응답하고 있다.아모레퍼시픽은 이번 평가를 포함해 3년 연속 기후변화 대응 부문 A를 획득하며 기후변화에 대한 투명성 분야의 리더십을 인정받았다.2025년 처음으로 획득한 수자원 관리 부문에서도 수자원의 효율적인 사용과 관리, 순환 사용, 수질오염 방지 등에 대한 노력을 인정받아 최고 등급인 A를 받았다.아모레퍼시픽은 자사 사업장 내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직접배출량(Scope1)과 전기 등을 구매하면서 발생하는 간접배출량(Scope2)의 총량을 2020년 대비 2050년까지 90% 감축해 넷제로를 달성하려는 목표를 수립했다.그 계획의 일환으로 아모레퍼시픽은 적극적인 전사 재생에너지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2024년 기준 설화수, 라네즈, 해피바스를 비롯한 아모레퍼시픽의 주요 제품을 생산하는 오산, 대전, 안성, 상해 사업장 및 물류 사업장의 재생 전력 100%를 달성했다.2025년은 아모레퍼시픽 전사 단위의 재생에너지 100%(RE10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각 사업장 조직 경계를 중심으로 취수원과 방류수 등 수자원 관련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관리하며
-
캐나다 증권관리협회(Canadian Securities Administrators, CSA)에 따르면 2022년 7월 12일 규제당국과 업계가 환경, 사회, 거버넌스(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ESG) 문제에 대한 공시 모범 사례에 대한 간행물을 발행했다.2022년 1월 19일 발표된 'CSA Staff Notice 81-334: ESG 관련 투자 자금 공시'가 현 캐나다 증권 요구사항이 ESG 관련 투자 자금 공개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설명한다.이 공지는 ESG 관련 자금 공개 및 통신판매 강화를 위해 CSA가 제안한 모범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CSA의 ESG 관련 투자 펀드 공시 문서 및 통신판매에 대한 지속적인 공개 검토에서 모범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CSA 고시는 2021년 11월 CFA(Chartered Financial Analyst)가 발표한 글로벌 ESG 투자상품 공시기준(Global ESG Disclosure Standards for Investment Products, the Standards)을 말한다.해당 표준은 이해관계자들이 ESG 투자 상품을 더 잘 이해하고 비교하며 평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됐다.투자 관리자가 제품의 목표, 투자 프로세스, 스튜어드십 활동에서 ESG 문제를 고려하는 방법에 대한 공시를 관리하는 최초의 자발적 글로벌 표준이다.지도 원칙으로는 공정한 표시와 완전한 공시를 기초로 하고 있다. 투자자들에게 완전하고 신뢰할 수 있고 일관되며 명확하고 접근하기 쉬운 정보를 제공하는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ESG 공시에는 투자자가 상품의 ESG 접근법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해야 된다. 또한 허위 또는 오해를 유발할 수 있는 정보는 포함해서는 안 된다.제품에 대한 규제 공시 및 마케팅 자료와 일관돼야 하고 모든 투자자가 이용할 수 있어야 된다. 참고로 상세한 정보를 원하는 사람은 Lynn McGrade 혹은 Kath
-
2022-06-29중국 베이징 기반 싱크탱크인 기업개혁개발협회(China Enterprise Reform and Development Society, CERDS)에 따르면 기업 ESG 공개 지침(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CERDS는 기업 ESG 공개 지침이 중국 최초이자 최고, 중국 중심 ESG 공개 표준이 되길 희망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미국과 유럽에서 자발적이고 의무적인 ESG 기업 공개 기준이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기 때문이다.기후 관련 재무 공시 테스크 포스(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TCFD), 지속가능성 회계 표준위원회(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SASB) 표준,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와 같은 프레임워크에 이어 ESG 공개에 관해 글로벌 개발에서 다음 단계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하지만 미국과 유럽의 ESG 기업 공개 기준은 미국과 유럽 또는 글로벌 시장 관점에서 개발됐다. 이를 근거로 중국 시장과는 연관성이 낮다고 간주되고 있다.또한 SEC의 규칙 제안과 EU의 기업 지속가능 공개 규제(Corporate Sustainability Reporting Directive, CSRD)는 기후 관련 공개에 관한 것이다. 현 정치 수준에서의 협의 중이거나 논의 중인 의무 보고에 대한 주요 제안들이다.따라서 CERDS의 기업 ESG는 여러 중국 기업과 협력해 중국 법률, 규정, 정책 등에 초점을 맞춰 개발됐다. 이 지침은 서로 다른 분야 기업에 적용할 수 있는 공시 원칙, 주요 성과 지표, 규제 프레임워크 등을 포함하고 있다.공개 지침에는 1차, 2차, 3차 지표들이 있으며 1차 지표에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거버넌스(Governance) 등이 있다.2차 지표는 자원 소비, 기후 변화, 노동 권리, 거버넌스 메커니즘 등 35개의 지표가 있다. 또한 3차 지표는 118개로 구성돼
-
영국 국내 대표적인 소매 로비단체인 브리티시리테일컨소시엄(BRC)에 따르면 정부가 적극적인 채무 집행 유예 조치를 연장하지 않을 경우 국내 소매업계의 엄청난 폐업사태가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소매상들의 3분의 2가 건물주로부터 지불 유예가 끝나는 2021년 7월 1일부터 미수금 임대료를 회수하기 위한 법적 조치를 받게 될 것으로 조사됐다.영국 정부에 따르면 2021년 6월 30일부로 끝나는 상가 건물주들과 세입자들의 £60억파운드 임대료 채무 추심 금지 및 퇴거를 대체할 방법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축적된 상기 60억파운드의 임대료 청구금을 누가 부담해야하는지를 결정할 시간을 앞두고 건물주들과 세입자들 사이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일본 글로벌 자동차제조사인 닛산(Nissan)에 따르면 2024년 영국에 배터리 초대형 제조시설공장인 배터리 기가팩토리(gigafactory)를 건설할 계획이다.전기자동차(EV) 전용 라인업으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닛산은 영국 정부와 전기자동차 및 배터리 산업에 대한 선진화 협의도 진행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닛산(Nissan) 홈페이지
-
남아프리카공화국 통계청(Stats SA)에 따르면 2020년 4분기 전체 청산한 기업 수는 전년 동기간 대비 20.5% 증가했다. 중국발 코로나-19 사태가 청산 기업 수를 가중시켰다.2020년 11월 청산한 기업 수가 22.1%까지 확대됐고 10월에는 9.1%로 감소했다. 청산이란 사업을 영구히 폐쇄하는 과정이며 청구인들에게 자산을 분배하는 것이다.대부분의 청산은 금융, 보험, 부동산, 비즈니스 서비스 분야 등에서 이뤄졌다. 그 뒤를 이어 무역, 음식 공급 및 숙박업, 제조업 등이 청산대열에 참여했다.정부는 2020년 경제 회복을 위해 R5000억랜드를 투자했다. 하지만 기업들은 여전히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통계청(Stats SA) 홈페이지
-
2020-12-23영국 글로벌 패션의류 소매체인 운영기업인 에반스(Evans)에 따르면 £2300만파운드의 매각 계약으로 파산절차에 들어섰다. 이로 인해 모든 매장은 문을 닫고 수백 개의 일자리가 위험에 직면하게 됐다.에반스의 모기업인 아카디아그룹(Arcadia Group)은 에반스 이외에도 ▲탑샵(Topshop) ▲도로시 퍼킨스(Dorothy Perkins) ▲버튼(Burton) ▲미스 셀프리지(Miss Selfridge) 등도 파산절차를 진행할 방침이다.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외출이 줄어들면서 판매가 급감한 것이 주요인이다. 플러스 사이즈 의류 판매가 특징이며 그 외에도 란제리, 수영복, 신발, 액세서리 등을 판매한다.이번 에번스의 매각을 시작으로 패션 제국이라 불리는 아카디아그룹의 붕괴가 시작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참고로 에반스는 국내에만 3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에반스(Evans) 홈페이지
-
2019-07-03영국 약국체인점인 부츠(Boots)에 따르면 향후 18개월동안200개 점포를 정리할 계획이다.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점포의 10%에 해당된다.현재 어떤 점포를 정리할 것인지 정해지지 않았지만 선별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인근 지역의 점포가 주요 대상이며 소규모 도시의 경우에는 점포가 아예 없어질 가능성도 높다.현재 부츠는 주거지에서 10분 이내의 운전으로 점포를 방문한다는 컨셥을 유지하고 있다. 점포의 구조조정으로 발생한 유휴인력은 최대한 다른 업무에 재배치할 계획이다.또한 플라스틱 봉투를 사용하지 않는 정책에도 동참하고 있다. 현재 53개 점포에서 비닐 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2020년까지 전체 2485개 점포로 확대할 방침이다.▲부츠(Boots) 점포(출처 : 홈페이지)
-
2019-04-01영국 노동조합인 유나이트(Unite)에 따르면 일본 혼다자동차가 공장을 폐쇄할 경우에 전국적으로 2만명에 달하는 근로자가 일자리를 잃을 것으로 전망된다.현재 스윈든공장에 3500명이 일하고 있지만, 협력업체에 일하는 근로자가 1만5000명 이상이기 때문이다. 3월 30일 근로자들은 공장폐쇄에 반대하며 가두행진을 진행했다.혼다자동차는 브렉시트로 인한 경제혼란 등의 이유로 2021년 공장을 폐쇄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35년 동안 영국 공장의 유럽의 허브역할을 수행했다.영국 정부는 3월 29일 예정된 브렉시트는 연기했지만 마땅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경제혼란으로 이미 영국에 위치했던 다수의 해외기업의 공장과 사무실은 파리, 암스테르담 등으로 옮겨갔다.▲유나이트(Unite)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8-12-18영국 패션 및 홈웨어업체인 로라애슐리(Laura Ashley)에 따르면 국내 40개 점포를 폐쇄할 계획이다. 2015년 이후 이미 40점포를 닫았다.국내 사업을 축소하고 중국 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미 싱가포르에 지역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중국의 전자상거래에 역량을 모을 예정이다.로아애슐리는 1950년대 홈가구를 판매하는 패션디자이너인 로아애슐리가 웨일즈에서 창업한 기업이다. 19070~80년대에 급성장했지만 최근에 저조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최근 온라인 쇼핑몰의 급성장으로 인해 Toys R Us, Jamie's Italian, Maplin 등의 대형 소매점과 레스토랑 체인점이 문을 닫았다. 오프라인 상점의 위기가 증폭되고 있지만 대안은 없는 실정이다.▲로라애슐리(Laura Ashley)의 목욕용품(출처 : 홈페이지)
1
2